$\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관계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3, 2011년, pp.308 - 318  

김하자 (제주대학교병원) ,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nurs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4 nurses. Surface and deep-acting scales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ELS), the personal resour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중간 이상 정도의 감정노동을 수행하며, 과반수 이상이 우울증상을 경험하고 있고, 특히 임상경력이 짧은 간호사, 연령이 낮은 간호사, 일반간호사, 미혼자의 우울 수준이 높았다.
  •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 수준과,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임상간호사에 대한 병원 복지, 인적자원관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는 어떻게 측정하였는가? 사회적 지지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개인수준의 지지와 조직수준의 지지로 측정하였다. 지각된 개인수준의 사회적 지지는 Weinert (1988)의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Ⅱ [PRQ-Ⅱ]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한 Kim 등(2009)의 도구를 이용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 수준을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및 사회적 지지, 우울 수준을 파악한다. ●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과 사회적지지, 우울 수준의 차이를 파악한다. ●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감정노동이란? 감정노동이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이 실제 느끼는 감정과 감정 표현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Brotheridge & Lee, 2003), 불쾌한 상황으로부터 심리적 거리를 두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간호실무에서 환자와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환자의 정신적, 육체적 안녕과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조직과 근로자 개인에게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Mann & Cowburn, 2005; Rafaeli & Worline, 2001). 그러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감정노동은 정신적 소진이나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며, 서비스 제공자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건강에 영향을 주어 결국 직무몰입이나 질적 서비스에 대한 동기저하, 이직률 증가 등 조직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Lee, 2007; Pugh, 2001; Rafaeli & Worline, 2001; Zapf,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Y., Jung, H. S., & Kim, H. A.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in a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2), 139-146. 

  2. Brotheridge, C. M., & Lee, R. T.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 365-379. 

  3. Byun, D. S., & Yom, Y. H. (2009).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clinical nurses: focused on emotional labor.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5(3), 444-454. 

  4. Cho, J., Kim, J., Chang, S., Fiedler, N., Koh, S., & Crabtree, B. F. (2008).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Health, 82, 47-57. 

  5. Chon, K. K., Kwon, G. D., & Kim, S. G. (1999) An attempt to revise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CES-D: I.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6(1), 429-451. 

  6. Chu, S. H., Ryou, H. C., Bae, K. J., Song, J. C., Lee, S. J., & Kim, I. A. (2010).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bankers.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2(4), 316-323. 

  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ast}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8. Han, S. K., Yoon, O. S., Kwon, M. S., & Song, M. S. (2011). Comparison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55-64. 

  9. Jeon, J. H. (2010)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0. Jung, K. Y., Lee, H. J., Lee, Y. I., Kim, J. I., & Kim, Y. G. (2007) The effects of job stress for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2), 158-167. 

  11. Kim, I. S. (2009).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4), 515-526. 

  12. Kim, J. H. (2007).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urses working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using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4), 431-444. 

  13. Kim, J. H., & Hyun, M. Y. (2005).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4(2), 108-116. 

  14. Kim, J. H., Hyun, M. Y., & Kim, S. Y. (2009).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219-231. 

  15. Kim, J. H., Hyun, M. Y., Kim, Y. S., Kim, J. S., Nam, S. O., Song, M. S., et al. (2010). Psycho-soci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1), 26-36. 

  16. Kim, M. S. (1990). Study of model building on job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7. Kim, S. Y., Chang, S. J., Kim, H. Y., & Rho, J. H.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industrial service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4(3), 227-235. 

  18. Kovacs, M., Kovacs, E., & Hegedus, K. (2010). Emotion work and burnout: Cross-sectional study of nurses and physicians in Hungary. Croatian Medical Journal, 51(5), 432-442. 

  19. Lee, B. I. (2007). Development of a model for emotional labor worker's health.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78-88. 

  20. Lee, K. J., & Lee, E. (2011).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 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 130-142. 

  21. Lee, Y. C., Kim, H. C., Jeong, D. Y., Kim, D. H., Kim, J. H., Lee, D. H., et al. (2008. May).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medical doctors in an university hospital.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41th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22. Mann, S., & Cowburn, J. (2005). Emotional labour and stress within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 154-162. 

  23. Park, H. J. (200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n the employee burnout in the hotel indust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gi University, Seoul. 

  24. Pugh, S. D. (2001). Service with smile: Emotional contagion in the service encount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5), 1018-1027. 

  25. Rafaeli, A., & Worline, M. (2001). Individual emotion in work organizations. Social Science Information, 40(1), 95-123. 

  26. Weinert, C. (1988). Measuring social support: Revis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In C. Waltz & O. Strickland (Ed.), Measuring of Nursing Outcomes, Vol. 1, (pp. 309-327). New York: Springer. 

  27. Yoon, H. S., Kim, H. L., Kwon, I. S., & Cho, Y. C. (2008). Type A behavior pattern and its association with stress, depression and fatigue in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2), 180-190. 

  28. Yoon, S. H. (2004).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7(3), 451-466. 

  29. Yoon, S. H.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463-470. 

  30. Zapf, D. (2002).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 237-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