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 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3, 2011년, pp.346 - 355  

손신영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up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Methods: The data of the study were from the 11th Korean Labor Panel Data, obtained by using a face to face interview metho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들의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를 분석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정규직 근로자 및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로자들의 건강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근거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를 분석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 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11차 노동패널을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를 분석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며, 정규직 근로자 및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제11차 노동패널을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주관적 건강상태 차이를 분석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정규직 근로자 및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건강관리 정책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 하였다.
  • 이에 정규직, 비정규직에 따른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근로자들의 건강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의 근거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정규직의 증가는 어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비정규직의 증가는 직업 불안정 및 소득의 불평등을 수반하고 있으며, 직업 안정성의 상실감과 불안감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Bartely & Ferrie, 2001). 비정규직의 경우 주로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열악한 작업 조건과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경험하고, 안전 보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강문제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정규직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는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경제적 수준, 성별, 교육수준이었고, 비정규 근로자는 연령, 경제적 수준, 결혼 상태(배우자 유무), 성별, 교육수준, 정해진 근로시간으로 확인되었다. 사회경제적 요인과 근무조건 같은 사회구조적인 것에 의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비정규직 근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
주관적 건강상태란 무엇인가? 주관적 건강상태는 자가 평가적 차원의 건강수준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는 질병의 영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생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본인 스스로 인식하는 건강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매우 나쁘다’ 1점부터 ‘매우 좋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hk, J. W., Han, Y. J., & Kim, S. S. (2007). Health inequity among waged workers by employment statu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0(5), 388-396. 

  2. Bartely, M., & Ferrie, J. (2001). Glossary: Unemployment, job insecurity, and health.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5, 776-781. 

  3. Benach, J., Benavides, F. G., Platt, S., Diez-Roux, A., & Muntaner, C. (2000). The health-damaging potential of new types of flexible employment: A challenge for public health researche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0(8), 1316-1317. 

  4. Burstrom, B., & Fredlund, P. (2001). Self rated health: Is it as good a predictor of subsequent mortality among adults in lower as well as in higher social classe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5, 836-840. 

  5. Ferraro, K. F., & Su, Y. P. (2000). Physician-evaluated and self-reported morbidity for predicting disabilit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90(1), 103-108 

  6. Kim, I. H., Paek, D. M., & Cho, S. I. (2005). Does non-standard work affect health?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3), 337-344. 

  7. Kim, K. H., Lee, K. H., Lee, S. M., Lee, Y. S., Yim, K. L., Jang, J. E., et al. (2007). The proportional mortality ratios of specific-cause mortality by occupation and education among men aged 20-64 in Korea(1993-2004).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0(1), 7-15. 

  8. Kim, M. H., Kim, C. Y., Park, J. K., & Kawachi, I. (2008). Is precarious employment damaging to self-rated health? Result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using longitudinal data in South Korea. Social Science & Medicine, 67(12), 1982-1994. 

  9. Kivimaki, M., Vahtera, J., Virtanen, M., Elovainio, M., Pentti, J., Ferrie, J. E., et al. (2003). Temporary employment and risk of overal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8(7), 663-668 

  10. Marmot, M. G. (1999). Job insecurity in a broader social and health context; Labour market changes and job insecurity: A challenge for social welfare and health promotion. WHO Regional Publications, European Series, 81, 1-9. 

  11. Massey, D. S. (1996). The age of extremes - Concentrated affluence and poverty in the twenty first century. Demography, 33, 395-412. 

  12. Metcalfe, C., Davey Smith G., Sterne, J. A. C., Heslop, P., Macleod, J., Hart, C. et al. (2003) Frequent job change and associated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56(1), 1-15. 

  13. Park, S. H., Kim, C. Y., & Shin, Y. J. (2009). The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changes on mental health.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27, 79-120. 

  14. Shin, S. C., & Kim, M. J. (2007) The effect of occupation and employment status upon perceived health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2, 205-224. 

  15. Santana, V. S., & Loomis, D. (2004). Informal jobs and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8(2), 147-57. 

  16. Siegrist, J., & Marmot, M. (2004). Health inequalities and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 Two scientific challenges. Social Science & Medicine, 58(8), 1463-1473. 

  17. Subramainian, S. V., Delgado, I., Jadue, L., Vega, J., & Kawachi, I. (2003).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Multilevel analysis of Chilean communities. Journal of Epidemioloy and Community Health, 57, 844-884. 

  18. Williams, C., & Windebank, J. (1998). Informal Employment in the Advanced Economies. London: Routledge Taylor and Francis Grou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