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사증후군집단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수면시간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계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in Metabolic Syndrome and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3, 2015년, pp.420 - 428  

이보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재연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손동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urpose was to explore associations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MS) risks, and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SRH) of adults with MS compared to other adults. Methods: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based 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수면시간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분포 및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수면시간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정상집단과 대사증후군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집단과 대사증후군집단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각 집단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사회경제적 요인, 수면시간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수면시간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분포를 파악하여, 이를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 전략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은 어떤 것을 포함하는가? 대사증후군은 복부 비만, 중성지방의 증가, 고밀도 지단백질의 감소, 혈압상승, 인슐린 저항성 증가를 포함하며[1], 특히 이들 중 당뇨병과 혈압상승이 동반된 경우 만성신장질환 및 사망률을 증가시켜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 및 식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비만의 증가와 좌식생활의 확대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3].
주관적 건강상태란 무엇인가? 주관적 건강상태(Self-Rated Health [SRH])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을 포함하는 개인의 전반적 건강상태나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사망률과 만성질환 이환율의 유효한 예측인자로 알려져 있다[8,9].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선행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집단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10-12], 대사증후군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였거나 수면시간과 연관 지어 분석한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다.
수면시간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분포 및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수면시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면시간은 대사증후군과 주관적 건강상태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수면시간과 대사증후군과의 선행 연구들에서 수면시간이 부족할 경우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증가로 인해비만,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증 및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게 되고[13,14]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인 허리둘레 및 혈당 증가로 인해 대사증후군 유병률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5], 수면시간이 부족하거나 너무 많은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6]. 따라서, 수면시간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분포 및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수면시간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정상집단과 대사증후군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285(19):2486-2497. 

  2. Lee SJ, Chung CW. Health behavior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 kidney disease in Korean patients with diabetes: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Asian Nursing Research. 2014;8(1):8-14. http://dx.doi.org/10.1016/j.anr.2013.11.001 

  3.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Donato KA, et al.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2009;120(16):1640-1645.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9.192644 

  4. Ford ES, Giles WH, Mokdad AH.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004;27(10):2444-2449. 

  5.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34(6):1323-1328. http://dx.doi.org/10.2337/dc10-2109 

  6. Han KS, Park YH, Kim SN, Lee SJ, Yang SH.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3;21(4):303-311. 

  7. Martin-Lopez R, Perez-Farinos N, Hernandez-Barrera V, de Andres AL, Carrasco-Garrido P, Jimenez-Garcia R. The association between excess weight and self-rated health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women in Spain. Public Health Nutrition. 2011;14(7): 1259-1265. http://dx.doi.org/10.1017/s1368980010003630 

  8. Ha Y, Park H.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n males and femal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3):203-211.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3.203 

  9. Miilunpalo S, Vuori I, Oja P, Pasanen M, Urponen H. Self-rated health status as a health measure: The predictive value of self-reported health status on the use of physician services and on mortality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7;50(5):517-528. 

  10. Shin JH, Kang SG, Kim MJ, Hwang YN, Song SW. The effect of regular aerobic exercis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etabolic syndrom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8;17(4):182-187. 

  11. Eom A. The effects of the Tai Chi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2;19(2):152-160. http://dx.doi.org/10.5953/JMJH.2012.19.2.152 

  12. Park SY. A study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13. Taheri S, Lin L, Austin D, Young T, Mignot E. Shor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reduced leptin, elevated ghrelin, and increased body mass index. PLoS Medicine. 2004;1(3):e62. http://dx.doi.org/10.1371/journal.pmed.0010062 

  14. Yoon DH, Park JH, Cho SC, Park MJ, Kim SS, Choi SH, et 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5;14(4):213-219. 

  15. Hall MH, Muldoon MF, Jennings JR, Buysse DJ, Flory JD, Manuck SB. Self-reported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in midlife adults. Sleep. 2008;31(5):635-643. 

  16. Kim JH, Kim KR, Cho KH, Yoo KB, Kwon JA, Park EC.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2013;9(10):1057-1064. http://dx.doi.org/10.5664/jcsm.3082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18. Grundy SM, Brewer HB, Jr., Cleeman JI, Smith SC, Jr., Lenfant C.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merican heart association conference on scientific issues related to definition.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 2004;24(2):e13-e18. http://dx.doi.org/10.1161/01.atv.0000111245.75752.c6 

  19. Park HS, Park CY, Oh SW, Yoo HJ. Preval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Obesity Reviews. 2008;9(2):104-107. http://dx.doi.org/10.1111/j.1467-789X.2007.00421.x 

  20. EuroQol Research Foundation. EuroQol [Internet]. Rotterdam, NL: Author; 2013 [cited 2014 Nov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euroqol.org/. 

  21. Park HS, Oh SW, Kang JH, Park YW, Choi JM, Kim YS,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3;12(1):1-14. 

  22. Park MJ, Yun KE, Lee GE, Cho HJ, Park H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6;15(1):10-17. 

  23. Kim E, Oh SW.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2;21(2):108-114. http://dx.doi.org/10.7570/kjo.2012.21.2.108 

  24. Ford ES, Li C.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U.S. adults. Annals of Epidemiology. 2008;18(3):165-171. http://dx.doi.org/10.1016/j.annepidem.2007.10.009 

  25. Rho YM.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dissertation]. Gimhae: Inje University; 2010. 

  26. Katano S, Nakamura Y, Nakamura A, Murakami Y, Tanaka T, Takebayashi T, et al.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clustering of metabolic syndrome diagnostic components. Diabetes, 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2011;4:119-125. http://dx.doi.org/10.2147/dmso.s16147 

  27. Okubo N, Matsuzaka M, Takahashi I, Sawada K, Sato S, Akimoto N, et al.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sleep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general population. BMC Public Health. 2014;14:562. http://dx.doi.org/10.1186/1471-2458-14-562 

  28. Sohn S. The effect of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346-355. 

  29. So ES. Waist circumfer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ex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4;26(6):887-899. http://dx.doi.org/10.1177/0898264314531618 

  30. Neumann A, Schoffer O, Norstrom F, Norberg M, Klug SJ, Lindholm 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pre-diabetic states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A cross-sectional study in Vasterbotten Sweden.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4;12:150. http://dx.doi.org/10.1186/s12955-014-0150-z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