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근 검은잎마름병원균 Alternaria dauci의 포자 발아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onidial Germination of Alternaria dauci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7 no.3, 2011년, pp.381 - 385  

박경훈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윤혜정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류경열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윤종철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김세리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김원일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김두호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권영석 (국립식량과학원 기획조정과) ,  차병진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당근 검은잎마름원균의 포자 발아 및 생존에 영향을 끼치는 온도, 상대습도, pH와 건조시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생포자의 발아는 $15-25^{\circ}C$ 사이에서 95% 이상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촉진되었으나, $5^{\circ}C$에서는 상대습도와 상관없이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병원균의 분생포자 발아를 촉진하는 최적 환경조건은 습도 95% 이상, 온도 $15-25^{\circ}C$, pH 7.0 및 당근 잎 추출물 0.2%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생포자는 건조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분생포자는 수분 없이 12시간까지 생존 가능하였으며, 수분이 재공급될 경우에는 10% 정도의 발아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 dauci의 포자 발아 및 발생 생태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temperatures, relative humidity, pH, and dry periods on conidial germination of Alternaria dauci were evaluated under in vitro conditions. Conidial germination was accelerated at over 95% relative humidity in $15^{\circ}C$ to $25^{\circ}C$ condition. Conidial germ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은잎마름병은 광합성을 저해하여 당근의 품질을 떨어뜨리며(Strandberg, 1983), 심할 경우 수확량을 40−60%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지만(Vintal 등, 1999), 국내에서 발생생태에 관해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검은잎마름병원균의 포자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온도 및 상대습도, pH, 건조시간 등 환경요인을 구명하여 병원균의 발생생태 및 방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당근 검은잎마름원균의 포자 발아 및 생존에 영향을 끼치는 온도, 상대습도, pH와 건조시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생포자의 발아는 15−25℃ 사이에서 95% 이상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촉진되었으나, 5℃에서는 상대습도와 상관없이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근이란 무엇인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당근(Daucus carota var. sativa)은 아프카니스탄이 원산지인 두해살이풀로서 프로 비타민 A인 ß-카로틴과 무기질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소비자에게 주목을 받고 있는 채소 중 하나이다. 중국, 러시아, 미국 등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80만 ha 이상 재배되고 있으며 당근 소비량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Rubatzky 등, 1999).
국내 당근 주요 재배지의 상황은 어떠한가? 중국, 러시아, 미국 등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80만 ha 이상 재배되고 있으며 당근 소비량은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Rubatzky 등, 1999). 우리나라는 제주, 경남 양산, 강원 평창 지역이 주산지로 재배면적은 2.5 ha로 알려졌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당근은 재배과정에 검은잎마름병, 점무늬병, 흰가루병 등 7종의 진균병과 세균병 2종, 모자이크병, 뿌리혹선충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당근은 재배과정에서 어떤 병이 발생하는가? 5 ha로 알려졌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당근은 재배과정에 검은잎마름병, 점무늬병, 흰가루병 등 7종의 진균병과 세균병 2종, 모자이크병, 뿌리혹선충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검은잎마름병은 고랭지 재배지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8월 이후 발병율이 70% 이상으로 최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Kwon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derman, S. C. and Beute, M. K. 1986.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moisture on germination and germ tube elongation of Cercospora arachidicola. Phytopathology 76: 715-719. 

  2. Cho, J. L., Lim, J. M., Kang, S. M. and Kang, J. S. 2001. Conditions for solid matrix priming of carrot seeds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seed during the treatment. Korean J. Hort. Sci. Technol. 19: 505?510. (In Korean) 

  3. Doran, W. L. and Guba, E. F. 1928. Blight and leaf spot of carrot in Massachusetts. Mass. Agric. Exp. Stn. Bull. 271-278. 

  4. Dugdale, L. J., Mortimer, A. M., Isaac, S. and Collin, H. A. 2000. Disease response of carrot and carrot somaclones to Alternaria dauci. Plant Pathol. 49: 57-67. 

  5. Gillespie. T. J. and Sutton, J. C. 1979. A predictive scheme for timing fungicide applications to control Alternaria leaf blight in carrots. Can. J. Plant Pathol. 1: 95-99. 

  6. Harris, R. F., Gardner, W. R., Adebayo, A. A. and Sommers, L. E. 1970. Agar dish isopiestic equilib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ter potential of solid substrates. Appl. Environ. Microbiol. 19: 536-537. 

  7. Hooker, W. J. 1944. Comparative studies of two carrot leaf disease. Phytopathology 34: 606-612. 

  8. Kim, Y. K., Xiao, C. L. and Rogers, J. D. 2005. Influence of culture media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mycelial growth and pycnidial production of Sphaeropsis pyriputrescens. Mycologia 97: 25-32. 

  9. Kwon, M. Ryu, K. Y., Kim, J. S. and Shin, G. Y. 2007. Occurrence pattern of pests in carrot fields and effect of plant debris removal after harvest at hightland area. Korean J. Hort. Sci. 25: 316-321. (In Korean) 

  10. Lang, A. R. G. 1967. Osmotic coefficients and water potentials of sodium chloride solutions from 0 to 40. Aust. J. Chem. 20: 2017-2023. 

  11. Langenberg, W. J., Sutton, J. C. and Gillespie, T. J. 1977. Relation of weather variables and periodicities of airborne spores of Alternaria dauci. Phytopathology 67: 879-883. 

  12. Mario, C. L. and Victor, C. M. 2008. Fungal plant pathogens in portugal: Alternaria dauci. Rev. Iberoam. Micol. 25: 254-256. 

  13. Park, Y. B., Kim, Y. D. and Moon, J. S. 2002. Evaluation of commercial varieties of carrot in Jeju island. J. Bio-Environ. Control 11: 144-148. 

  14. Pryor, B. M., Strandberg, J. O., Davis, R. M., Nunez. J. J. and Gibertson, R. L. 2002. Survival and persistence of Alternaria dauci and carrot systems. Plant Dis. 86: 1115-1122. 

  15. Rogers, P. M. and Stevenson, W. R. 2006. Weather-based fungicide spray programs for control of two foliar diseases on carrot cultivars differing in susceptibility. Plant Dis. 90: 358-364. 

  16. Rotem, J. 1994 The genus alternaria-biology, epidemiology and pathogenicity.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Press, St. Paul. MN. 326 pp. 

  17. Rubatzky, V. E., Quiros, C. F. and Simon, P. W. 1999. Carrots and related Umbelliferae. CABI Publ., New York.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2. Highland vegetable cultivation metho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561 pp. (In Korean)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Carrot cultivation.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86 pp.(In Korean) 

  20. Strandberg, J. O. 1977. Spore production and dispersal of Alternaria dauci. Phytopathology 67: 1262-1266. 

  21. Strandberg, J. O. 1983. Infection and colonization of inflorescences and mericarps of carrots by Alternaria dauci. Plant Dis. 67: 1351-1353. 

  22. Strandberg, J. O. 1987. Isolation, storage, and inoculum production methods for Alternaria dauci. Phytopathology 77: 1008-1012. 

  23. Strandberg, J. O. 1988. Establishment of Alternaria leaf blight on carrots in controlled environments. Plant Dis. 72: 522-526. 

  24.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853 pp. (In Korean) 

  25. Vintal, H., Ben-Noon, E., Shlevin, E., Yermiyahu, U., Shtienberg, D. and Dinoor, A. 1999. Influence of rate of soil fertilization on Alternaria Leaf blight (Alternaria dauci) in carrots. Phytoparasitica 27: 1-8. 

  26. Yu, S. H. 2001. Korean species of Alternaria and Stemphyliu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p. 58-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