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류법을 이용한 모의 방사성폐기물 중 129I 의 정량
Determination of 129I in simulated radioactive wastes using distillation technique 원문보기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v.9 no.3, 2011년, pp.141 - 148  

최계천 (한국원자력연구원) ,  송병철 (한국원자력연구원) ,  한선호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용준 (한국원자력연구원) ,  송규석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사성폐기물이 처분장에 인도 될 때 주요 방사성 핵종의 방사능 농도를 규명 하도록 방사성폐기물 인도 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시료의 경우 측정된 방사능 농도가 최소검출 방사능 농도(MDA: Minimum dectable activity) 이하의 값을 나타낼 경우가 많으며, MDA는 시료의 양, 바탕 값, 계측시간 및 계측효율 등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MDA를 낮추기 위하여 가능한 많은 양의 시료를 취할 필요가 있다. 모의 잡고체 시료에 첨가된 요오드의 회수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의 시료 중 비 방사성 요오드를 비휘발성 산으로 침출시킨 후 침출액을 직접 증발시키는 방법과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I-를 흡착하여 분리하는 칼럼용리방법으로 측정하여 회수율을 비교한 결과, 증류법과 칼럼용리방법의 회수율은 각각 $86.5{\pm}0.9%$, $87.3{\pm}2.7%$로 나타났다. 증류법에 의한 모의 방사성 시료 중 $^{129}I$ 요오드의 회수율 및 MDA는 $84.6{\pm}1.6%$, $1.2{\times}10^{-4}Bq/g$로 각각 나타났으며, 분리공정을 단순화하고 많은 양의 시료를 취함으로써, 칼럼용리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10배 이상 MDA를 낮출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clarified in the radioactive waste transfer regulation that the concentration of radioactive waste for the major radio nuclide has to be examined when radioactive waste is guided to the radioactive waste stores. In case of the low level radioactive waste sample, the analytical results of rad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방사성폐기물 중 잡고체 시료에 극미량으로 함유되어있는 요오드를 효과적으로 분리 및 회수하고 γ-ray 분광 측정법을 이용하여 MDA를 낮추고 분석공정의 단순화를 추구하기 위함이다.
  • 이를 위하여 산업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방사성폐기물의 화학조성과 유사하게 비방사성 모의 시료를 제조하고 많은 양의 시료(90∼100 g)를 취하여 상이한 방법으로 시료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회수율을 결정하였으며 기존의 확립된 칼럼용리방법의 회수율과 비교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현장 시료에 대한 요오드의 분리 및 정량 시 보다 빠르고 신뢰성 있는 분석결과를 얻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성폐기물에서 요오드를 선택적으로 분리, 회수하는 시료의 전처리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환경시료나 폐기물에 함유되어있는 129I의 양은 극히 미량으로 추정되며, 특히 방사성폐기물의 경우 핵물질이나 기타 여러 가지의 핵분열생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원소들은 129I의 γ 혹은 β선의 방사능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요오드를 선택적으로 분리, 회수하는 시료의 전처리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요오드의 분리를 위한 환경 및 방사성폐기물 시료의 전처리 방법은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요오드의 분리를 위한 환경 및 방사성폐기물 시료의 전처리 방법에는 주로 알칼리 용융법[1], 요오드의 휘발을 이용한 증류법[2], 이온교환수지[3] 및 활성탄 흡착법[4] 등이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시료의 형태가 가용성일 경우 산 용해에 의한 분리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나, 환경이나 원전 등에서 배출되고 있는 방사성 폐기물은 대부분 난용성으로서 산에 의한 용해가 어렵기 때문에 혼합산 침출법이나 알칼리 용융 법을 이용하여 전 처리한 후 요오드 이온(I-)을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특히 환경시료의 경우,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양의 시료를 취하여 포집 분리한 후 산 침출방법이나 저온 농축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토양이나 생체시료와 같은 환경시료를 1,000℃의 고온으로 연소시키면서 배출되는 가스를 활성탄층에 통과시켜 요오드를 흡착시키고 묽은 NaOH로 용출시켜 분리하는 연소법도 알려져 있다[5]. 사용후 핵연료 및 금속재료 중의 요오드를 분리 및 회수하기 위해서는 용해과정에서 요오드의 산화환원반응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J.
MDA는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방사성폐기물이 처분장에 인도 될 때 주요 방사성 핵종의 방사능 농도를 규명 하도록 방사성폐기물 인도 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시료의 경우 측정된 방사능 농도가 최소검출 방사능 농도(MDA: Minimum dectable activity) 이하의 값을 나타낼 경우가 많으며, MDA는 시료의 양, 바탕 값, 계측시간 및 계측효율 등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MDA를 낮추기 위하여 가능한 많은 양의 시료를 취할 필요가 있다. 모의 잡고체 시료에 첨가된 요오드의 회수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의 시료 중 비 방사성 요오드를 비휘발성 산으로 침출시킨 후 침출액을 직접 증발시키는 방법과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I-를 흡착하여 분리하는 칼럼용리방법으로 측정하여 회수율을 비교한 결과, 증류법과 칼럼용리방법의 회수율은 각각 $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 Boukis and E. Henrich, "Two-step procedure for the iodine removal nuclear fuel solution", Radio Chimica Acta., 55, pp. 37-42 (1991). 

  2. T. Sakurai, A. Takahashi, N. Ishikawa, Y. Komaki, M. Ohnuki, and T. Adachi, "The behaviour of iodine in a simulated spent fuel solution", Nuclear Technology, 85, pp. 206-212 (1989). 

  3. D. Geithoff and V. Schneider, "Prevention of the Volatilization of fission Iodine in the dissolution of $UO_2$ samples", Nuclear Research Center, KARLSRUHE KFK-258 (1964). 

  4. N. Lavi, "A fast radiochemical procedure for separating iodine from fission products", Journal of Radioanalytical Chemistry, 20, pp. 41-49 (1974). 

  5. M. H. Studier, C. Postmus, Jr., "Ageneralized Procedure for the isolation of Iodine without carrier its determination by neutron activation using 129I as an isotopic tracer", ANL-6577 (1992). 

  6. J. C. Clayton and J. M. Riddle "Some studies onthe oxidation states of fission-product Iodine( $^{129}I$ ) in irradiated $UO_2$ ", WAPD-TM-851(1969). 

  7. D. M. lvak, L. A.Waldman, "Iodine and Cesium in oxide fuel pellets and Zircaloy-4 cladding of irradiated fuel rods (LWBR Development Program)", WAPD-TM-1394 (1979). 

  8. L. C. Bate and J.R. Stokely, "Determination of Iodine-129 in mixed fission products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ORNL/TM-7449 (1980). 

  9. H. Kamioki and K. Hoizumi, "Determination of radioactive iodine isotopes in the 99Mo produce by distillation", JAERI-M 8070 (1979). 

  10. X. H. Dahlgaard, B. Rietz, U. Jacobasen, S. P. Nielsen and A. Aarkrog, "Determination of chemical species of iodine in seawater by radiochemic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combined with ionexchange preseparation", Anal. Chem., 71, pp. 2745-2750 (1999). 

  11. 최계천, 송병철, 박세교, 한선호, 송규석, "음이온수지 흡착 컬럼용리 방법에 의한 요오드 종 분류", 2010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 요약집, PP. 405-406, 2010.10.7-8, 노보텔 앰버서더 부산 

  12. W. E. Browning, Jr., C. E. Miller, Jr., R. P. Shields and B. F. Roberts, "Release of fission products during in pile melting of $UO_2$ ", Nuclear Sci. Eng., 18, pp. 151-162 (1964). 

  13. V. J. Filistovich, T. N. Nedveckaite, B. J. STYRA, "Activation analysis of $^{129}I$ ",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Articles, 97(1), pp. 123-130 (1986). 

  14. H. Kleykamp, Nuclear Technology, "The chemical state of fission products in oxide fuels at differents stages of the nuclear fuel cycle", 80, pp. 412-422 (1988). 

  15. L. C. Bate and J. R. Stokely, "Iodine-129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72(1-2), pp. 557-570 (1982). 

  16. N. Boukis and E. Henrich, "Iodine-129 analysis in nuclear fuel solutions", Radio Chimica Acta, 54, pp. 103-108 (1991). 

  17. J. S. Edmonds and M. Morita, "The determination of iodine species in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samples", Pure & Appl. Chem., 70(8), pp. 1567-1584 (1998). 

  18. R. Ikiseki, E. Kimura, T. Takashi, N. Ikedal, "Distribution and behaviour of long lived radioiodine in soil",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Articles, 138(1), pp. 17-31 (1990). 

  19. E.H.P. Cordfunke and R.J.M. Konings, "Chemical interaction in water-cooled nuclear fuel; A thermochemical approach",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152, pp. 301-309 (1988). 

  20. E.H.P. Cordfunke and R.J.M. Konings, "The release of fission products from degraded $UO_2$ fuel; Thermochemical aspects",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201, pp. 57-69 (1993). 

  21. 최계천, 한선호, 지광용, 최기섭, "방사성폐기물 중 $^{129}I$ 측정을 위한 시료의 전처리", 방사성폐기물학회지, 3(1), PP. 49-5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