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장교 시스템의 실용적인 초기형상 결정법
Practical Determination Method of Initial Cable Forces in Cable-Stayed Bridge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4 no.1, 2011년, pp.87 - 95  

송요한 (성균관대학교 초고층장대교량학과) ,  김문영 (성균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해석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장교 시스템의 초기형상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장교 시스템의 초기형상해석이라 함은 주형의 수직 처짐과 휨모멘트, 주탑의 수평변위와 휨모멘트를 최소화하면서, 고정하중과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케이블의 장력과 무응력길이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이때, 케이블이 정착되는 주형의 수평위치, 주탑의 수직위치가 변하지 않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형과 주탑의 케이블 정착부에서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하여 주형의 수직 처짐과 주탑의 수평변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력 산정법을 사장교의 형태별로 정리하여 제시하였으며, 2차원 사장교 예제들에 대하여 기존 연구의 방법들과 장력, 주형의 모멘트와 처짐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3차원 실교량에 대해 Improved TCUD법으로 초기형상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와 비교함으로서 본 방법의 정확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ation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initial cable forces in cable-stayed bridges without complicated nonlinear analysis is presented. Initial shape analysis for cable-stayed bridges should be able to find optimizated initial cable forces and unstrained length that minimize deflection and vend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하프형 및 팬형 사장교의 경우 주탑에 연결된 사장재는 한 점에서 모이는 것이 아니라, 주탑의 여러 지점에 정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경우는 주형 및 주탑의 모든 경우에서 변위 및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Fan Type과 Harp Type의 최외측 케이블(back-stay cable) 장력을 결정하기 위한 두가지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Improved TCUD와 Practical method에 의한 수치해석을 기존의 연구방법과 비교하여 그 정확도 및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들에서 수행된 2차원의 방사형과 Fan type 예제에 Practical method를 적용하여 기존연구결과 및 2차원 예제에 대해 이미 검증된 Improved TCUD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유한요소법을 거치지 않고도 케이블지지교량의 초기형상을 비교적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한 해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Improved TCUD방법이 3차원 실제 교량에도 유용함을 증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장교의 초기형상 결정시 비선형 해석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비교적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초기형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정하중 하에서 사장교의 주형의 처짐과 휨모멘트가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설계조건과 케이블 정착부에서 힘의 평형조건을 이용하였으며 사장교의 형식별로 그 방법을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하비선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그림 4(b)의 주형 시스템에 케이블 장력의 수평성분을 각 절점의 절점하중으로 가한 후, 기하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을 생략하고 선형해석을 한 결과를 Practical M(선형)으로 표시하여 그림 21에 나타내었으며, Practical M.
  • 이로 인해 원래 설계자가 의도하였던 목표 지점에 각 절점이 위치하지 못하고, 주형의 경우 수평변형이 주탑은 수직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원하는 초기 형상을 만족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형 및 주탑에 발생하는 압축력을 각 부재의 부재력으로 도입하여 최초에 목표하였던 형상을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사장교의 케이블 사장재의 새그는 현수교에 비해 상당히 작다고 간주하여 새그를 고려하지 않으며, 또한 주탑과 주형의 연결 시 직선으로 가정한다.
  • 2) 주형의 모든 중량을 사장재가 모두 지지해야 하며, 이 때 케이블이 주형과 맞닿는 부분을 가상의 지점부로 가정하여 반력을 계산하였다. 이때 반력이 사장교의 사장재의 수직장력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를 구한다. 이때 케이블은 트러스 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케이블의 자중은 주형과 주탑 정착부에 각각 절반씩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방법은 Chen(2000)에서 사용된 힘평형개념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초기 부재력법과 결합하여 압축력에 의한 주형과 주탑의 탄성수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장교란? 사장교는 주탑에 연결된 케이블로 보강형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사장교의 설계 시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하는 것은 고정 하중에 의한 대상 교량의 초기형상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초기형상의 결정이라 함은 완성된 구조계에서 고정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케이블 지지교량의 주형 및 주탑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변위가 최소화되면서 고정하중과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케이블 장력과 무응력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사장교의 설계 시 가장 먼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사장교는 주탑에 연결된 케이블로 보강형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사장교의 설계 시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하는 것은 고정 하중에 의한 대상 교량의 초기형상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초기형상의 결정이라 함은 완성된 구조계에서 고정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케이블 지지교량의 주형 및 주탑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변위가 최소화되면서 고정하중과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케이블 장력과 무응력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초기형상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장교는 주탑에 연결된 케이블로 보강형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사장교의 설계 시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하는 것은 고정 하중에 의한 대상 교량의 초기형상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초기형상의 결정이라 함은 완성된 구조계에서 고정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케이블 지지교량의 주형 및 주탑에 발생하는 휨모멘트와 변위가 최소화되면서 고정하중과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케이블 장력과 무응력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제춘, 장승필 (1999) 초기부재력을 이용한 사장교의 초기형상 및 캠버량 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9(I-3), pp.377-386. 

  2. 김문영, 경용수, 이준석 (2003) 사장교의 개선된 초기형상 해석법,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강구조공학회, 15(2), pp.175 -185. 

  3. 김문영, 경용수, 이준석 (2003) 현수교의 개선된 초기형상 해석 법,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강구조공학회, 15(2), pp.219-229. 

  4. 김문영, 김호경, 경용수 (2007) 사장교의 초기형상해석을 위한 탄성포물선 케이블 요소,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20(1), pp.1-7. 

  5. 안상섭 (1990) 탄성현수선 케이블 요소를 이용한 3차원 케이블 망의 정적 및 동적 비선형 해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한국전력공사 (1995) 영흥도 화력발전소 진입도로 및 교량 실 시설계 구조계산서. 

  7. Chen, D.W., Au, F.T.K., Tham, L.G., Lee, P.K.K. (2000) Determination of Initial Cable Forces in Prestressed Consrete Cable-Stayed Bridges for Given Design Deck Profiles using the Force Equilibrium Method, Computer & Structures 74, pp.1-9. 

  8. Kim, K.S., Lee, H.S. (2001) Analysis of Target Configurations under Dead Loads for Cable-Supported Bridges, Computer & Structures, 79, pp.2681- 2692. 

  9. Wang. P.H., Tseng. T.C., Yang. C.G. (1993) Initial Shape of Cable-Stayed Bridges, Computer & Structrues, 46(6), pp.1095-1106. 

  10. Wang. P.H., Yang. C.G. (1996) Parametric Studies on Cable-Stayed Bridges, Computer & Structrues, 60(2), pp.243-2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