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제도 저구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예인망으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8종, 2,335개체, 5,289.8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으로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565개체 (24.2%)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 독가시치 (Siganus fuscescens), 망상어 (Ditrema temminckii), 복섬 (Takifugu niphobles), 실비늘치 (Aulichthys japonicus), 가시망둑 (Pseudoblennius cottoides),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일곱동갈망둑 (Pterogobius elapoides), 풀해마 (Urocampus nanus), 졸복 (Takifugu pardalis), 미역치 (Hypodytes rubripinnis) 순으로 채집되고, 전체 개체수의 94.2%를 차지하였다. 잘피 건중량은 2009년 8월 121.5 g/m$^2$에서 11월 74.9g/m$^2$, 2010년 2월에는 49.3g/m$^2$로 감소하였고, 그 이후 5월부터 112.8 g/m$^2$로 증가하였다. 살망둑, 조피볼락, 복섬, 실고기, 풀해마는 잘피의 성쇠와 상관없이 연중 출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the attempt to study the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Jeogu on Geoje Island,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by surf net monthly from August 2009 to July 2010. A total 38 species, 2,335 individuals, and 5,289.8g of fish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Chaenogobius annula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거제도 저구 잘피밭은 항내에 위치하고 있어 파도가 잔잔하며 수심 이 얕고, 남쪽으로는 명사 해수욕장이 위치하고 있으며, 연안의 가장자리를 따라 잘피밭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선박의 접근이 힘든 얕은 수심인 거제도 저구 잘피밭에서 인력으로 예망하는 surf net을 이용하여 연중 조사를 통해 채집된 어류상을 파악하고,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김과 곽, 2006), 거제만 잘피밭(이 등, 2010)과 비교 고찰하였으며, 어류의 서식지로서 저구 잘피밭의 중요성을 밝히고 잘피밭 및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 군집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종관?강용주. 1999. 볼락, Sebastes inermis의 섭식생태. 한국수산학회지, 32: 637-641. 

  2. 고유봉?조성환. 1997.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한국어류학회지, 9: 48-60. 

  3. 고유봉?조성환?고경민. 1997.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 집에 관한연구 II.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Brevoort) 의 성장, 산란 및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9: 61-70. 

  4. 김병기?곽우석. 2006. 거제도 지세포만 잘피밭과 구조라 사질 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 소논문집, 19: 79-91. 

  5. 김익수?최 윤?이충열?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원색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15pp. 

  6. 김익수?최 윤?이충열?김병직. 2001. 한국의 농어아목 어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78pp. 

  7.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2011. 경남 거제 명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23: 119- 127. 

  8. 박경동. 2008. 통영바다목장에 서식하는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의 자원생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3pp. 

  9. 박정임?김영균?박상률?김종협?김영상?김정배?이필용? 강창근?이근섭. 2005. 잘피 서식지 복원을 위한 최적 이 식방법 및 시기선정에 관한 연구. Algae, 20: 379-388. 

  10. 이태원?문형태?황학빈?허성회?김대지. 2000. 남해 안골만 잘 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3: 439-447. 

  11. 이근섭?이상용. 2001. 남해안 잘피 서식지 현황 및 복원 방안. 자연보호, 116: 15-20. 

  12. 이대희?김태진?최병언?이소정?곽우석. 2010. 거제도 거제만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22: 179-185. 

  13. 조선형. 2000. 경남 통영해역에 떠다니는 해조류의 어류상. 상명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57pp. 

  14. 차병열. 1999. 거제도 연안해역의 어류 종조성. 한국어류학회지, 119: 184-190. 

  15. 허성회. 1986.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출현량의 계 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9: 509-517. 

  16. 허성회?곽석남. 1997a.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 성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9: 202-220. 

  17. 허성회?곽석남. 1997b.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의 식성. 한국수산학회지, 30: 896-902. 

  18. Arntz, W.E. 1973. Periodicity of dielfood intake of cod Gadus morhua in the Kiel bay. Oikos, 15: 138-145. 

  19. Akagawa, I., T. Iwamoto, S. Watanabe and M. Okiyama. 2004. Reproductive behaviour of Japanese tubesnout, Aulichthys japonicus (Gasterosteiformes), in the natural habitat compared with relatives. Environ. Biol. Fishes, 70: 353-361. 

  20. Federal Register. 1990. Memorandums of Agreement (MOA). Clean Water Act Section 404 (b) (1) Guidelines, 55: 9210-913. 

  21. Horinouchi, M., M. Sano, T. Taniguchi and M. Shimizu. 1999. Effects of changes in leaf height and shoot density on the abundance of two fishes, Rudarius ercodes and Acentrogobius pflaumii in a Zostera bed. Ichthyol. Res., 46: 49-56. 

  22. Horinouchi, M. 2007. Distribution patterns of benthic juvenile gobies in and around seagrass habitats: effctiveness of seagrass shelter against predators. Estuar. Coast. Shelf Sci., 72: 657-664. 

  23. Hughes, T.P., A.H. Baird, D.R. Bellwood and M. Card. 2003. Climate change, human impacts, and the resihence of coral reefs. Science, 301: 929-933. 

  24. Jaccard, P. 1908. Nouvelles resea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 Soc. Vaudoise Sci. Nat., 44: 223-270. 

  25. Kwak, S.N., G.W. Baeck and S.H. Huh. 2004. Feeding ecology of Sillago japonica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J. Kor. Fish. Soc. Tech., 31 : 372-379. 

  26. Kwak, S.N., S.H. Huh and C.G. Choi. 2006. Comparisons of fis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eelgrass bed and adjacent unvegetated habitat in Jindong bay. Korean J. Ichthyol., 18: 119-128. 

  27. Kikuchi, T. 1996. An ecological study on animal communities of the Zostera marina belt in Tomioka Bay, Amakusa, Kyushu. Publ. Amakusa Mar. Biol. Lab., 1: 1-106. 

  28. Lie, H.J. and C.H. Cho. 2002.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East China Sea. Fish. Oceanogr., 11: 318-328. 

  29.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Kanagawa, 1749pp. 

  30. Naglkerken, I. 2009. Ecological connectivity among tropical coastal ecosystems. Springer, New York, 564pp. 

  31.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 Sons Inc., Canada, 601pp. 

  32. Orth, R.J., T.J.B. Carruthers, W.C. Dennison and C.M. Duarte. 2006. A global crisis for seagrass ecosystems. Bioscience, 56: 987-996. 

  33. Shafer, D. and P. Bergstrom. 2010. An introduction to a special issue on large-scale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restoration research in the Chesapeake Bay: 2003-2008. Restor. Ecol. 18:481-489. 

  34. Shannon, C.E. and W. Wi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sis Press, Urbana, 177pp. 

  35. Sogard, S.M. and K.W. Able. 1991. A comparison of eelgrass, sea lettuce macroalgae, and marsh creeks as habitats for epibenthic fishes and decapods. Estuar. Coast. Shelf Sci., 33: 501-519. 

  36. Tamaki, H., M. Tukuoka, W. Nishijima, T. Terawaki and M. Okada. 2002. Deterioration of eelgrass, Zostera marina L., meadows by water pollution in Seto Inland Sea, Japan. Mar. Pollut. Bull., 44: 1253-1258. 

  37. Waycott, M., C.M. Duarte, T.J.B. Carruthers, R.J. Orth, W.C. Dennison, S. Olyarnik, A. Calladine, J.W. Fourqurean, K.L.Jr. Heck, A.R. Hughes, G.A. Kendrick and W.J. Kenworthy. 2009. Accelerating loss of seagrasses across the globe threatens coastal ecosystems. Proc. Natl. Acad. Sci. USA, 106:12377-123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