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갯메꽃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의 식물생장촉진활성
Plant Growth Promotion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Calystegia soldanella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4, 2011년, pp.324 - 329  

유영현 (경북대학교 생명공학부) ,  윤혁준 (경북대학교 생명공학부) ,  우주리 (경북대학교 생명공학부) ,  서영교 (경북대학교 생명공학부) ,  신재호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추연식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인중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안에 자생하는 갯메꽃의 뿌리로부터 8종의 내생진균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식물생장촉진검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리된 내생진균의 배양여액을 난장이벼에 처리하였다. Cs-9-7 균주의 배양여액 처리구에서 난장이벼의 생장촉진활성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Cs-9-7 균주의 배양여액은 GC/MS-SIM을 사용하여 이차대사산물을 분석하였을 때, $GA_3$(1.229 ng/mL), $GA_4$(3.535 ng/mL), $GA_7$(1.408 ng/mL) 그리고 $GA_{12}$(0.378 ng/mL)의 지베렐린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분리된 내생진균의 동정을 위하여, 유니버샬 프라이머 ITS1과 ITS4를 사용하여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Cs-9-7 균주의 동정결과 A. tubingensis와 99%의 유사성이 확인되었으며, A. tubingensis Cs-9-7라고 명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 endophytic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Calystegia soldanella from the western coast of South Korea. The culture filtrate of the eight endophytic fungi were applied to waito-c rice seedlings in order to verify potential plant growth promo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bio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2.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fungi in this stud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gibberellin)란 무엇인가? 내생진균은 식물과 공생하며 식물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GA(gibberellin), IAA(auxin), ABA(abscisic acid) 등의 식물호르몬을 생산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연구도 증가 하고 있다[13, 14]. 그리고 GA는 식물생장호르몬으로서 diterpenoid 복합체로서, 식물의 생장, 개화촉진, 종자의 발아, 줄기신장, 과육의 성숙 등을 조절한다고 보고되었다[4, 8, 13, 19]. 1920년대에 bakanae 병의 원인균인 Gibberella fujikuroi를 일본의 식물병리학자 Kurosawa가 최초로 발견 하였으며, 1935년에 Yabuta와 Sumiki에 의하여 식물생장물질이 분리되었다[17].
식물생장호르몬인 GA는 어떤 미생물에서 생산되는가? 1920년대에 bakanae 병의 원인균인 Gibberella fujikuroi를 일본의 식물병리학자 Kurosawa가 최초로 발견 하였으며, 1935년에 Yabuta와 Sumiki에 의하여 식물생장물질이 분리되었다[17]. GA는 G. fujikuroi 외에도 Phaeosphaeria sp. L487, Neurospora crassa, Pseudomonas sp., Paceloma manihoticola, Penicillium sp. 등에서 생산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원핵미생물과 식물뿐 아니라 진핵미생물에서도 생산 되어지고 있다[1, 8-10, 18, 19]. GA는 현재까지 136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에서 GA1, GA3, GA4 와 GA7이 식물생장촉진활성을 가짐이 밝혀졌으며, 미생물이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로 알려져 있다[2, 3, 11].
해안사구가 여러 측면에서 연구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안사구(coastal sand dune)는 해류와 연안류에 의해서 해안선을 따라 쌓인 모래언덕으로, 물 부족, 빠른 지형변화, 강한 바람, 강한일조량, 염도 등으로 인해 매우 열악한 환경조건을 가지고 있어 식물들의 생육에 부적합하다. 그러나 특이적인 환경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들이 있으며, 생태적 자원 및 관광자원으로서 상당히 중요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 보전 등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사구지역의 난개발과 오염, 훼손 등이 심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사구식물들을 이용한 사구의 보호가 필요하게 되었다[16, 21]. 특히 해안지역의 특성과 육상지역의 지리적 생태적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두 지역의 전이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차별적인 생태계로서 해안사구에서만 볼 수 있는 식물 종들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학적인 관점뿐 아니라, 자원보존에서의 관점 및 여러 측면에서 연구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3, 5]. 최근에는 사구식물들의 보호와 환경 보존을 위하여 사구식물의 발아, 개화 및 성장에 대한 연구와 식물과 공생, 공존하는 미생물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9, 11, 12, 13], 내생진균의 이차대사산물 규명 및 새로운 균주의 개발 등으로 사구식물의 증식과 생장이 사구환경의 보호를 위해서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졌다[9,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siacik, K. S. and N. Aksoz. 2004. Optimization of carbon nitrogen ratio for production of gibberellic acid by Pseudomonas sp. Pol. J. Microbiol. 53: 20-117. 

  2. Bottini, R., F. Cassan and P. Piccoli. 2004. Gibberellin production by bacteria and its involvement in plant growth promotion and yield increase. Appl. Microbiol. Biotechnol. 65: 497-503. 

  3. Carter, R. W. G. 1991. Near future sea level impacts on coastal dunes landscapes. Landscape Ecol. 6: 29-39. 

  4. Choi, W. Y., K. S. Sin, I. J. Lee, I. K. Rhee, J. H. Lee, and J. G. Kim. 2004. Isolation of gibberellin-producing Penicillium spp. from the root of Lindera obtusiloba and Vaccinium koreanum. Korean. J. Mycol. 32: 16-22. 

  5. Garia-Mora, M. R., J. B. Gallego-Fernandez, and F. Garcia- Novo. 2000. Plant diversity as a suitable tool for coastal dune vulnerability assessment. J. Coastal Res. 16: 990-995. 

  6. Hasan, H. A. 2002. Gibberellin and auxin-production by plant root-fungi and their biosynthesis under salinity-calcium interaction. Acta Microbiol. Immunol. Hung. 49: 105-18 

  7. Hamayun, M., Khan, S. A., Khan, M. A., Khan, A. L., Kang, S. M., Kim, S. K., Joo, G. J., and Lee, I. J. 2009. Gibberellin production by pure cultures of a new strain of Aspergillus fumigate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5: 1785-1792. 

  8. Hedden, P. and A. l. Phillips. 2000. Gibberellin metabolism: new insights revealed by the genes. Trands in Plant Sci. 5: 523-530. 

  9. Hwang, J. S., Y. H. You, J. J. Bae, S. A. Khan, J. G. Kim, and Y. S. Choo. 2011. Effects of endophytic fungal secondary metabolite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Carex kobomugi Ohwi. J. Coastal Res. 27: 544-548. 

  10. Kawaide, H. and T. Sassa. 1993. Accumulation of gibberellin A1 and the metabolism of gibberellin A9 to gibberellin A1 in a Phaeosphaeria sp. L 487 culture. Biosci. Biotech. Biochem. 57: 1403-1405. 

  11. Khan, S. A., M. Hamayun, H. Y. Kim, H. J. Yoon, I. J. Lee, and J. G. Kim. 2009. Gibberellin product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by a newly isolated strain of Gliomastix murorum.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5: 829-833. 

  12. Khan, S. A., M. Hamayun, H. Y. Kim, H. J. Yoon, J. C. Seo, Y. S. Choo, I. J. Lee, S. D. Kim, I. K. Rhee, and J. G. Kim. 2009. A new strain of Arthrinium phaeospermum isolated from Carex kobomugi Ohwi is capable of gibberellin production. Biotechnol. Lett. 31: 283-287. 

  13. Khan, S. A., M. Hamayun, H. J. Yoon. H. Y. Kim. S. J. Suh, S. K. Hwang, J. M. Kim, I. J. Lee, Y. S. Choo, U. H. Yoon, W. S. Kong, B. M. Lee, and J. G. Kim. 2008. Plant growth promotion and Penicillium citrinum. BMC Microbiol. 8: 231. 

  14. Kawanabe, Y., H. Yamane, T. Murayama, N. Takahashi, and T. Nakamura. 1983. Identification of gibberellin A3 in mycelia Neurospora Crassa. Agric. Biol. Chem. 47: 1693- 1694. 

  15. Kim, B. S., H. M. Oh, H. Kang, S. Park, and J. Chun. 2004. Remarkable bacterial diversity in the tidal flat sediment as revealed by 16S rDNA analysis. Microb. Biotechnol. 14: 205-211. 

  16. Lee, I. J., Foster, K., and Morgan, P. W. 1998. Photoperiod control of gibberellin levels and flowering in sorghum. Plant physiol. 116: 1003-1011. 

  17. Opelt, K. and G. Berg. 2004. Diversity and antagonistic potential of bacteria associated with bryophytes from nutrient poor habitats of baltic sea coast. Appl. Microbiol. 70: 6569-6579. 

  18. Rachev, R., V. Gancheva, S. Bojkova, C. Christov, and T. Zafirova. 1997. Gibberellin biosynthesis by Fusarium moniliforme in the presence of hydrophobic resin Amberlite XAD-2. Bulg. J. Plant Physi. 12: 24-31. 

  19. Rim, S. O., J. H. Lee, W. Y. Choi, S. K. Hwang, S. J. Suh, I. J. Lee, I. K. Rhee, and J. G. Kim. 2005. Fusarium proliferatum KGL0401 as a new gibberellin-producing fungus. J. Microbiol. Biotechnol. 15: 809-814. 

  20. Vazquez, M. M., S. Cesar, R. Azcon, JM. Barea. 2000. Interaction between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other microbial inoculants (Azospirillum, Pseudomonas, Trichoderma) and their effects on microbial population and enzyme activities in the rhizosphere of maize plants. Appl. Soil Ecol. 15: 261-272 

  21. Williams, A. T. 1998. Integrated management methods monitoring environmental changes in coastal dune ecosystem. pp. 642-653, In K. G. Baether., H. Barth, M. Bohle- Carbonell, C. Fragakis, E. Lipiatou, P. Martin, G. Ollier, and M. Weydart (eds.), Porc. 3rd European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 Brusells, European Commission 2. 

  22. Yamada, A., O. Takeo, D. Yosuke, O. Masatake. 2001. Isol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nd T. bakamatsutake cultures from field-collected ectomycorrhizas. Mycoscience. 42: 43- 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