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이용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
Bioremediation Efficiency of Oil-Contaminated Soil using Microbial Agent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3, 2011년, pp.301 - 307  

홍선화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상민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은영 (수원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첨가한 후 다양한 조건에서20일 동안의 유류저감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조건은 유류로만 오염된 토양(DS),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20%(w/w)가 되도록 첨가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 토양 미생물 복원제를 넣은 후 pH를 중성으로 보정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1), 토양미생물 복원제와 촉진제를 넣은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2), 토양미생물 복원제와 촉진제를 넣은 후 pH를 중성으로 보정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3)을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pH를 보정한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첨가한 유류오염토양은 탈수소 효소 활성과 TPH 저감에서의 효능이 우수하였다. 실험이10일 경과되었을 때 탈수소 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DSP-1 토양이 TPH 역시 가장 활발히 분해했다. 결과적으로 초기 10일의 배양기간 동안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첨가한 토양은 대조군에 비해 38% 가량의 TPH 저감상승효과를 볼 수 있다. 토양미생물 복원제의 첨가를 통해 초기 저감속도를 올려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도 비 첨가군에 비해 높은 저감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유류오염토양을 복원한다면 초기 오염물질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지만 미생물 활성은 pH, 온도 등 환경 인자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토양미생물 복원제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환경 인자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복원을 진행한다면 오염물질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il pollution was world-wide prevalent treat to the environment, and the physic-chemical remediation technology of the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ed soil had the weakness that its rate was very slow and not economical. Bioremediation of the contaminated soil is a useful method i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별한 처치 없이 유류로만 오염된 대조군 토양과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첨가한 실험군의 복원 효능을 비교평가 하였다. 또한 토양미생물 복원제의 활성을 촉진할 수 있게 해주는 촉진제를 사용과 미생물이 성장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인 pH를 보정해 줌으로써 보정하지 않은 조건과 저감율을 비교 평가하였고 CLPP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의 미생물의 특성을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를 위한 토양미생물 복원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특별한 처치 없이 유류로만 오염된 대조군 토양과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첨가한 실험군의 복원 효능을 비교평가 하였다.

가설 설정

  • 실험조건은 유류로만 오염된 토양(DS),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20%(w/w)가 되도록 첨가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 토양미생물 복원제를 넣은 후 pH를 중성으로 보정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1), 토양미생물 복원제와 촉진제를 넣은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2), 토양미생물 복원제와 촉진제를 넣은 후 pH를 중성으로 보정한 유류로 오염된 토양(DSP-3)을 조건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복원제의 제작과정에서 낮은 pH(pH 5.5)로 제조되어 토양 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아래 1 N의 NaOH와 HCl용액을 이용하여 중성 pH로 보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유계 탄화수소 화합물은 어떤 과정을 통해 환경으로 유입되는가? 석유화학산업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유기 및 무기오염물질들이 환경에 유출되었고, 토양과 지하수 등의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18]. 그 중에서 산업활동에 중요한 에너지 원으로 이용되는 석유계 탄화수소 화합물(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은 수송, 저장 및 이용 과정을 통해 환경으로 유입된다[10, 19]. 환경에 유입된 TPH는 물리,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제거 가능하나[11], 처리비용이 비싸고 오염물질의 분해가 불완전하며,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며, 2차적인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6, 9, 17].
환경에 유입된 TPH를 제거하는 것은, 어떤 단점을 갖고 있는가? 그 중에서 산업활동에 중요한 에너지 원으로 이용되는 석유계 탄화수소 화합물(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은 수송, 저장 및 이용 과정을 통해 환경으로 유입된다[10, 19]. 환경에 유입된 TPH는 물리,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제거 가능하나[11], 처리비용이 비싸고 오염물질의 분해가 불완전하며,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며, 2차적인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6, 9, 17]. 특히 석유 지하 저장시설, 주유소의 누출로 인한 오염, 그리고 군부대에서의 부적절한 관리로 인한 유류오염은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켜 그 피해범위가 계속적으로 확산되어 나가고 있다.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기술의 두 종류 중, 생물학적 처리 기술의 장점은? 유류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기술은 크게 물리화학적 기술과 생물학적 기술로 나눌 수 있다. 두 종류의 기술 중 생물학적 처리 기술은 처리비용이 적게 소요될 뿐 아니라, 2차적인 오염물질을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미생물을 이용한 오염 토양의 정화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기술 중 하나로서, TPH와 같은 환경에 잔존하고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5, 8, 12,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Y. J., Y. H. Joo, I. Y. Hong, H. W. Ryu, and K. S. Cho. 2004.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toluene-degrading denitrifying consortia obtained from terrestrial and marine ecosystems. Appl. Environ. Microbiol. 65: 611-619. 

  2. Betancur-Galvis, L. A., D. Alvarez-Bernal, A. C. Ramos- Valdivia, and L. Dendooven. 2006. Bioremedi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contaminated saline-alkaline soils of the former Lake Texcoco. Chemosphere 62: 1749-1760. 

  3. Garland, J. L. 1997.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ommunity level physiological profiles in microbial ecology. FEMS Microbiol. Ecol. 24: 289-300. 

  4. Garland, J. L. and A. L. Mills. 1991.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terotrophic microbial communities on the basis of patterns of community level sole carbon source util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57: 2351-2359. 

  5. Glick, B. R. 2003. Phytoremediation: synergistic use of plants and bacteria to clean up the environment. Biotechnol. Adv. 21: 383-393. 

  6. Huang, X. D., Y. El-Alawi, J. Gurska, B. R. Glick, and B.M. Greenberg. 2005. A multi-process phytoremediation system for decontamination of persistent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from soils. Microchem. J. 81: 139-147. 

  7. Ian, F. S. and J. F. Peter. 2003. A tribute to claude shannon (1916-2001) and a plea for more rigorous use of species richness, species diversity and the shannon-wiener index. Global Ecol. Biogeogr. 12: 177-179. 

  8. Imsande, J. 1998. Iron, sulfur, and chlorophyll deficiencies: A need for an integrative approach in plant physiology. Physiol. Plant. 103: 139-144. 

  9. Macek, T. M. and J. Kas, 2000. Exploitation of plants for the removal of organics in environmental remediation. Biotechnol. Adv. 18: 23-34. 

  10. Margesin, R., D. Labbe, F. Schinner, C. W. Greer, and L. G. Whyte. 2003. Characterization of hydrocarbon-degrading microbial populations in contaminated and pristine Alpine soils. Appl. Environ. Microbiol. 6: 3085-3092. 

  11. Marques, A. V., S. C. Cunha des Santos, R. D. C. Casella, R. L. Vital, C. V. Sebastin, and L. Seldin. 2008. Bioremediation potential of a tropical soil contaminated with a mixture of crude oil and production water. J. Microbiol. Biotechnol. 18: 1966-1974. 

  12. Medina-Bellver, J. I., P. Marn, A. Delgado, A. Rodrguez- Sanches, E. Reyes, J. L. Ramos, and S. Marqus. 2005. Evidence for in situ crude oil biodegradation after the Prestige oil spill. Environ. Microbiol. 7: 773-779. 

  13. Mresi, W. and F. Schinner. 1991. An improved and accurate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hydrogenase activity of soils with iodonitrotetrazilium chloride. Biol. Fertil. Soils. 11: 210-220. 

  14. Muhammad, A., J. Xu, Z. Li, H. Wang, and H. Yao. 2005. Effects of lead and cadmium nitrate on biomass and substrate utilization pattern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Chemosphere 60: 508-514. 

  15. Nam, B. H., B. J. Park, and H. S. Yun. 2008. Biodegradation of JP-8 by Rhodococcus fascians Isolated from Petroleum Contaminated Soil. Kor. J. Microbiol. Biotechnol. 23: 819- 823. 

  16. Philp, J. C., S. M. Bamforth, I. Singleton, and R. M. Atlas. 2005.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toration: A role for bioremediation, In R. M. Atlas, and J. Philp (eds.). Bioremediation. ASM Press, Washington, DC. U.S.A. 1-48. 

  17. Reichenauer, T. G. and J. J. Germida, 2008. Phytoremediation of organic contaminants in soil and groundwater. Green Sust. Chem. 1: 708-717. 

  18. Valeria, P. A., R. B. Vieira, F. P. Franca, and V. L. Cardoso. 2007. Biodegradation of effluent contaminated with diesel fuel and gasoline. J. Hazard. Mater. 140: 52-59. 

  19. Wei, Q. F., R. R. Mather, and A. F. Fotheringham. 2005. Oil removal from used sorbents using a biosurfactant. Bioresour. Technol. 96: 331-334. 

  20. Yao, H., Z. He, M. J. Wilson, and C. D. Campell. 2000. Microbi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a accumulation in soils increasing fertility and changing land use. Microb. Ecol. 40: 223-2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