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하수로 인근에서 조석 변형과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동 특성
Periodic characteristics of long period tidal current by variation of the tide deformation around the Yeomha Waterwa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3 no.5, 2011년, pp.393 - 400  

송용식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경기만과 같이 지형이 복잡하고 조차가 큰 해역에서는 활발한 물질순환이 나타난다. 이러한 물질순환에 영향을 주는 장주기 흐름은 다양한 외력에 의하여 형성되며 시공간적으로 독특한 특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만에 위치하는 인천항부터 잠실수중보 사이에서 동기간에 관측된 조위와 유속자료를 분석하여 장주기 조류성분의 주기적인 변화 특성과 발생 기작을 파악하였다. 염하수로와 한강하구에서는 배조나 복합조와 같은 비선형분조의 증가로 인하여 조석파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평균해면 상승이 나타난다. 경기만으로부터 한강으로 전파하는 조석파는 수로폭과 수심이 크게 감소하는 염하수로로 진입하면서 급격히 변형되어 저조위와 평균해면이 상승하며, 상류로 갈수록 조석변형이 커진다. 이러한 조석변형은 조차가 큰 대조기에 증가하고 조차가 작은 소조기에 감소하며 주기적인 변동을 나타내는데, 이는 장주기 조석성분인 $M_{sf}$ 분조로 해석될 수 있다. 조석변형의 공간적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해면 경사는 대조-소조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보이며 대조기에 증가한다. 해면 경사의 장주기 변동에 반응하여 조류의 장주기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장주기 조류성분은 상류에서 크게 증가하여 한강하류인 전류리 인근에서는 주요 분조인 $S_2$ 분조보다 크게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ss transport is very complicated at the area which has the macro tide and complex geometry such as Gyeonggi bay. Especially, the long period current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estuarine ecosystem and the long-term distribution of substances. The long period current is caused by several ex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05년 1년 동안의 정점 T1과 T2 조위 자료를 대상으로 48시간 절단 주기의 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단주기 조석성분을 제거한 후 장주기 성분간의 차이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Fig. 9에 제시하였다. 단주기 조석성분이 제거된 성분을 산술평균해면으로, 그 차이를 해면경사로 정의하였다.
  • 관측된 유향, 유속자료로부터 주성분 방향의 유속성분을 계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성분 방향은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산정하였다.
  • 이를 위하여 2005년 11월과 12월에 한강하구와 염하수로 그리고 인천항 인근의 총 4개 정점에서 관측된 조류자료와 인천항, 강화도, 전류리, 한강대교, 잠수교에서 관측된 조위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팔당댐 방류량과 임진강, 주요 한강지류의 유량을 사용하여 담수 유입량을 파악하였다.
  • 동기간에 관측된 조석과 조류자료를 사용하여 한강하류 및 염하수로에서 장주기 조류성분의 주기적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장주기 조류성분의 주기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절단주기 48시간의 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단주기 조석과 조류 성분을 제거하였다.
  • 5일의 주기를 갖는다. 따라서 절단주기 48시간의 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2일 미만의 주기를 갖는 단주기 조류성분들을 제거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조류 관측자료는 21일부터 36일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관측되어 조화분석을 통해서는 장주기 조류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low-pass filter를 사용하였다(식 1-2).
  •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와 염하수로에서 동기간에 관측된 조위와 유속자료를 사용하여 장주기 조류성분의 발생 원인과 주기적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 11월과 12월에 한강하구와 염하수로 그리고 인천항 인근의 총 4개 정점에서 관측된 조류자료와 인천항, 강화도, 전류리, 한강대교, 잠수교에서 관측된 조위자료를 분석하였다.
  • 1, Table 1)에서 유속계 (RCM9 또는 RCM7, AANDERAA, Norway)를 계류하였다. 부이를 사용하여 유속계를 해표면하 2 m에 고정시켰으며, 10분마다 유속, 유향 자료를 자기기록 하였다(Fig. 3). 정점 PC1은 신곡수중보로부터 하류방향으로 약 16 km 떨어져 있으며, 수심은 DL(-)8 m 이고 하폭은 1 km 미만이다.
  • 따라서 절단주기 48시간의 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2일 미만의 주기를 갖는 단주기 조류성분들을 제거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조류 관측자료는 21일부터 36일까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관측되어 조화분석을 통해서는 장주기 조류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low-pass filter를 사용하였다(식 1-2).
  • 2.2 유속

    유속자료 취득을 위하여 4개 정점(Fig. 1, Table 1)에서 유속계 (RCM9 또는 RCM7, AANDERAA, Norway)를 계류하였다. 부이를 사용하여 유속계를 해표면하 2 m에 고정시켰으며, 10분마다 유속, 유향 자료를 자기기록 하였다(Fig.

  • 이와 같은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측된 장주기 조류성분의 주기성과 이를 형성할 수 있는 외력들의 주기성을 비교하였다. 흐름의 장주기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으로는 조석의 비선형성, 바람 그리고 공간적인 밀도차 등이 있다(Yanagi, 1999).
  •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Fig. 5에 T1(인천)의 조위 시계열, 정점별 주성분 방향 유속(Vp) 그리고 48시간 이하의 단주기 성분이 제거된 장주기 조류성분(VL)의 시계열을 제시하였다. 정점 PC1은 +, 나머지 정점들은 -값이 하류방향을 의미한다.
  •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화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절단주기 48시간의 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그 이하의 주기를 갖는 조류성분을 제거하였다. 2일 이상의 장주기 성분은 MF, Msf, MM, SSA로 각각 13.
  • 동기간에 관측된 조석과 조류자료를 사용하여 한강하류 및 염하수로에서 장주기 조류성분의 주기적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장주기 조류성분의 주기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절단주기 48시간의 low-pass filter를 사용하여 단주기 조석과 조류 성분을 제거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05년 1년 동안 T1(인천항 검조소, 국립해양조사원), T2(강화도 검조소, 국립해양조사원), T3(전류리 수위관측소, 한강홍수통제소), T4(한강대교 수위관측소, 한강홍수통제소) 그리고 T5(잠수교 수위관측소, 한강홍수통제소) (Fig. 1)에서 관측된 조위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Fig. 2). 기준면은 모두 인천 평균해수면으로 동일하다.
  • 관측 기간 동안 나타난 2회의 소조기 중 두 번째 소조기인 12월 9일부터 12월 11일에는 T1(인천)에서 4.4 m 이상의 비교적 큰 조차가 발생하였으며, 저조위는 EL(-)2.5 m 이하로 하강하였다. 따라서 소조기 임에도 불구하고 이 기간 동안에는 T1과 T2 사이에서 하류방향의 평균해면 경사가 유지된다.
  • 관측은 2005년 11월 15일부터 12월 23일까지 수행되었으며, 전정점의 자료가 존재하는 기간은 12월 2일 부터 12월 17일까지이다.
  • 한강에서 조석파는 잠실수중보까지 전파되기 때문에 잠수교(T5) 하류의 수위관측소에서 제공되는 유량은 조석의 영향을 받은 자료로서 하천수 유입이 포함된 조량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석의 영향을 받지 않은 팔당댐 방류량과 임진강(적성), 한강의 주요 지류인 왕숙천, 탄천, 중랑천, 안양천의 유량을 하천유입량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국토해양부의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ww.
  • 따라서 조석의 영향을 받지 않은 팔당댐 방류량과 임진강(적성), 한강의 주요 지류인 왕숙천, 탄천, 중랑천, 안양천의 유량을 하천유입량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국토해양부의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ww.wamis.go.kr)의 유량자료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강하구와 염하수로에서 동기간에 관측된 조위와 유속자료를 사용하여 장주기 조류성분의 발생 원인과 주기적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 11월과 12월에 한강하구와 염하수로 그리고 인천항 인근의 총 4개 정점에서 관측된 조류자료와 인천항, 강화도, 전류리, 한강대교, 잠수교에서 관측된 조위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팔당댐 방류량과 임진강, 주요 한강지류의 유량을 사용하여 담수 유입량을 파악하였다.
  •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T1(인천)과 최상류인 T5(잠수교) 간의 거리는 약 97 km이며, 두 정점간의 거리는 주수로를 통한 거리를 의미한다. 조석파는 잠수교 상류 9.5 km (인천항에서 109 km)에 위치한 잠실수중보 까지 전파한다. 정점 T1(인천)은 반일주조가 우세한 혼합조의 특성이 나타나며, 분석기간 동안의 최대조차는 8.

이론/모형

  • 관측된 유향, 유속자료로부터 주성분 방향의 유속성분을 계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성분 방향은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산정하였다. 정점별 조류벡터 시계열을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만은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가? 경기만은 반폐쇄성 하구역으로서 평균대조차가 7.9 m이고 평균소조차가 3.5 m인 대조차 특성이 나타난다. 큰 조차와 완만한 지형경사로 인하여 넓은 조간대가 발달해 있으며, 그 결과 복잡한 하구순환 특성을 보인다(Park et al.,2002).
경기만의 대부분의 담수는 어디서 유입되는가? ,2002). 대부분의 담수는 한강으로부터 유입되며 연간 총유입량의 70% 이상이 우기(6월부터 9월)에 집중된다. 연평균(2006년) 담수유입량은 320 m3/s 이며, 다량의 오염물질이 한강을 거쳐 경기만으로 유입된다.
경기만이 복잡한 하구순환 특성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5 m인 대조차 특성이 나타난다. 큰 조차와 완만한 지형경사로 인하여 넓은 조간대가 발달해 있으며, 그 결과 복잡한 하구순환 특성을 보인다(Park et al.,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2002). 한강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구(II). BSPM12800-1463-2, 452 pp. 

  2. 윤병일 (2006). 경기만 한강하구 조석/조류 전파특성 및 비선형 천해분도에 대한 수치모델링.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 pp. 

  3. Dyer, K.R. (1997). Estuaries, A physical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5 pp. 

  4. Kim, C.S., Lim, H.S., Kim, J.A. and Kim, S.J. (2009). Residual flow and its implication to macro-tidal flats in Kyunggi Bay Estuary of Korea. J. Coast. Res., Special issue 56. 

  5. Park, K., Oh, J.H., Kim, H.S. and Im, H.H.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Korea. J. hydraulic eng., 128(3): 257-267. 

  6. Parker, B.B. (1991).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rious nonlinear mechanism in a wide range of tidal interactions (review). In: Tidal hydrodynamics, Parker, John Wiley & Sons, Inc., pp. 237-268. 

  7. Stacey, M.T., Burau, J.R. and Monismith, S.G. (2001). Creation of residual flows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J. Geophys. Res., 106: 17,013-17,037. 

  8. Speer, P.E, Aubrey, D.G. and Friedrichs, C.T. (1991). Nonlinear hydrodynamics of shallow tidal inlet/bay systems. In: Tidal hydrodynamics, Parker, John Wiley & Sons, Inc., pp. 321-339. 

  9. Yanagi, T (1999). Coastal oceanography. Springer, 172 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