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자동실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산모와 의료기관 요인: 전국 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
Maternal and Hospital Factors Impacting the Utilization of Rooming-in Care in South Korea: Secondary Analysis of National Health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5, 2011년, pp.593 - 602  

김윤미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영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analysis was done of utilization of rooming-in care in South Korean hospital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mothers and hospitals that affect rooming-in care. Methods: With the involvement of 254,414 mothers who gave birth across 953 hospitals, the analysis us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에 걸친 대규모 자료를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관의 모자동실 이용현황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산모와 의료기관 요인을 파악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모자동실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있는 세부적인 변수를 모두 고려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의료기관에서 분만한 산모의 모자동실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모자동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산모와 의료 기관 조직요인을 함께 고려한 횡단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모자동실 이용현황을 확인하고, 산모와 의료기관 조직특성이 모자동실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모자동실을 확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국내 선행연구들은 일부 제한된 산모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일반화가 어려우며, 산모 요인만을 고려하여 의료기관의 맥락적 요인을 파악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자동실의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자동실이 실제로 이용되지 않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산모와 의료기관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자료를 이용하여 모자동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산모 요인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차원까지 분석함으로써, 모자 동실 활성화를 위한 간호중재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자동실의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자동실이 실제로 이용되지 않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산모와 의료기관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자료를 이용하여 모자동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산모 요인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차원까지 분석함으로써, 모자 동실 활성화를 위한 간호중재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자별실이란? 모자별실은 분만 후 산모와 신생아가 서로 다른 병실에 머무는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진료비청구명세서상 신생아실입원료 코드[신생아실입원료_상급종합병원(AG111), 신생아실입원료_ 종합병원(AG211), 신생아실입원료_병원(AG311), 신생아실입원료_ 의원(AG411)]가 발생한 경우를 일컫는다.
2개의 독립변수인 산모요인과 의료기관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산모요인에는 연령, 산과력, 분만방법 등이 포함되며, 의료기관 요인 에는 의료기관 유형, 수련병원 여부, 의료기관 소재지역, 조정된 간호등급 등이 포함된다.
모자동실이란? 모자동실은 분만 직후부터 병원에 머무르는 동안 엄마와 아기를 한방에 머물게 하는 가족중심적 대상자 관리체계를 말한다(Reeder, Martin, & Koniak-griffin, 1997). 본 연구에서는 전자문서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 EDI) 방식에 의한 진료비청구명세서상 신생아 입원료로 모자동실 입원료 코드[모자동실입원료_상급종합병원 (AG112), 모자동실입원료_종합병원(AG212), 모자동실입원료_병원 (AG312), 모자동실입원료_의원(AG412)]가 발생한 경우를 일컫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Sochalski, J., & Silber, J. (2002).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 1987-1993. doi:10.1001/jama.288.16.1987 

  2. Buchan, J., Bretherton, T., Bearfield, S., & Jackson, S. (2004). Stable but critical: The working conditions of Victorian public sector nurses in 2003. Retrieved September 1, 2006, from www.acirrt.com 

  3. Bystrova, K., Ivanova, V., Edhborg, M., Matthiesen, A., Ransjo-Arvidson, A. B., Mukhamedrakhimov, R., et al. (2009). Early contact versus separation: Effects on mother-infant interaction one year later. Birth, 36, 97-109. doi:10.1111/j.1523-536X.2009.00307.x 

  4. Crivelli-Kovach, A., & Chung, E. K. (2011). An evaluation of hospital breastfeeding policies in the Philadelphia metropolitan area 1994-2009: A comparison with the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ten steps. Breastfeeding Medicine, 6, 77-84. doi:10.1089/bfm.2010.0009 

  5. Declercq, E., Sakala, C., Corry, M. P., Applebaum, S., & Risher, P. (2002). Listening to mothers: Report of the first national U.S. survey of women's childbearing experiences. Retrieved August 5, 2010, from http://www.maternitywise.org/listenintomothers 

  6. de Oliveira, M. I., & Leal Mdo, C. (1997). Rooming-in and cesarean section in maternity hospitals in the state of Rio de Janeiro, Brazil. Revista de Saude Publica, 31, 572-580. 

  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 Evaluation report about cesarean section delivery. Seoul: Author. 

  8. Katz, M. H. (2006). Multivariable analysis: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Kim, E. Y., Kim, Y. M., Kim, J. S., Cho, D. S., & Kim, E. K. (2010). Attitude and awareness of nurses about rooming-in syste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137-146. 

  10. Kim, Y. M., Jang, H. Y., Jeong, E. J., Kim, E. Y., Kim, J. S., & Kim, E. K. (2008).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neonatal care system.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1. Kim, Y. M., Park, G. Y., Jang, H. R., Jeoung, E. J., Kim, J. S., & Kim, E. Y. (2009). Comparisons of maternal perceptions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77-89. 

  12. Lee, S. C.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factors influencing on women's choose of rooming-in during their postpartum hospital st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3. Levitt, C. A., Kaczorowski, J., Hanvey, L., Avard, D., & Chance, G. W. (1996). Breastfeeding policies and practices in Canadian hospitals providing maternity car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5, 181-188. 

  14. Liamputtong, P. (2004). Giving birth in the hospital: Childbirth experiences of Thai women in northern Thailand.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5, 454-480. doi:10.1080/07399330490267468 

  15.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7). Guideline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Author. 

  16.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9).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Seoul: Authors. 

  1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0). Medical law. Retrieved August 5, 2010, from http://www.moleg.go.kr 

  18. Moore, E. R., & Anderson, G. C. (2007).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ery early mother-infant skin-to-skin contact and breastfeeding status.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 129-141. 

  19. Nelson, E. A., Taylor, B. J., Jenik, A., Vance, J., Walmsley, K., Pollard, K., et al. (2001). International child care practices study: Infant sleeping environment. Early Human Development, 62, 43-55. 

  20. Park, S. H. (2003). Analysis of direct nursing activity and patient outcomes related to graded fee of nursing management for in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122-129. 

  21. Reeder, S. J., Martin, L. L., & Koniak-griffin, D. (1997). Maternity nursing. New York: Lippincott. 

  22. Reise, S. P., & Duan, N. (1999). Multilevel modeling and its application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7, 528-551. 

  23. Rice, P. L. (2000). Rooming-in and cultural practices: Choice or constraint?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18, 21-32. 

  24. Song, J. E., Lee, M. K., & Chang, S. B. (2002). Differences of maternal fetal attachment between the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of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529-538. 

  25. Svensson, K., Matthiesen, A. S., & Widstrom, A. M. (2005). Night rooming-in: Who decides? An example of staff influence on mother's attitude. Birth, 32, 99-109. doi:10.1111/j.0730-7659.2005.00352.x 

  26. Tu, F. F., Beaumont, J. L., Senapati, S., & Gordon, T. E. (2009). Route of hysterectomy influence and teaching hospital status. Obstetrics & Gynecology, 114, 73-78. 

  27. Ungerer, R. L., & Miranda, A. T. (1999). Rooming-in history. The Journal of Pediatrics, 75, 5-10. 

  28. Van den Heede, K., Sermeus, W., Diya, L., Clarke, S. P., Lesaffre, E., Vleugels, A., et al. (2008). Nurse staffing and patient outcomes in Belgian acute hospitals: Cross-sectional analysis of administrative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 928-939. doi:10.1016/j.ijnurstu.2008.05.007 

  29. Wennberg, J. E. (2004). Practice variations and health care reform: Connecting the dots. Health Affairs, Suppl Variation, 140-144. doi:10.1377/hlthaff.var.140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Evidence for the 10 steps to successful breastfeeding (rev.ed., WHO/CHD/98.9). Geneva: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