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술 초산모의 자가 착유 행위 효과
Effects of Self-breast Pumping in Primiparous Women after Cesarean Deliver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8 no.2, 2012년, pp.98 - 107  

여정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문길남 (화명일신기독병원) ,  이선옥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breast pumping on breastfeeding rates and, the degree of breast milk fullness among primiparous women giving birth by cesarean section.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synchronized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 with repeated mea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방 마사지는 건강아(Ahn, Kim, & Cho, 2011; Hong, 2010)에게 활용되었고, 유축기를 이용한 착유 행위는 조산아를 대상으로 모유를 먹이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Furman, Minich,, & Hack, 2002). 그러나 본 연구는 착유 행위를 모유량 촉진을 위한 목적으로 건강아에게 적용하여 착유 행위의 활용도를 높였다. 이는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 그 결과 모유수유 실천율과 유즙량 충족 정도는 자가 착유 행위를 한 실험군과 하지 않은 대조군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유수유 실천율과 유즙량 충족 정도에 대한 자가 착유 행위의 효과는 검증되지 못했지만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중요한 의미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제왕절개로 분만한 초산모에게 자가 착유 행위를 적용하여 유즙량 충족 정도와 모유수유 실천율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모유량 부족으로 인한 모유수유 중단에 대한 실질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반복 측정 유사 실험연구이다. 실험처치는 자가 착유 행위, 종속변수는 모유수유 실천율, 유즙량 충족 정도, 외생변수는 모유수유 지식과 모유수유 태도, 모유수유 빈도, 첫 모유수유 시간, 계획한 모유수유 기간이었다(Figure 1).
  • 이는 대조군에 실시된 5일간의 규칙적인 완전 모유수유 행위와 실험군에 적용된 자가 착유 행위가 유사한 효과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유축기를 통한 자가 착유 행위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규칙적인 완전 모유수유 행위의 가치가 발견되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초산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후 자가 착유 행위를 적용하여 모유수유 실천율과 유즙량 충족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모유수유 실천율과 유즙량 충족 정도는 자가 착유 행위를 한 실험군과 하지 않은 대조군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제왕절개술을 받은 초산모를 대상으로 산후 6일, 4주, 8주, 12주 시점에서 자가 착유 행위가 모유수유 실천율과 유즙량 충족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제왕절개술을 받은 초산모를 대상으로 자가 착유 행위를 적용한 실험군과 하지 않은 대조군간의 모유수유 실천율과 유즙량 충족 정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인 모유수유 빈도와 첫 모유수유 시간을 통제한 후 실험되었다.
  • 착유행위는 유관 내 남은 유즙을 비우는 행위이다(Kim 2001). 본 연구에서는 유즙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산후 2일부터 5일까지 4일간 각 유방에서 10분 이상 아기에게 모유수유한 후 수동형 유축기(SCF300/20, Philips Avent, Suffolk, UK)를 사용하여 남은 유즙이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짜내는 행위를 말한다.

가설 설정

  • 다섯째, 모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통제해야 할 것이다.
  • 둘째, 전적으로 유축기를 통해 모유수유를 한 실험군이 필요할 것이다. 단 정상적인 모유수유가 가능한 건강아의 경우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설 1. 자가 착유 행위를 적용한 실험군의 모유수유 실천율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자가 착유 행위를 적용한 실험군의 산후 6일 측정값 대비 유즙량 충족 정도의 증가폭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의 생리적 기전은? 모유 생성의 생리적 기전은 분만 시 태반 만출로 인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혈중 농도 저하로 시작하며, 모유는 유방의 포상세포의 기저부에서 생성되어 유선에 저장되었다가 아기의 흡철에 의한 근상피세포의 수축으로 분비된다. 이러한 생리적 과정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유두를 빠는 자극이 필요하고 유즙이 적절히 제거되어야 한다(Lee, 1999).
착유 행위를 하는 이유는? 착유 행위는 흡유하는 데 문제가 있는 조산아에게 모유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나 건강한 아이에게도 모유 생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분만 후 며칠 동안 빈번하게 적용되기도 한다 (Chapman, Young, Ferris, & Pérez-Escamilla, 2001; Hopkinson, Schanler, & Garza, 1988). Lee (1999)는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산모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후 착유를 제공하여 모유수유 실천율이 증가됨을 보고하였다.
제왕절개술 산모가 모유수유 행위를 위해 모자동실이 필요한데 병원여건상 어려운 경우 어떤환경 조정이 필요한가요? 본 연구에서의 규칙적인 모유수유 행위는 분만방법과 무관하게 분만 후 입원기간 동안 모자동실을 원칙으로 하며, 분만 후 6시간 내 모유수유를 실시하도록 하는 병원방침이 있어 가능하였다. 만약 병원의 여러 여건상 모자동실이 어렵다면 인공유 먹이지 않기, 분만 후 빠른 시간 내 젖물리기, 아기가 원할 경우 아이를 데려와 모유 제공하기 등 규칙적인 모유수유 행위를 위한 환경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모유수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의료인과 산모의 태도, 모유수유를 위한 실제적인 교육과 지지도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S. H., Kim, J. H., & Cho, J. S. (2011). Effects of breastmassage on breast pain, breast-milk sodium, and newborn suckling in early postpartum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 451-459. http://dx.doi.org/10. 4040/jkan.2011.41.4.451. 

  2. Baek, K. S., & Lee, S. Y. (2010). A study on the breast-feeding experience of mothers. Qualitative Research, 11 , 69-79. 

  3. Becker, G. E., McCormick, F. M., & Renfrew, M. J. (2008). Methods of milk expression for lactating women (Review).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8, 1-39. http:// dx.doi.org/10.1002/14651858.CD006170.pub2 

  4. Chapman, D. J., Young, S., Ferris, A. M. & Penrez-Escamilla, R. (2001). Impact of breast pumping on lactogenesis stage II after cesarean deliver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ediatrics, 107 (6), 1-7. http://dx.doi.org/10.1542/peds. 107.6.e94 

  5. Daly, S. E. J., & Hartmann, P. E. (1995). Infant demand and milk supply. Part I: Infant demand and milk production in lactating women. Journal of Human Lactation, 11 , 21-26. http://dx.doi.org/10.1177/089033449501100119 

  6. Dennis, C. L. (2002). Breastfeeding initiation and duration: A 1990-2000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1 , 12-32. http://dx.doi.org/ 10.1111/j.1552-6909.2002.tb00019.x 

  7. Fewtrell, M., Lucas, P., Collier, S., & Lucas, A. (2001). Randomized study comparing the efficacy of a novel manual breast pump with a mini-electric breast pump in mothers of term infants. Journal of Human Lactation, 17, 126-131. http://dx.doi.org/ 10.1177/089033440101700206 

  8. Furman, L., Minich, N., & Hack, M. (2002). Correlates of lactation in mother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Pediatrics, 109, e57. http://dx.doi.org/10.1542/peds.109.4.e57 

  9. Hill, P. D., Aldag, J. C., & Chatterton, R. T. (2001). Initiation and frequency of pumping and milk production in mothers of non-nursing preterm infants. Journal of Human Lactation, 17 , 9-13. http://dx.doi.org/10.1177/089033440101700103 

  10. Hong, S. M. (2010). Effect and obstacles of breast-feeding practices and continuance by breastfeeding clinic at local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11. Hopkinson, J. M., Schanler, R. J., & Garza, C. (1988). Milk production by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Pediatrics, 81 , 815-820. 

  12. Jang, G. J., & Kim, S. H. (2010).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n Breast-feeding Rates and Infant's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77- 286. http://dx.doi.org/10.4040/jkan.2010. 40.2.277 

  13. Jeong, G. H. (1997). Effec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romoting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primipa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earney, M. H., Cronenwett, L. R., & Barrett, J. A. (1990). Breastfeeding problems in the first week postpartum. Nursing Research, 39 , 90-95. 

  15. Kim, H. S. (2001). A guide for breast feeding. Seoul: Hyunmoonsa. Kim, Y. J., Moon, G. N., Jung, J. H., Lee, S. O., Choi, G. S., Chun, E. S., & Bae, J. Y. (1998). Breast-feeding practice according the first week of postpart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4, 416-428. 

  16. Kim, S, K., Kim, Y. K., Cho, E. J., Kim, H. R., & Im, S. E. (2009). The 2009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 Kools, E. J., Thijs, C., Kester, A. D. M., Brandt, P. A., & Vries, H. (2005). A breast-feeding promotion and support program a randomized trial in the Netherlands. Preventive Medicine, 40, 60-70. http://dx.doi.org/10.1016/j.ypmed.2004.05.013 

  18. Lee, E. S., & Suh, Y. S. (1996).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on the promotion of mother's feeding compli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 , 59-75. 

  19. Lee, H. W. (1999). A study of the effect of breast care on the breast-feeding practice in various stage of lac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e, J. Y., Park, S. W., & Park, J. H. (2002). A survey on breastfeeding practices and its related factors in Pohang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6 , 149-167. 

  21. Mitoulas, L. R., Lai, C. T., Gurrin, L. C., Larsson, M., & Hartmann, P. E. (2002). Efficacy of breast milk expression using an electric breast pump. Journal of Human Lactation, 18 , 344-352. http://dx.doi.org/10.1177/089033 402237907 

  22. Perez-Escamilla, R., Maulen-Radovan, I., & Dewey, K. G. (1996). The association between cesarean delivery and breastfeeding outcomes among Mexican women. American Journal of Pubic Health, 86 , 832-836. 

  23. Ramsay, D. T., Kent, J. C., Owens, R. A., & Hartmann, P. E. (2004). Ultrasound imaging of milk ejection in the breast of lactating women. Pediatrics, 113, 361-367. http://dx. doi.org/10.1542/peds.113.2.361 

  24. Shawky, S., & Abalkhail, B. A. (2003). Matern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of breast feeding in Jeddah, Saudi Arabia. Paediatric and Perinatal Epidemiology, 17, 91-96. http://dx.doi.org/10.1046/j.1365-3016.2003.00468.x 

  25. Thulier, D., & Mercer, J. (2009). Variables associated with breastfeeding durat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8, 259-268. http://dx.doi.org/10.1111/j. 1552-6909.2009.01021.x 

  26. Walker, M. (2008). Conquering common breast-feeding problems.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2 , 267-274. http://dx.doi:10.1097/01.JPN.0000341356.45446.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