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19 no.5, 2011년, pp.27 - 35
윤하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손종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국토해양부 지적기획과) , 김재명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현재의 지적측량은 100년 전에 작성된 지적도를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해지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계복원이 어렵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과 지상경계표지의 부재로 인하여 토지소유자간 분쟁, 지적불부합지 발생 등의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지적측량을 위하여 정확도와 오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의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규정된 정확도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의 지적측량 규정을 다른 측량 규정과 비교 분석하여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오차에 관한 명확한 정의와 영구적인 지상경계점의 설치가 필요하며, 통일되고 일관적인 기준점 사용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토지소유자 중심의 정확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지적 측량 작업규정의 절차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current cadastral surveying is used digital cadastral map. This map is no local confirmation. Besides, Base cadastral map drawn up 100 years ago. And Graphical cadastral characteristic is difficult to ground boundary points restoration. Due to the lack of ground boundary points can cause land d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지적제도란 무엇인가? | 지적제도는 모든 토지를 필지(지번)단위로 물리적 현황과 법적권리관계를 지적공부에 공시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지적정보는 등기, 평가, 과세, 거래, 이용계획, 국토통계, 도시개발 등의 여러 분야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 |
정확한 지적 측량이 필요한 배경은? | 이러한 지적정보는 등기, 평가, 과세, 거래, 이용계획, 국토통계, 도시개발 등의 여러 분야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적도는 100년 전에 작성되어 신축, 마모, 훼손이 심각한 상태에서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6.25로 망실된 측량기준점의 부정확, 토지분쟁의 증가 등의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15]. | |
지적정보는 어떤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나요? | 지적제도는 모든 토지를 필지(지번)단위로 물리적 현황과 법적권리관계를 지적공부에 공시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지적정보는 등기, 평가, 과세, 거래, 이용계획, 국토통계, 도시개발 등의 여러 분야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적도는 100년 전에 작성되어 신축, 마모, 훼손이 심각한 상태에서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6. |
국토해양부, 2011,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항공사진을 이용한 지적측량 적용방안 연구", pp. 75-114.
국토해양부, 2011,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지적재조사에 따른 지적측량 정확도 기준연구", pp. 117-151.
김정민, 2010, " 필지의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 항공사진측량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pp. 81-109.
김재학, 2004, "RTK-GPS와 항공정사사진에 의한 도해지적 측량방법 개선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vol. 20, no. 2, pp. 133-145.
김준현, 2010, "지적공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한국지적학회지, vol. 26, no. 1, pp 221-236.
서울특별시, 2004, "서울GPS 지적측량기준점 최종 성과분석", pp. 4-15.
장길현, 2007, "도해지역 경계복원측량성과를 이용한 좌표등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pp. 5-21.
조규전, 2007, "측량정보공학", 양서각. pp. 60-80.
지종덕, 2008, "지적의 이해", 기문당, pp. 3-15.
최용규 외, 2011, "지적학개론", 형성출판사, pp. 10-25.
洪 性彦 著 戶田 和章 譯, 2009, "地籍測量",金壽堂出版, pp. 97-135.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http://www.ngii.go.kr/index.do
대한지적공사 홈페이지, http://www.kcsc.or.kr/
법제처 홈페이지, http://www.moleg.go.kr/main.html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