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폐종양의 방사선수술 치료계획을 수립한 후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비교, 분석하여 선량분포 측면에서 유효성 및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종양의 움직임이 5 mm 이하인 10명의 환자 CT 영상을 대상으로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수술에서와 동일한 처방선량과 동일한 조건의 중요장기 선량제한치로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을 수립한 후 선량분포를 비교하였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결과에서도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수술과 동일하게 중요장기의 선량제한치를 충족시키면서 GTV에 처방선량을 부여할 수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사선조사로 인한 폐의 정상조직합병증확률과 종양 반대편 폐의 등가균일선량 측면에서는 토모테라피가 기존 선형가속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종양 내 치료선량 분포의 균일도에서는 기존 선형 가속기가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치료 빔 전달 시간측면에서는 토모테라피가 기존 선형가속기 경우보다 2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폐종양 부위의 움직임이 적은 경우, 환자의 상태와 선량분포의 적합성 등을 고려한 최적의 치료계획을 세운다면 토모테라피를 사용하는 방사선 수술이 유효성 및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of TomoTherapy in the lung radiation surgery was analyzed by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dose distribution in TomoTherapy planning with the results of conventional IMRS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surgery) using LINAC (linear accelerator). The acquired CT (com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토모테라피에서는 10 mm의 필드 폭을 사용하였을 경우, 25 mm의 필드 폭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상대적으로 더 균일한 선량이 분포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모테라피 치료 계획 시 GTV 전체 부피의 처방선량 만족도를 최소한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와 동일한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GTV에 대한 처방선량 조사를 우선 충족 요건으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이로 인해 토모테라피의 경우 GTV 내의 선량분포가 전반적으로 처방선량 값을 기준으로 최대 선량값까지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경향을 보여 선량균일도 측면에서 선형가속기보다 열등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폐종양의 방사선수술 계획을 수립한 후,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수술 계획에서 계산된 선량분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실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폐종양의 방사선수술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검토해 보았다. 총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립한 토모테라피용 방사선수술 계획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수술과 동일하게 중요장기의 선량제한치를 충족시키면서 GTV에 처방선량을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폐종양의 방사선수술에 토모테라피 장비를 적용하였을 경우, 선량분포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기존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폐 방사선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치료계획 영상을 대상으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방사선 수술 계획을 수립하고, 계산된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모테라피 치료 시 어떤 문제가 있는가? 1-5) 토모테라피 치료 시 MVCT (Mega-voltage CT)를 통한 환자 치료 위치 및 자세의 오차를 정확히 보정할 수 있어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과 대비하여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치료 선량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역방향치료계획 개념을 적용하여 종양 주변 중요 장기의 선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이 타당성 및 유용성이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토모테라피는 치료 시 장기의 움직임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아 호흡에 의한 장기의 움직임이 큰 폐와 복부부위에 1회 치료선량이 크고, 정확한 선량분포가 요구되는 방사선수술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대부분 뇌와 두경부에 국한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6-8)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이 타당성 및 유용성이 있다고 평가하는 이유는? 토모테라피 장비를 이용한 정위적 방사선수술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 실제 임상에도 적용되고 있다.1-5) 토모테라피 치료 시 MVCT (Mega-voltage CT)를 통한 환자 치료 위치 및 자세의 오차를 정확히 보정할 수 있어 기존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수술과 대비하여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치료 선량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역방향치료계획 개념을 적용하여 종양 주변 중요 장기의 선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방사선수술이 타당성 및 유용성이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토모테라피는 치료 시 장기의 움직임 영향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아 호흡에 의한 장기의 움직임이 큰 폐와 복부부위에 1회 치료선량이 크고, 정확한 선량분포가 요구되는 방사선수술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대부분 뇌와 두경부에 국한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폐종양 방사선수술 치료계획 수립 및 선량 분석을 위해 호흡주기별로 획득한 4D-CT 영상을 획득하기위한 시스템은 무엇을 사용했는가? 종양의 움직임 영역은 호흡주기별로 획득한 4D-CT 영상을 기반으로 구성한 동영상으로 측정하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최대 직경 2 cm 이하의 경우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D-CT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는 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gating 장치(Varian, 미국)와 BrightSpeed CT 스캐너(GE, 미국)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an C, Liu A, Schultheiss, et al: Dosimetric comparison of helical tomotherapy treatment plans and step-and-shoot intensity- modulated radiosurgery treatment plans in intracranial stereotactic radiosurger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5:608- 616 (2006) 

  2. Sheehan JP, Shaffrey CI, Schlesinger D, et al: Radiosurgery in the treatment of spinal metastases: tumor control,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after helical tomotherapy. Neurosurgery 65:1052-1061 (2009) 

  3. Vanderspek L, Bauman G, Wang JZ, et al: Dosimetric comparison of intensity-modulated radiosurgery and helical tom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intracranial metastases. Technol Cancer Res Treat 8:361-367 (2009) 

  4. Lee TF, Chao PJ, Wang CY, et al: Dosimetric comparison of helical tomotherapy and dynamic conformal arc therapy in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vestibular schwannomas. Med Dosim 36:62-70 (2011) 

  5. Soisson ET, Hoban PW, Kammeyer T, et al: A technique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treatment planning with helical tomotherapy. Med Dosim 36:46-56 (2011) 

  6. Soisson ET, Tome WA, Richards GM, et al: Comparison of linac based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and tomotherapy treatment plans for skull-base tumors. Radiother Oncol 78: 313-321 (2006) 

  7. Soisson ET, Mehta MP, Tome WA: A comparison of helical tomotherapy to circular collimator-based linear-accelerator radiosurgery for the treatment of brain metastasis. Am J Clin Oncol 34:388-394 (2011) 

  8. Kumar T, Rakowski J, Zhao B, et al: Helical TomoTherapy versus stereotactic Gamma Knife radiosurgery in the treatment of single and multiple brain tumors: a dosimetric comparison. J Appl Clin Med Phys 11:3245 (2010) 

  9. Marks LB, Hanken RK, Martel MK: Quantitative analyses of normal tissue effects in the clinic.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76:S20-S107 (2010) 

  10. 김진성, 윤명근, 박성용 등: 방사선치료 관련 연구를 위한 선량 체적 히스토그램 분석 프로그램 개발.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27:240-248 (2009) 

  11. Jones LC, Hoban PW: Treatment plan comparison using equivalent uniform biologically effective dose (EUBED). Phys Med Biol 45:159-170 (2000) 

  12. Niemierko A: Reporting and analyzing dose distributions; a concept of equivalent uniform dose. Med Phys 24:103-110 (1997) 

  13. Luxton G, Keall PJ, King CR: A new formula for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 as a function of equivalent uniform dose (EUD). Phys Med Biol 53:23-36 (2008) 

  14. Kutcher GJ, Burman C, Brewster L, et al: Histogram reduction method for calculating complication probabilities for three-dimensional treatment planning evalu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1:137-146 (1991) 

  15. Lyman JT: 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ies: variable dose per fraction.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2:247-250 (1992) 

  16. Semeneko VA, Li XA: Lyman-kutcher-Buman NTCP model parameters for radiation pneumonitis and xerostomia based on combined analysis of published clinical data. Phys Med Biol 53:737-755 (2008) 

  17. Wu Q, Mohan R, Morris M, et al: Simultaneous integrated boos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head-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s. I: dosimetric result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56:573-585 (2003) 

  18. Zhang T, Lu W, Olivera GH, et al: Breathing-synchronized delivery: a potential four-dimensional tomotherapy treatment techniqu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8:1572-1578 (2007) 

  19. Lu W: Real-time motion-adaptive-delivery (MAD) using binary MLC: II. Rotational beam (tomotherapy) delivery. Phys Med Biol 53:6513-6531 (2008) 

  20. Lu W, Chen M, Ruchala KJ, et al: Real-time motionadaptive- optimization (MAO) in TomoTherapy. Phys Med Biol 54:4374-439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