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LCC 출력 콘덴서를 이용한 LED 구동드라이브 설계
Design of LED Drive using MLCC Output Capacitor 원문보기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16 no.5, 2011년, pp.448 - 456  

한만승 (고아정공 모터기술연구소) ,  이상훈 (한국승강기대학 전기설계과) ,  조수억 (서일대 전기과) ,  박성준 (전남대 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디지털 광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고출력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소비전력과 장수명 그리고 점 소등 속도도 빨라서 고출력 LED의 효율을 향상시켜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분만을 출력 콘덴서에 저장함으로서 출력 측에 사용하던 전해 콘덴서를 전압용량이 작고 수명이 긴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 사용이 가능한 LED 구동 드라이브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LED 구동 드라이브는 기존의 부스트 DC/DC 컨버터의 기본 토폴로지에서 출력 콘덴서를 입력 전원과 직렬로 연결하여 LED 광원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분만을 출력 콘덴서에 저장함으로서 출력 콘덴서로 기존수명이 낮은 전해 콘덴서 대신 전력 손실이 적고 수명이 긴 MLCC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LED driver that allows to use a long lifetime MLCC with small voltage capacity to replace the electrolytic condenser that has been used at the output part by storing only the voltage fluctuation due to temperature variation in the output condenser. The proposed LED driv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LED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에서 가장 수명이 짧은 직류전원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부스트 컨버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LED 구동드라이브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림 1은 다채널 구동이 가능한 조명용 LED Power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 그림에서 알 수 있듯 각 채널의 LED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류제어형 부스터 컨버터를 주로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측 전해 콘덴서를 제거하고 전해 콘덴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명이 긴 MLCC 콘덴서 사용이 가능한 형태의 DC/DC 컨버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부스트 컨버터는 온도 변화에 따른 LED의 출력전류의 변동분만을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DC/DC 컨버터를 구성하고 출력측 전해 콘덴서 대신 MLCC를 사용함으로서 LED 구동드라이브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며 또한 콘덴서 손실을 저감하여 효율을 향상시켰다.
  • 본 논문에서는 온도에 따른 전압 변동률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스트 컨버터 형태의 LED 구동드라이브에서 출력 측 평활 콘덴서로 수명이 낮은 전해 콘덴서 대신 낮은 내전압을 갖는 MLCC 콘덴서를 이용할 수 있는 부스트 컨버터 회로를 제안 한다. 그림 4는 전압 변동률을 보상하기 위해 낮은 내전압을 갖는 MLCC을 사용한 부스트 컨버터 회로를 나타낸다.
  • 본 논문에서는 병렬회로수가 많은 대용량 조명용 LED 광원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LED 구동드라이브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정 전류 보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정전류 보상을 위한 전력 변환기의 경우에는 Boost 컨버터를 이용한 정전류 제어를 주로 사용하였다.
  • 이 전력 손실로 인해 Boost 컨버터의 효율을 95% 이상으로 설계하기는 어려우며 출력측에 전해 콘덴서를 사용함으로서 LED 조명시스템에 가장 관심이 되는 수명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부스트 DC/DC 컨버터의 기본 토폴로지에서 출력 콘덴서를 입력 전원과 직렬로 연결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분만을 출력 콘덴서에 저장함으로서 출력 측에 사용하던 전해 콘덴서를 전압용량이 작고 수명이 긴 MLCC 사용이 가능한 LED 구동 드라이브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전해 콘덴서리스 LED 구동 드라이브 회로의 타당성을 위해 120W 가로등용 LED 광원과 고효율 LLC 공진형 AC/DC 컨버터를 설계하고 제안된 전해 콘덴서리스 LED 구동 드라이브 회로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ED 조명의 단점은? 특히 기존의 조명용 광원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LED 조명은 앞서 살펴본 장점 이외에 다른 조명에 비해 시스템 구성을 위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다른 조명장치와 비교하여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시스템 전체가 고효율, 장 수명을 가져야 한다.
고출력 LED의 장점은? 최근 디지털 광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고출력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소비전력과 장수명 그리고 점 소등 속도도 빨라서 고출력 LED의 효율을 향상시켜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분만을 출력 콘덴서에 저장함으로서 출력 측에 사용하던 전해 콘덴서를 전압용량이 작고 수명이 긴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 사용이 가능한 LED 구동 드라이브를 제안하고자 한다.
Boost 컨버터를 이용한 정전류 제어를 이용하여 LED 구동 드라이브 설계 시 단점은? 기존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정전류 보상을 위한 전력 변환기의 경우에는 Boost 컨버터를 이용한 정전류 제어를 주로 사용하였다. Boost 컨버터를 이용한 LED 구동 드라이브 설계 시 전류 검출을 위한 검출 저항을 채널에 직렬 연결하게 됨으로서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 전력 손실로 인해 Boost 컨버터의 효율을 95% 이상으로 설계하기는 어려우며 출력측에 전해 콘덴서를 사용함으로서 LED 조명시스템에 가장 관심이 되는 수명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부스트 DC/DC 컨버터의 기본 토폴로지에서 출력 콘덴서를 입력 전원과 직렬로 연결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분만을 출력 콘덴서에 저장함으로서 출력 측에 사용하던 전해 콘덴서를 전압용량이 작고 수명이 긴 MLCC 사용이 가능한 LED 구동 드라이브를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굿모닝신한증권(주) "LED 조명" 시장동향서, 2009. 

  2. "LED 조명기술의 최신동향[하]", 월간 전기기술, 2006. 

  3. 박규민외 3명, "전압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새로운 조명 용 LED 조명회로",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제14권, 제3호 pp. 243-250, 2009. 6. 

  4. 정영진외 4명, "BCM PFC 플라이백 컨버터 회로의 모 델링 및 설계", 2008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pp. 231-233, 2008. 6. 

  5. 김응석외 1명, "파워 LED 구동을 위한 정전류 제어기 설계", 전기학회논문지, 제59권, 제3호, pp. 555-561, 2010. 3. 

  6. 이종규외 1명, "LED 조명을 위한 정전류 전원", 2010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305-307, 2010. 9. 

  7. Cree XLamp MC-E LED Datasheet 

  8. 유재도외 5명, "고압 LED 구동을 위한 전해 커패시터 리스 비절연형 역률 보상 전원 장치 설계", 201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pp. 250-251, 2010. 7. 

  9. 한수빈외 4명, "LED driver에서의 정전류 및 정전압 제 어의 비교 연구", 201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pp. 83-84, 2010. 7. 

  10. 한수빈외 4명, "넓은 입력변화에서 불연속 전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LED 드라이버 설계",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363-364, 2010. 11. 

  11. Supertex INC Application Note "Boost Converter LED Drivers using Supertex's HV9911", AN-H5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