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한루 편액에 기록된 누정제영시는 작가의 경관관과 주변 경관에 대한 지각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편액시를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 1930년대의 백일장시/청탁시로 구분하여 시에 등장하는 경관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의 특성, 감각기관, 시간축 및 공간축 등 4가지 측면의 분석 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경관요소를 분석하면 상징적 요소보다 물리적 요소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는 자연적 요소의 출현빈도가 인공적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개의 시에 출현하는 경관요소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보다 백일장시/청탁시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시에 나타난 경관요소를 지각감각 측면에서 분석하면 시각적 요소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청각, 후각적 요소도 일부 나타난다. 시간축으로 분석하면 계절적 측면에서는 가을의 표현이 많았으며, 시간대는 저녁과 밤 시간대 표현이 많았다. 공간축에서는 근경요소가 원경, 중경 요소보다 높았다.
광한루 편액에 기록된 누정제영시는 작가의 경관관과 주변 경관에 대한 지각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편액시를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 1930년대의 백일장시/청탁시로 구분하여 시에 등장하는 경관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의 특성, 감각기관, 시간축 및 공간축 등 4가지 측면의 분석 틀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경관요소를 분석하면 상징적 요소보다 물리적 요소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는 자연적 요소의 출현빈도가 인공적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개의 시에 출현하는 경관요소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등루시보다 백일장시/청탁시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시에 나타난 경관요소를 지각감각 측면에서 분석하면 시각적 요소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청각, 후각적 요소도 일부 나타난다. 시간축으로 분석하면 계절적 측면에서는 가을의 표현이 많았으며, 시간대는 저녁과 밤 시간대 표현이 많았다. 공간축에서는 근경요소가 원경, 중경 요소보다 높았다.
Poems written on the tablets hanging in Kwanghanru(a pavilion in Namwon, Jeollabuk-do) reveal each author's view of landscape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pavilion and it surrounding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analysis frames of the characteristics, sensations, and temporal and spat...
Poems written on the tablets hanging in Kwanghanru(a pavilion in Namwon, Jeollabuk-do) reveal each author's view of landscape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pavilion and it surrounding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analysis frames of the characteristics, sensations, and temporal and spatial axes of the landscape elements grouping tablet poems into two categories of deunglusi of Joseon's literary men, and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of the 1930s. The result of the landscape element analysis shows that physical elements are shown more frequently than symbolic ones. Among the physical ones, natural elements are used more often than artificial ones. The landscape elements appearing in each individual poem of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are relatively more than those of deunglusi. When the landscape elements are analyzed by sensational aspect, most of them are visual in nature, and there also appear some that are aural or olfactory in nature. Analyzed from a temporal axis, expressions related to autumn and evening and night are used frequently. From the spatial axis, foreground elements are preferred to middleground or background ones.
Poems written on the tablets hanging in Kwanghanru(a pavilion in Namwon, Jeollabuk-do) reveal each author's view of landscape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pavilion and it surrounding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analysis frames of the characteristics, sensations, and temporal and spatial axes of the landscape elements grouping tablet poems into two categories of deunglusi of Joseon's literary men, and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of the 1930s. The result of the landscape element analysis shows that physical elements are shown more frequently than symbolic ones. Among the physical ones, natural elements are used more often than artificial ones. The landscape elements appearing in each individual poem of baegiljangsi and cheongtaksi are relatively more than those of deunglusi. When the landscape elements are analyzed by sensational aspect, most of them are visual in nature, and there also appear some that are aural or olfactory in nature. Analyzed from a temporal axis, expressions related to autumn and evening and night are used frequently. From the spatial axis, foreground elements are preferred to middleground or background on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경관에 대한 지각 및 인지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편액시에 등장하는 경관요소를 추출하여 광한루에서 지각되는 물리적 경관요소와 상징적 경관요소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광한루 및 주변 경관요소에 대한 선인들의 경관인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안 방법
이 건물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신감은 광한루 복원 이후「광한루중수서」를 작성하였으며, 형 신흠은「광한루기」를 지어 누정의 실제적인 기능과 함께 광한의 천상 이미지와 인간의 삶이 잘 어우러진 인간과 천상의 세계를 표현하였다.
조선시대 문장가들이 광한루를 방문하여 읊은 등루시 12편과 1930년대 백일장시 및 전국의 문장가들에게 시제(운자)를 보내 받은 청탁시 160편이다. 광한루 주변 경관 요소의 도입시기가 상이한 것에 근거하여 크게 두 집단, 등루시와 백일장시/청탁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경관요소 분석을 위해 경관을 물리적 요소와 상징적 요소로 분류하고, 물리적 요소는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자연적 요소는 다시 생물, 무생물, 자연현상으로 세분하였다. 특히 경관요소 중 오작교, 삼신산, 은하수 등은 상징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로 같이 사용되고 있는데, 시문의 내용이 실제의 경관요소로 사용된 경우는 물리적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시문에서 견우직녀, 월궁, 항아 등과 같이 상징적 의미로 사용된 경우는 상징적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그림 1 참조).
특히 경관요소 중 오작교, 삼신산, 은하수 등은 상징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로 같이 사용되고 있는데, 시문의 내용이 실제의 경관요소로 사용된 경우는 물리적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시문에서 견우직녀, 월궁, 항아 등과 같이 상징적 의미로 사용된 경우는 상징적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그림 1 참조). 경관대상에 대한 오감측면에서의 분석은 경관요소를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경관 요소에 대한 시간축 및 공간축 측면에서의 분석에 있어서 시간축은 계절과 시간대로, 공간축은 근경, 중경, 원경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그림 2 참조).
특히 경관요소 중 오작교, 삼신산, 은하수 등은 상징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로 같이 사용되고 있는데, 시문의 내용이 실제의 경관요소로 사용된 경우는 물리적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시문에서 견우직녀, 월궁, 항아 등과 같이 상징적 의미로 사용된 경우는 상징적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그림 1 참조). 경관대상에 대한 오감측면에서의 분석은 경관요소를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경관 요소에 대한 시간축 및 공간축 측면에서의 분석에 있어서 시간축은 계절과 시간대로, 공간축은 근경, 중경, 원경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그림 2 참조).
이 중 견우직녀설화와 관련된 요소로는 오작교, 은하수 별 등이 있으며, 달과 관련해서는 천상의 누각, 달 등의 요소가 등장하고 있다. 특히 오작교, 은하수, 천상의 누각, 삼신산은 실제 광한루 경관구성요소를 지칭하기보다 견우직녀 또는 월궁, 항아와 같이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에는 상징적 요소로 분석하였다.
광한루 편액시에 등장하는 경관요소를 조선시대 문장가들의 등 루시와 1930년대 백일장시/청탁시로 구분하여 다양한 틀을 기준으로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 78번지 일대의 광한루원에 위치한 광한루의 편액시 내용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 광한루에는 조선시대 유명한 재상과 문신들의 시와 함께 1930년대 전국 문장가들의 시 180여개가 편액되어 있는 약 70여 개의 현판이 걸려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한루 현판에 기록되어 있는 편액시를 번역하여 정리한「광한루예찬시선(남원시, 1999)」에 수록된 시 176 편 중 제영시기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4편의 시를 제외한 172 편을 대상으로 하였다.조선시대 문장가들이 광한루를 방문하여 읊은 등루시 12편과 1930년대 백일장시 및 전국의 문장가들에게 시제(운자)를 보내 받은 청탁시 160편이다.
성능/효과
경관요소를 크게 물리적 요소와 상징적 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하면 등루시는 물리적 요소 96.6%, 상징적 요소 3.4%로 대부분이 물리적 요소이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는 자연적 요소 71.9%, 인공적 요소 28.1 %로 자연적 요소의 출현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백일장시/청탁시를 분석하면 물리적 요소 94.2%, 상징적 요소 5.8%이었으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는 자연적 요소가 56.2%, 인공적 요소가 38.1%로 분석되었다(표 4 참조).
자연적 요소를 생물, 무생물 및 자연현상으로 다시 세분하여 분석하면 등루시와 백일장시/청탁시 모두 자연현상의 빈도가 생물, 무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연현상은 하루의 변화를 인식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다른 요소와 함께 경관을 형성하거나 경관을 부각시켜줄 수 있는 요소이다.
자연적 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면 등루시와 백일장시/ 청탁시 모두 생물의 경우 동물보다 식물 요소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식물 요소 중 초화류는 구체적인 종명보다는 풀, 꽃 등 일반 명사의 사용빈도가 높은 반면에, 목본류는 버드나무, 계수나무, 대나무 등 구체적인 수목명이 제시되었다.
등루시와 백일장시/청탁시 모두 자연현상으로서 달, 은하수, 바람 등의 빈도가 높았고, 구름은 백일장시/청탁시에서 특히 출현 빈도가 높았다. 백일장시/청탁시에 나타난 비, 흐해 노을, 눈, 아지랑이 등은 등루시에서는 경관요소로 등장하지 않았는데, 이는 작자의 광한루 등루시기의 계절 및 날씨와 관련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등루시는 백일장시/청탁시와 비교하여 시별 경관요소 출현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작시 당시의 광한루 주변 경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 편액시에 나타나는 경관요소를 감각측면에서 분석하면 등 루시의 경관요소 출현수는 59회로 이 중 시각요소 55회 (93.2%), 청각요소 3회(5.1%), 후각요소 1회(1.7%)이며, 백일장시/청탁 시의 경관요소 출현수는 1, 198회로 이 중 시각요소 1, 126회 (94.0%), 청각요소 58회(4.8%), 후각요소 14회(1.2%)이다(표 8 참조).
백일장시/청탁시의 청각요소는 자연의 소리보다 인공의 소리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피리소리, 음악소리 등 대부분 음악과 관련된 소리였다. 자연의 소리로는 새소리, 물소리, 빗소리 등이 음경관 요소로 도입되었다.
5%이다(표 11 참조).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저녁과 밤의 표현이 많은데, 이는 저녁과 밤 시간대에 자연현상에 의한 경관변화가 다양하게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거 김용기 등(1999)의 연구와 문영숙과 김용기(2002)의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봄과 가을, 저녁과 밤의 선호가 높게 나타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경관요소를 공간축에 의하여 근경, 중경, 원경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등루시에서는 근경 66.1%, 원경 25.4%, 중경 8.5% 순이었으며, 백일장시/청탁시는 근경 65.5%, 원경 23.1%, 중경 11.4%로 모든 시에서 근경에 대한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광한루 주변과 요천을 포함한 근경의 경관요소 비율이 높았으며, 상상세계를 설명하는 하늘, 달을 배경으로 하는 원경의 표현도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남원 주변 경관인 중경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표 12 참조).
4%로 모든 시에서 근경에 대한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광한루 주변과 요천을 포함한 근경의 경관요소 비율이 높았으며, 상상세계를 설명하는 하늘, 달을 배경으로 하는 원경의 표현도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남원 주변 경관인 중경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표 12 참조).
등루시를 분석하면 근경에서는 호수인 은하수(11.9%), 광한루(6.8%), 누각(6.8%) 등으로 광한루에서 직접 조망이 가능한 경관 요소들이 높은 빈도로 등장하였다. 원경에서는 달, 하늘, 별 등 자연현상에 관련된 요소가 주로 등장한다.
원경에서는 달, 하늘, 별 등 자연현상에 관련된 요소가 주로 등장한다. 백일장시/청탁 시에 있어서 근경은 누각(10.2%), 오작교(3.4%), 은하수(2.8%), 봉래산/봉래섬 (2.5%), 광한루(2.6%) 등 광한루 그 자체와 인접한 연못인 은하수와 삼신산 등의 경관요소 비율이 높게 나타나, 광한루와 인접한 인공요소 및 자연요소가 시문의 주요 경관 요소로 분석되었다. 중경에서는 교룡산을 비롯한 산, 들, 강산, 산에 걸친 구름 등이 경관요소로 등장하며, 광한루에서 조망되는 산, 강산, 경치 등의 요소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광한루를 중심으로 공간축에 따른 경관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등루시에 있어서 근경에는 인공요소, 중경에는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그리고 원경에는 자연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어, 광한루 중심의 인공요소에서 외부로 확장될수록 자연요소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백일장시/청탁시에 있어서는 근경은 인공요소와 자연요소, 중경에는 자연요소, 원경에는 자연요소와 상징요소의 위계를 보이고 있어, 근경에는 자연요소가, 원경에는 상징요소가 추가되는 특성을 보였다.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백일장시/청탁시에 있어서는 근경은 인공요소와 자연요소, 중경에는 자연요소, 원경에는 자연요소와 상징요소의 위계를 보이고 있어, 근경에는 자연요소가, 원경에는 상징요소가 추가되는 특성을 보였다.
1. 경관요소를 분석하면 등루시와 백일장시/청탁시 모두 상징적 요소보다 물리적 요소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는 자연적 요소의 출현빈도가 인공적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누정이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에 입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누정이 자연경관이 수려한 지역에 입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적 요소에 있어서 생물의 경우 동물요소에 비해 식물요소가 많이 표현되었으며, 특히 목본류의 경우 구체적인 수목명이 등장하였다. 무생물 요소는 물과 산의 빈도가, 자연현상으로는 달, 구름, 은하수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자연적 요소에 있어서 생물의 경우 동물요소에 비해 식물요소가 많이 표현되었으며, 특히 목본류의 경우 구체적인 수목명이 등장하였다. 무생물 요소는 물과 산의 빈도가, 자연현상으로는 달, 구름, 은하수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2. 개개의 시에 출현하는 경관요소는 등루시의 경우 평균 4.9 개이나 백일장시/청탁시는 평균 7.4 개로 등루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출현빈도가 높았는데, 이는 광한루 주변 경관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3. 경관요소를 오감측면에서 분석하면 등루시, 백일장시/청탁 시 모두 시각적 요소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외부자극에 대한 지각이 주로 시각에 의해 이루어지고, 경관 요소의 상대적으로 큰 지각강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시간축에 의해 분석하면 등루시에는 계절적 표현이 적은 편이나 백일장시/청탁시에는 주계절이 가을로 나타났는데, 이는 백일장시/청탁시에 주어진 운자 추(秋)와 광한루원이 완성된 후 계절적 변화에 따른 경관의 다양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시간대로는 저녁과 밤의 경관을 표현한 시가 많았는데, 이는 저녁과 밤시간대가 자연현상에 의해 다양한 경관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5. 공간축에서 경관요소를 근경, 중경, 원경으로 분석하면 모든 시에서 근경이 대부분이며, 그 다음이 원경이었다. 광한루를 중심으로 분석하면 등루시에서는 근경에 인공요소, 중경에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원경에 자연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백일장시/청탁시에서는 근경에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중경에 자연요소, 그리고 원경에는 자연요소와 상징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어 등루시와 백일장시/청탁 시 사이에 변화가 있었다.
공간축에서 경관요소를 근경, 중경, 원경으로 분석하면 모든 시에서 근경이 대부분이며, 그 다음이 원경이었다. 광한루를 중심으로 분석하면 등루시에서는 근경에 인공요소, 중경에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원경에 자연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백일장시/청탁시에서는 근경에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중경에 자연요소, 그리고 원경에는 자연요소와 상징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어 등루시와 백일장시/청탁 시 사이에 변화가 있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