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환자의 반웅크리기 동안에 하지근활성도와 BBS, TUG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BBS, TUG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Semi-Squat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9 no.2, 2011년, pp.7 - 12  

박승규 (대불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양대중 (대불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제호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정용식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We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 RVC) of vastus lateralis (VL) and vastus medialis (VM),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up & go (TUG) test. Methods : We recruited 30 stroke patients from a rehabilitation center at a hospital.? All subjects could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eixeira-Salmela 등 24은 지역 사회의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10주간의 근력강화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결과, 기능적 수행 정도와 삶의 질, 그리고 보행속도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 Yoon과 Song 25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넙다래갈래근의 근력이 보행속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에게 있어서 근력과 최대 보행속도는 정상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6 본 연구는 닫힌 사슬에서 무릎관절각도 40도일 때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와 균형평가와 운동성 평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뇌졸중환자의 환측의 무릎 폄근의 근활성도와 버그균형척도에서 하지 근육 활성도가 클수록 균형능력이 좋았으며, 환측의 무릎 폄근의 근활성도가 클수록 일어서서 걸어가기 검사에서 수행 시간이 감소되어 이동능력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물리치료적 중재에서 환측의 하지근력 강화 운동이 균형과 이동능력에 중요한 요소로 생각되며, 뇌졸중 환자의 효율적인 중재를 위한 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여러 가지 중재가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뇌졸중 환자의 닫힌 사슬에서 하지의 근활성도와 균형, 운동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하지의 근활성도와 균형 및 운동성에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30명을 대상으로 반 웅크르기 자세에서의 하지 근육 근활성도와 버그균형척도, 일어나 걸어가기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뇌졸중환자의 환측의 무릎 폄근의 근활성도와 버그균형척도에서 하지 근육 활성도가 클수록 균형능력이 좋았으며, 환측의 무릎 폄근의 근활성도가 클수록 일어서서 걸어가기 검사에서 수행 시간이 감소되어 이동능력이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그 균형척도는 어떠한 경우에 이용되는가? 균형을 평가할 때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는 측정도구는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 Go Test, TUG)가 있다.15 버그 균형척도는 지역사회 일반 노인들의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으며, 환자가 17개 항목의 정적인 동작 및 다양한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하는 동안 균형능력을 평가하는 도구이고,16,17 노인뿐 아니라 환자의 균형상태를 파악하고 질병의 양상을 평가하며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18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는 기능적 운동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46cm 높이의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3m 왕복하여 돌아와 다시 앉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뇌졸중 후 재활의 목적은 무엇인가? 특히, 편마비 환자들은 근활성패턴(muscle firing patterns)의 변화로 인해 하지의 비정상적인 보행이 자주 발생하며,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서는 느리고 불안정한 보행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제한이 나타나게 되므로 뇌졸중 후 재활에서는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보행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4
TUG 검사방법이 활용되는 대상은 무엇인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시간이 30초 이상이면 기초이동능력이 의존적이어서 독립적으로 실외이동이 어렵다.15 이 검사는 최근에는 허약한 노인뿐 아니라 뇌졸중, 파킨슨질환, 관절염 질환이 있는 환자에도 적용되고 있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egmayr B, Asplund K. Stroke in northern Sweden. Scand J Public Health Suppl. 2003;61;60-69. 

  2. Carr JH, Shepherd RB.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1985;65(2):576-585. 

  3. Kim JH, Kim CH.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nding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5;17(3):351-367. 

  4. Whitall J. Stroke rehabilitation research: time to answer more specific question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4;18(1):3-8. 

  5. Perry J, Burnfield JM.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nd ed. Grove Road, SLACK Incorporated, 1992:89-106. 

  6. Onely SJ, Richard C. Hemipleg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Characteristics. Gait and Posture. 1996;(2)4:136-148. 

  7. Bourbonnais D, Vanden Noven S. Weakness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Occup Ther. 1989;43(5):313-9. 

  8. Bohannon RW, Walsh S. Nature,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ue of muscle performance measures in patients with hemiaresis following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21-725. 

  9.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974-80. 

  10. Clark DJ, Condliffe EG, Patten C. Reliability of concentric and eccentric torque during isokinetic knee extension in post-stroke hemiparesi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6;21(4):395-404. 

  11. Gerrits KH, Beltman MJ, Koppe PA et al. Isometric muscle function of knee extensors and the relation with functional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9;90(3):480-7. 

  12. de Oliveira CB, de Medeiros IR, Frota NA et al. Balance control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Main tools for evaluation. J Rehabil Res Dev. 2008;45(8):1215-1226. 

  13. Won JI, Kim KS. Concurrent valid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Berg Balance S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1;18(2):43-51. 

  14.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0. 

  15. Blum L, Korner-Bitensky N.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ic review. Phys Ther. 2008;88(5):559-566. 

  16. Muir SW, Berg K, Chesworth B et al. Use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predicting multiple falls in community-dwelling eldely people: a prospective study. Phys Ther. 2008;88(4):449-59. 

  17. Vasunilashorn S, Coppin AK, Patel KV et al. Use of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core to predict loss of ability to walk 400 meters: analysis from the In CHIANTI study. J Gerontol A BiolSci Med Sci. 2009;64(2):223-9. 

  18.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19. An SH, Park CS, Lee HJ. Correlation between balance, walking test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stroke patients : BBS, TUG, Fugl-Meyer, MAS-G, C.MGS, and MBI.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07;14(3):64-71. 

  20. Bolgla L, Uhl T. Reliability of electromyographic normalization methods for evaluating the hip musculature. J Electromyogr Kinesiol. 2007;17(1):102-111. 

  21. Morris S, Morris ME, Iansek 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Up &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 Ther. 2001;81(2):810-8. 

  22. Fellows SJ, Kaus C, Ross HF et al. Agonist and antagonist EMG activation during isometric torque development at the elbow in spastic hemiparesi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4;93(2):106-12. 

  23. Park EY, Chung BI.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the Muscle strengthening of the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1998;5(2):81-90. 

  24. Teixeira-Salmela LF, Olney SJ, Nadeau S et al. Muscle strengthening and physical conditioning to reduce impairment and disability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10):1211-1218. 

  25. Yoon JS, Song BH. The influence on ambulation of the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on lower extremity of hemiplegic patients. Exercise Science. 2008;17(3):279-288. 

  26. Kwon SB, Lee HO. Effect of closed and open kinetic chain exercise afte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5;17(3):297-310. 

  27. Mellor R, Hodges PW. Motor unit synchronization of the vasti muscles in closed and open chain task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4):716-21. 

  28. Jang JH, Kim KH, Kim TH et al. The effects of foot and knee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for hemipleg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10;22(4):21-28. 

  29. Hung YJ, Gross MT. Effect of foot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during lower-extremity weight-bearing activitie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29(2):93-102. 

  30. Shin WS, Lee SM, Lee SW et al. The effects of taskoriented functional training on muscle strength, balance and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008;16(3):149-165. 

  31. Yoon JS, Song BH. The influence on ambulation of the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on lower extremity of hemiplegic patients. Exercise Science. 2008;17(3):279-288. 

  32.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974-80. 

  33. Engberg W, Lind A, Linder A et al. Balance-related efficacy compared with balance functio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Physiother Theory Pract. 2008;24(2):105-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