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 자살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with Suicidality in High-School Students : Focused on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2 no.4, 2011년, pp.294 - 301  

곽영숙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신지현 (제주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related to suicide in high school students and focused on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Methods : We surveyed 293 grade 10 high-school students in Jeju and Gyeonggi provinces and gave them self-assessment questionnaires. To evaluate the suicide risk,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성적과 실제 성적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실제 성적과 지각하는 성적이 다른 정도와 자살 경향성 항목과의 관계는 분석하지 못하였던 점에서 제한이 있으나, 본 연구는 제주도 청소년의 자살 경향성을 다룬 처음 연구이며, 기존의 논문들이 자살 척도를 이용하여 단순히 자살 생각을 중심으로 조사한 반면, 자살 행동 스펙트럼의 자살 생각, 자살 계획, 위협, 고의의 자해, 자살 시도를 나누어 조사하였고,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학업성취도가 자살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과 경기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만 16세) 남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각 자살 경향성 항목(자살 생각, 자살 계획, 자살 위협, 고의의 자해, 자살 시도)의 빈도 및 정서적 관련 요인, PAP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학업성취도를 포함하여 고등학생 자살 경향성에 미치는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자살 생각과 이것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데는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자살 생각은 이후에 보일 자살 행동의 중요한 예언 지표가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17,18) 본 연구에서는 자살생각의 유무를 묻는 설문에 더하여 자살 생각의 심각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SI를 시행하였다. Beck 등17)이 개발한 자살생각 척도를 Shin 등19)이 자기 보고형 질문지로 변형한 자살생각 척도를 사용하였다.
  • 따라서 자살 경향성과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이 밝혀진다면 자살 시도 예방에 도움이 될 것 이다. 하지만,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학업성취도와 자살 경향성과의 관련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자살과 연관된 기존의 정서적 요인들에 더하여 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학업성취도와 자살 경향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 경향성의 개념은 무엇인가? 자살 경향성(suicidalilty)은 하나의 행동 스펙트럼으로, 단순한 자살 생각으로 시작하여 계획을 하고 다른 사람을 위협하며 고의로 자신에게 해를 주고 마침내 실제 시도로 이어지는 연속체 상의 어느 지점으로 개념화 할 수 있겠다.15) Pearce와 Martin16)은 자살 행동 스펙트럼 중 자살 생각, 자살 계획, 자살 위협 그리고 고의의 자해 등 선행 행동들이 정상 청소년에서 자살 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성인의 자살은 무엇에 의해 흔히 발생하는가? 성인의 자살에서는 우울감, 절망감, 책임감, 죄책감에 의한 자살이 흔한 반면에 청소년들은 즉흥적이고 충동적인 자살을 많이 하고, 친구와의 동반자살, 유명 연예인을 모방한 자살, 사후 세계에 대한 호기심으로 해 보는 실험적인 자살, 공격성의 분출에 의한 자살, 미미한 열등감에 의한 자살 등이 흔하다.2) 이러한 청소년의 자살 특성은 성인보다 자살의 예측이 어렵고, 한번의 자살 시도가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업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사이의 연관성은 특히 동아시아 국가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업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사이의 연관성은 특히 동아시아 국가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학업적 성취에 대한 가족과 사회문화적 요구가 강하기 때문에, 학업성취가 저조해서 부모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에는 체면과 자신감이 손상되고, 부모를 포함한 가족과의 관계가 악화될 뿐 아니라 이들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되기 때문이다.12) Richardson 등13)은 또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실패 정도의 학업성취도군이 평균 이상 정도의 학업성취도군에 비해서 다섯 배 많은 자살 시도의 경향성과 연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7. 

  2. Park DC, Lee YS, Park DB, Kwack DI, Lee KH.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related with suicide in Korea. Chung-Ang J Med 1991;16:377-418. 

  3. De Wilde EJ, Kienhorst IC, Diekstra RF, Wolters WH. The specificity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3;32:51-59. 

  4. Kim HJ. Effect factors of adolescences' suicide risk. Korean Soc Child Welf 2008;27:69-93. 

  5. Sim MY, Kim K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s of Korean adolescents: moderating effect of sex and developmental period. Korean J Health Psychol 2005;10:313-325. 

  6. Kim JY, Chung YK, Lee J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ive relationship in contribution of adolescents' experience of domestic child abuse to suicidal ideation. Korean J Soc Welf Res 2009;21:119-144. 

  7. Woo CW, Park AC, Jeong H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uman relations,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by genders and level of school. Korean J Educ Psychol 2010; 24:19-38. 

  8. Kim SA. Effects of childhood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middle school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9;14:5-27. 

  9. Ursoniu S, Putnoky S, Vlaicu B, Vladescu C. Predictors of suicidal behavior in a high school student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tudy. Wien Klin Wochenschr 2009;121:564-573. 

  10. Wichstrøm L. Predictor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study of Norwegian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39:603-610. 

  11. Song DH, Lee HS, Chun RS, Joung YS. The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suicide-attempters in adolescenc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6;35:1366-1375. 

  12. Ang RP, Huan VS.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esting for depression as a mediator using multiple regression. Child Psychiatry Hum Dev 2006;37:133-143. 

  13. Richardson AS, Bergen HA, Martin G, Roeger L, Allison S. Perceived academic performance as an indicator of risk of attempted suicide in young adolescents. Arch Suicide Res 2005;9:163-176. 

  14. King KA, Price JH, Telljohann SK, Wahl J. High school health teachers' perceived self-efficacy in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for suicide. J Sch Health 1999;69:202-207. 

  15. Crosby AE, Cheltenham MP, Sacks JJ. Incid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in the United States, 1994. Suicide Life Threat Behav 1999;29:131-140. 

  16. Pearce CM, Martin G. Predicting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Acta Psychiatr Scand 1994;90:324-328. 

  17.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79;47:343-352. 

  18. Simons AD, Murphy GE, Levine JL, Wetzel RD. Cognitive therapy and pharmacotherapy for depression. Sustained improvement over one year. Arch Gen Psychiatry 1986;43:43-48. 

  19. Shin MS, Park KB, Oh KJ, Kim ZS. A study of st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ideation. Korean J Clin psychol 1990;9: 1-19. 

  20. Rhee MK, Lee YH, Jung HY, Choi JH, Kim SH, Kim YK,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I): Korean version (K-BDI): validity. Korean J Psychopathol 1995;4:96-104. 

  21. Rhee MK, Lee YH, Park SH, Sohn CH, Chung YC, Hong SK,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Korean version (BDI):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Korean J Psychopathol 1995; 4: 77-95. 

  22. Cha JH, Kong JJ, Kim CS. Creating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cale.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Research note 1973;2:263-271. 

  23. Kim KY. Relation of parental evaluation of children, self-esteem and child-rearing attitudes to children's self-esteem. Busan: Pusan Univ; 1987. 

  24. Brausch AM, Gutierrez PM. Differences in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ts. J Youth Adolesc 2010;39:233-242. 

  25. Cho SJ, Jeon HJ, Kim JK, Suh T, Kim SU, Hahm BJ, et al. Prevalence of suicide behaviors(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nd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s in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2;41:1142-1155. 

  26. Garrison CZ, McKeown RE, Valois RF, Vincent ML. Aggression, substance use, and suicidal behaviors in high school students. Am J Public Health 1993;83:179-184. 

  27. Velez CN, Cohen P. Suicidal behavior and ideation in a community sample of children: maternal and youth repor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88;27:349-356. 

  28. Andrews JA, Lewinsohn PM. Suicidal attempts among older adolescents: prevalence and co-occurrence with psychiatric disord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2;31:655-662. 

  29. Cole DA. Psychopathology of adolescent suicide: hopelessness, coping beliefs, and depression. J Abnorm Psychol 1989;98:248-255. 

  30. Kutcher SP, Marton P. Parameters of adolescent depression. A review. Psychiatr Clin North Am 1989;12:895-918. 

  31. Pawlak C, Pascual-Sanchez T, Rae P, Fischer W, Ladame F. Anxiety disorders, comorbidity, and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c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Eur Psychiatry 1999;14:132-136. 

  32. Gispert M, Davis MS, Marsh L, Wheeler K. Predictive factors in repeated suicide attempts by adolescents. Hosp Community Psychiatry 1987;38:390-393. 

  33. Goldney RD. Locus of control in young women who have attempted suicide. J Nerv Ment Dis 1982;170:198-201. 

  34. Goldney RD, Smith S, Winefield AH, Tiggeman M, Winefield HR. Suicidal ideation: its enduring nature and associated morbidity. Acta Psychiatr Scand 1991;83:115-120. 

  35. Kazdin AE, French NH, Unis AS, Esveldt-Dawson K, Sherick RB.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ntent among psychiatrically disturbed inpatient children. J Consult Clin Psychol 1983;51:504-510. 

  36. Pearce CM, Martin G. Locus of control as an indicator of risk for suicidal behaviour among adolescents. Acta Psychiatr Scand 1993; 88:409-414. 

  37. Pinto A, Whisman MA. Negative affect and cognitive biases in suicidal and nonsuicidal hospitalized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158-165. 

  38. Tomori M, Zalar B.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in a Slovenian high school population.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0;30: 222-238. 

  39. Lee MT, Wong BP, Chow BW, McBride-Chang C. Predictors of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in Hong Kong adolescents: perceptions of academic and family climates.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6; 36:82-96. 

  40. Gehin A, Kabuth B, Pichene C, Vidailhet C. Ten year follow-up study of 65 suicidal adolescents. J C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18:117-125. 

  41. DeMello LR, Imms 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cop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school attitudes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studies 1999;44:24-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