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eer's suicide on mental health of middle-school stud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ourse of posttraumatic stress and grief reaction,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score among adolescents after exposure to peer's suicide and to ex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구의 자살을 경험한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사건 초기에 시행한 1차 평가와 8개월 후 시행한 2차 평가를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증, 자살 사고,애도 반응의 정신 건강 척도의 경과를 살펴보고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 및 자살 사고 위험군의 빈도와 심각성을 추적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와 관련된 정신 건강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친구의 자살을 경험한 청소년의 애도 반응의 경과와 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자살 예방은 어떠한가? 2005년 279명이던 전국의 10대 자살자가 해마다 증가하여 2012년에는 336명까지 늘어났고, 자살이 10대의 사망원인 중 1위로 나타났다.1) 청소년 자살 예방은 보통 자살을 시도하는 청소년의 위험요인을 감소하기 위한 시도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자살에 노출되는 청소년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편이며, 이 시기 애도 반응의 양상과 기전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편이다.
10대 자살자의 수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2005년 279명이던 전국의 10대 자살자가 해마다 증가하여 2012년에는 336명까지 늘어났고, 자살이 10대의 사망원인 중 1위로 나타났다.1) 청소년 자살 예방은 보통 자살을 시도하는 청소년의 위험요인을 감소하기 위한 시도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자살에 노출되는 청소년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편이며, 이 시기 애도 반응의 양상과 기전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편이다.
자살에 노출된 청소년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현재 국내 연구 상태는? 친구의 자살이라는 외상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정신 건강 문제가 급성기 애도 기간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은데, 자살에 노출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3년간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는 자살사건 이후 6개월 뒤에 우울증 유병률이 가장 많이 증가했고 7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도 증가하였으나, 19개월 후부터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지 않은 양상을 보인 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우 전체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유병률이 높았으며, 특히 초기 6개월과 19개월 이후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6) 이처럼 자살에 노출된 것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초기에서 수개월 동안 추적 관찰이 중요하며, 각각의 질환마다 다른 경과를 보일 수 있어 자살을 경험한 청소년기의 애도 반응의 양상에 대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지만, 친구의 자살을 경험한 청소년의 애도 반응의 양상과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추적 관찰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현재 국내 연구도 미미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201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2012. 

  2. Brent DA, Perper J, Moritz G, Allman C, Friend A, Schweers J, et al. Psychiatric effects of exposure to suicide among the friends and acquaintances of adolescent suicide victim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2;31:629-639. 

  3. Brent DA, Perper JA, Moritz G, Allman C, Schweers J, Roth C, et al. Psychiatric sequelae to the loss of an adolescent peer to suicid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3;32:509-517. 

  4. Brent DA, Perper J, Moritz G, Allman C, Liotus L, Schweers J, et al. Bereavement or depression? The impact of the loss of a friend to suicid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3;32:1189-1197. 

  5. Brent DA, Perper JA, Moritz G, Liotus L, Schweers J, Canobbio R. Major depression or uncomplicated bereavement? A follow-up of youth exposed to suicide.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4;33:231-239. 

  6. Brent DA, Moritz G, Bridge J, Perper J, Canobbio R. Long-term impact of exposure to suicide: a three-year controlled follow-up.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646-653. 

  7. Cerel J, Fristad MA, Weller EB, Weller RA. Suicide-bereav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controlled longitudinal examination.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38:672-679. 

  8. Brent DA, Perper JA, Moritz G, Liotus L, Richardson D, Canobbio R, et 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eers of adolescent suicide victims: predisposing factors and phenomenolog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209-215. 

  9. Shepherd DM, Barraclough BM. The aftermath of parental suicide for children. Br J Psychiatry 1976;129:267-276. 

  10. Prigerson HG, Bridge J, Maciejewski PK, Beery LC, Rosenheck RA, Jacobs SC, et al. Influence of traumatic grief on suicidal ideation among young adults. Am J Psychiatry 1999;156:1994-1995. 

  11. Fristad MA, Jedel R, Weller RA, Weller EB. Psychosocial functioning in children after the death of a parent. Am J Psychiatry 1993; 150:511-513. 

  12. Tal Young I, Iglewicz A, Glorioso D, Lanouette N, Seay K, Ilapakurti M, et al. Suicide bereavement and complicated grief. Dialogues Clin Neurosci 2012;14:177-186. 

  13. Bartik W, Maple M, Edwards H, Kiernan M. The psychological impact of losing a friend to suicide. Australas Psychiatry 2013;21: 545-549. 

  14. Melhem NM, Day N, Shear MK, Day R, Reynolds CF 3rd, Brent D. Traumatic grief among adolescents exposed to a peer's suicide. Am J Psychiatry 2004;161:1411-1416. 

  15. Kovacs M.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Psychopharmacol Bull 1985;21:995-998. 

  16.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e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943-956. 

  17. Osman A, Downs WR, Kopper BA, Barrios FX, Baker MT, Osman JR, et al.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Adolescents (RFL-A):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J Clin Psychol 1998; 54:1063-1078. 

  18. Lee HJ, Shin MS, Ko HJ, Kwak YS.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adolescents.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4;25: 163-170. 

  19.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79;47: 343-352. 

  20. Park KB, Shin MS. College goal and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lin Psychol 1990;9:20-32. 

  21. Shin MS, Park KB, Oh KJ, Kim ZS.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 Clin Psychol 1990;9:1-19. 

  22.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41:209-218. 

  23.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Guilford Press;1997. p.399-411. 

  24.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 303-310. 

  25. Sanders CM, Mauger PA, Strong PN. A manual for the Grief Experience Inventory. Blowing Rock, NC: Center for the Study of Separation and Loss;1985. 

  26. Jeon MY. A study of the resilency in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cancer deceased. Korean Nurse 1997;36:44-48. 

  27. Ho TP, Leung PW, Hung SF, Lee CC, Tang CP. The mental health of the peers of suicide completers and attempters.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0;41:301-3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