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에 따른 거제만해역 육상오염원의 영향평가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Inland Pollution Sources on Shellfish Growing Areas after Rainfall Events in Geoje Bay,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6, 2011년, pp.612 - 621  

하광수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유현덕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심길보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김지회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과) ,  이태식 (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김풍호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주자연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이희정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s of inland pollution sources because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Geoje Bay, a major shellfish production area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sanitary status of sea water and shellfish after rainfall events was also evaluated. The flow rates of 13 stre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KSSP에서 규정하고 있는 1일 15 mm 이상 강우 후 24시간 패류채취금지 조건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요 굴 생산해역인 거제만해역에 대하여 건기 및 강우에 따른 주요 육상오염원의 유입량, 위생지표세균의 함량변화 등을 이용하여 오염원이 해역에 미치는 영향범위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육상오염원 인근 해역의 해수 및 굴의 위생학적 변화를 비교하여 강우 계급별과 경과시간에 따른 거제만해역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에 따른 거제만해역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의 결과는 어떠한가? 건기보다 15 mm 및 21 mm 강우직후, 육상오염원의 배출수량은 6-7배 정도 증가하였다. 15 mm 강우 후에는 서정천(D-6)의 분변계대장균 오염정도가 가장 높았고 21 mm 강우 후에는 내간천(D-2)의 오염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런 결과는 강우 직후부터 24시간 경과 후까지도 지속되었다. 또한 해역 영향범위 평가결과는 분변계대장균 오염정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21 mm 강우직후에는 간덕천(D-4)의 유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해역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지점으로 평가되었다.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패류가 각종 질병의 매개체로 인식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주로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패류는 주거지, 가축 사육지, 야생동물 서식지, 선박계류장 등에서 발생하는 분변에 오염되기 쉽고(Hunter et al., 1999; Mallin et al., 2001), 여과섭이 활동을 통해 영양을 섭취함으로 체내에 축적된 세균, 바이러스 및 해양생물독소 등의 병원소로 작용하며, 각종 질병의 매개체로 인식되어 왔다(Hold et al., 2001; Rippey, 1994).
패류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크게 위협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 1998). 그러나 최근 연안해역에서 어류양식 산업의 발달과 임해지역의 인구 증가에 따른 해면 및 해안으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오염 물질은 연안해역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해역이나 주변을 운항하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인분 등은 패류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크게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Lipp et al., 2001; Hall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U.S.A., 1-105. 

  2. Burkhardt W 3rd, Watkins WD and Rippey SR. 1992. Survival and replication of male-specific bacteriophages in molluscan shellfish. Appl Environ Microbiol 58, 1371-1373. 

  3. Chang DS, Jeong ET, Yu HS, Lee EW and Lim SM. 1998.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1, 77-81. 

  4. Choi JD, Jeong WG and Kim PH. 1998.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Charan Bay, Korea. J Kor Fish Soc, 31, 429-436. 

  5. European Commission. 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ic rules for the organization of official controls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 J Eur Communities, L155, 206-321. 

  6. Ha KS, Shim KB,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Hansan-Geojem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449-455. 

  7. Haller D, Gill ON, Raynham E, Kirkland T, Zadick PM and Stanwell-Smith R. 1986. An outbreak of gastrointestinal illnes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raw depurated oysters. Br Med J 292, 1726-1727. 

  8. Hold GL, Smith EA, Rappe MS, Maas EW, Moore ERB, Stroempl C, Stephen JR, Prosser JI, Brikbeck TH and Gallacher S. 2001.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oxic and non-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spp. and Scrippsiella trochoidea . Fems Microbiology Ecology 37, 161-173. 

  9. Hunter C, Perkins J, Tranter J and Gunn J. 1999. Agricultural land-use effects on the indicator bacterial quality of an upland stream in the Derbyshire Peak District in the UK. Water Res 33, 3577-3586. 

  10. Kwon JY, Park KBW, Song KC, Lee HJ, Park JH, Kim JD and Son KT. 2008.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ea. J Fish Sci Technol 11, 7-14. 

  11. Lee TS, Oh EG, Yoo HD, Ha KS, Yu HS, Byun HS and Kim JH. 2010. Impact of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406-414. 

  12. Lipp EK, Farrah SA and Rose JB. 2001. Assessment and impact of microbial fecal pollution and human enteric pathogens in a coastal community. Mar Pollut Bull 42, 286-293. 

  13. Mallin MA, Ensign SH, McIver MR, Shank GC and Fowler PK. 2001. Demographic, landscape, and meteorological factors controlling the microbial pollution of coastal waters. Hydrobiologia 460, 185-193. 

  14. MIFAF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Annual Report of Korean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for 2007,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3-5. 

  15. Park, JH. 1990. Bacteriological quality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association with rainfall in Kamakman. M.S. Thesis. National Fish. Univ. of Pusan. Pusan, Korea, 13-25. 

  16. Park KB, Jo MR, Kwon JY, Son KT, Lee DS and Lee HJ. 2010.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of the shellfish-growing area in Gangjinma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614-622. 

  17. Rippey SR. 1994. Infectious diseases associated with molluscan shellfish consumption. Clin Microbiol Rev 7, 419-425. 

  18. Sayler GS, Nelson JD Jr, Justice A and Colwell RR. 1975.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of fecal indicator organisms in the upper Chesapeake Bay. Appl Microbiol 30, 625-638. 

  19. Shehane SD, Harwood VJ, Whitlock JE and Rose JB. 2005. The influence of rainfall on the incidence of microbial faecal indicators and the dominant sources of faecal pollution in a Florida river.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98, 1127-1136. 

  20. Shim KB, Ha KS, Yoo HD, Kim JH and Lee TS. 2009.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Jaranman-Saryangdo area,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442-448. 

  21. U.S. F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Model ordinance. Retrieved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Product-SpecificInformation/ Seafood/FederalStatePrograms/NationalShellfishSanitationProgram/ default.htm on June 18, 2010 

  22. Yoo HD, Ha KS, Shim KB, Kang JY, Lee TS and Kim JH. 2010.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shellfish-growing waters and mussels in Changseon, Namhae,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298-3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