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혼 전 의사결정단계 부부를 위한 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a Couple in Pre-Divorce Decision-Making Stag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10, 2011년, pp.91 - 101  

김정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생활복지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a couple in the pre-divorce stage. We used data from the case study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and enhancements related to the family of origin. Our sample was the couple in pre-divorce stage who has been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편의 행동에 대해 강점을 찾아보도록 하고, 치료자는 아내에게도 질문기법을 통해 남편의 강점을 활용하면 이 가정 역시 이혼으로 끝나지 않고 충분히 기능하는 행복한 가정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도록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아내는 남편이 시부모께 잘하기도 하지만 친정부모께도 예의를 갖추어 도리를 다하려 애쓰는 점, 친정의 집안 대소사에 남편이 맏아들처럼 헌신적으로 일을 책임감 있게 한 점 등을 상기하였고 남편의 양가 부모님에 대한 행동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게 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원가족의 문화적 배경 차이로 인해 결혼의 위기를 맞은 부부의 사례를 통해 이혼 전 의사결정단계에 대한 가족치료 개입의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1회기부터 10회기까지 자료에서 반복되는 개념을 지속적으로 비교하였고, 축어록, 상담기록지, 녹음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의 삼각화를 추구하였다. 연구자와 수퍼바이저, 전문상담가 간의 토론을 통해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부부갈등의 공통적인 요인이 서로 다른 의사소통유형이며, 원가족에서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경험한 사람들은 대부분 결혼 후에도 부부관계 혹은 부모-자녀관계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Johnson & Jacob, 2000). 의사소통 훈련은 결혼관계에서 갈등문제에 대해여 배우자에게 효과적으로 의사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행동주의 부부 치료자들은 문제해결과 행동변화를 위하여 경청하는 것과 표현하는 것을 가르쳐 왔다(Baucom et al.
  • Bowen의 가족체계 치료모델의 치료 핵심은 여러 세대를 통해 반복되고 있는 가족과정과 구조를 파악하여 원가족에게서 자기분화를 높여 가족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다세대 정서체계에 퍼져 있는 만성불안 유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가족원의 불안을 경감시키고 자기분화를 촉진하여 삼각관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남순현, 전영주, 황영훈, 2005). 이에 본 연구에서 치료자는 이 이론을 근거로 남편의 원가족과 아내의 원가족의 정서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 자녀는 더 낳지 않기로 부부가 합의하였고, 아내는 딸이 유치원에 다닐 나이가 될 때까지는 집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그 후에는 자기계발, 취미생활, 재취업 등을 위해 시간을 갖는 것에 부부가 동의하였다. 주택구입시기를 향후 5년 시점으로 목표를 정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접근 방법을 의논하였다. 치료자는 부부가 생활주기별로 목표를 정하면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법을 모색하도록 촉진하였다.
  • 주택구입시기를 향후 5년 시점으로 목표를 정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접근 방법을 의논하였다. 치료자는 부부가 생활주기별로 목표를 정하면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법을 모색하도록 촉진하였다.

가설 설정

  • 기적질문은 “오늘밤에 당신이 잠들었을 때, 기적이 일어나서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 해결중심모델은 전략적 치료, 특히 MRI(Mental Research Institute)모델에서 출발하였으나 전략적 치료자들이 문제에 관련된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문제해결에 비효과적이었던 방법 즉 문제중심 접근방식이었다면 해결중심 치료자는 효과적이었던 해결책을 탐색하였다(김성천, 이소영, 장혜림, 2002). 해결중심치료에서는 내담자는 이미 효과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이며 단지 부정적 마음자세가 그들의 행동을 방해하고 있을 뿐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예외질문을 통해 내담자가 문제가 없었던 예외적 상황을 보도록 도울 뿐 아니라 이런 예외가 바로 해결책이라고 깨닫도록 돕는 것이 해결중심치료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생활에서 가족원의 행복과 가정의 안정성을 위해 필수적인 과업은 무엇인가? 결혼생활은 서로 다른 가족의 문화적 배경을 가진 두 남녀가 결합하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가는 과정이다(김정옥 외, 1999). 이 과정에서 부부가 상호 차이점을 수용하여 그들 가족만의 규범과 문화를 재창출해 가는 것은 가족원의 행복과 가정의 안정성을 위해 필수적인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생성가족이 가족체계를 재조정해 가는 과정에서 부부 각자의 원가족 문화 간의 차이는 가족원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매우 다양한 역동을 발생시키게 되고(신수진, 최준식, 2002),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된다(김혜정, 2008;이두원, 2009).
결혼생활이란 어떠한 과정인가? 결혼생활은 서로 다른 가족의 문화적 배경을 가진 두 남녀가 결합하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가는 과정이다(김정옥 외, 1999). 이 과정에서 부부가 상호 차이점을 수용하여 그들 가족만의 규범과 문화를 재창출해 가는 것은 가족원의 행복과 가정의 안정성을 위해 필수적인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혼의 결과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근래에는 이혼이 가족문제 해결의 한 대안이라는 긍정적 관점에서 논의되기도 하나, 이혼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위기 사건이며 정신건강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이혼의 결과는 개인에 국한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녀에게도 심각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게 되며(김동일, 2010) 나아가 원가족의 생활 영역에도 복합적인 적응의 문제를 양산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고정자, 김갑숙(1993). 고부관계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1), 235-247. 

  2. 김동일(2010). 이혼상담사 조정위원을 위한 심화교육. 서울: 한국상담연합회. 

  3. 김성천, 이소영, 장혜림(2002). 해결중심 집단치료. 서울: 청목출판사. 

  4. 김재원(2001). 말의 상처에 대하여. 사회언어학, 9(1), 41-65. 

  5. 김정옥, 박경규, 구향숙, 한동희, 류도희, 전형미(1999). 결혼과 가족. 서울: 학지사. 

  6. 김진숙(2010). 이혼가족의 긍정심리적 상담. 이혼상담사 조정위원을 위한 심화교육, 55-64. 

  7. 김혜정(2008). 가족간 갈등대화의 구조와 책략 연구 - 고부.부부간 갈등대화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2005).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서울: 학지사. 

  9. 박경(2002). 우울한 중년여성의 부부관계 및 의사소통. 여성건강, 3(2), 19-32. 

  10. 박경란, 이영숙(2003). 고부관계에서 며느리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노인복지학회, 22, 79-104. 

  11. 박태영(2000a). 이혼한 부부의 재결합을 위한 부부치료.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모임 및 사례발표, 17-38. 

  12. 박태영(2000b). 이혼하려는 부부에 대한 MRI의 상호작용적 가족치료와 이야기치료의 적용. 가족치료이론의 적용과 실천. 서울: 학지사. 

  13. 박태영, 김태한, 김혜선(2009). 이혼위기에 있는 결혼 초기 부부에 대한 부부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93-114. 

  14. 신수진, 최준식(2002).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서울: 집문당. 

  15. 신영화(2005). 이혼전 상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상황과 복지, 21, 121-154. 

  16. 엄예선(1988). 한국가족과 가족치료-한국 도시중산층을 위한 정신치료모형의 구상. 한국사회복지학회, 12, 93-115. 

  17. 윤명숙(2000). 이혼과정치료.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발표논문, 39-49. 

  18. 이두원(2009).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의 세대별 특성과 변천 과정 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7(1), 129-151. 

  19. 이혜자(2003). 시모의 고부갈등 유형화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19, 31-59. 

  20. 장미희, 전원희(2008). 성인여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7(2), 236-244. 

  21. 전영주(2004). 이혼 전 상담의 임상적 쟁점에 대한 고찰. 상담학 연구, 6(1), 245-259. 

  22. 최인숙(1995). 이혼문제를 지닌 부부상담에서 자문을 활용한 상담사례. 이화여대사회복지학과 편.가족치료총론, 서울: 동인. 

  23. 통계청(2011). 통계연감. http://www.kostat.go.kr/에서 2011년 10월 2일 인출. 

  24. 하상희(2008).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결혼만족도 및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29-141. 

  25. Brock, G. W., & Barnard, C. P.(2002). Procedures in Marriage and Family Therapy. Allyn and Bacon. 

  26. Canary, D. J., Cupach, W. R., & Serpe, R.(2001). A competence-based approach examine interpersonal conflict: Test of a longitudinal model. Communication Research, 28, 79-104. 

  27. Goldenberg, I., & Goldenberg, H.(2007). Family therapy : An overview.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8. Johnson, S. L., & Jacob, T.(2000). Sequential interactions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depressed men and wo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1), 4-12. 

  29. Kaslow, F. W., & Schwarz, L.(1987). Dyanmic of divorce : A life cycle perspective, N. Y. : Brunner/Mazel, Inc. 

  30. Kim, B. L., & Ryu, E.(2005). Korean family. pp. 349-362. in M. McGoldrick, J. Giordano and N. Garcia- Preto(Eds.).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Y: The Grilford Press. 

  31. Miles, M. B., & Huberman, A. M.(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Thousand Oaks, CA: SAGE. 

  32. Sprenkle, D. H.(1985). Introduction : divorce therapy, in K. H. Sprenkle(Eds.). Divorce therapy, NY: The Haworth Press. 

  33. Sprenkle, D. H., & Storm, C. L.(1983). Divorce therapy and outcome research: A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 722-7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