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명과 악관절장애간의 상호관계 문헌연구
The Literatur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nnitu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4 no.3, 2011년, pp.74 - 83  

김봉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  남혜정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We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tinnitu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and tried to find approach possibility in oriental medicine. Method : We searched Pubmed, Scopus, The Cocharane library and additional sources for published and unpublished trials. Search word was "Tinnitu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명치료에 뚜렷한 방법이 없는 현 상황에서 이러한 연구들은 이명의 새로운 측면에서의 치료적 접근에 도움을 주는 연구들이다. 이에 Pubmed, Scopus, The Cocharane library에서 이명과 악관절에 관한 역학, 기전, 치료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하여 이명과 악관절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 또한 이를 통하여 한방적으로의 이명 접근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22명의 이명과 악관절 장애가 있는 환자와 15명의 대조군을 비교해본 결과 악관절장애와 이명이 있는 환자군에서 상위뇌중추에서의 유의한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일반적인 lemniscal auditory system에는 변화 없이 extralemniscal auditory system의 변화로 발생하는 것으로 악관절장애환자의 체성통증자극으로 인하여 이명의 인지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악관절장애가 이명을 발생시키는 원인에 대한 가설로는 무엇이 있는가? 초기에는 유스타키오관의 악관절이상으로 인한 비정상적 생리, 고막장근이나 등골근등의 이상이나 악관절과 귀와의 연결을 찾는등의 해부학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면, 최근은 이명의 원인을 통증자극전달에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생리학적인 측면에서 연구하고 있다. Moller 등은 통증자극이 이명에 대하여 extralemniscal auditory system을 통하여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가설을 제기하였으며 Levine은 증례연구를 통하여 악관절통증이나 경항부 통증이 있는 사람이 이명이 발생할 수 있는 기전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Cem bilgen등의 전기생리학적 연구는 실제로 체성감각 통하여 이명이 조절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악관절 통증 신호가 이명을 유발할 수 있다는 신경학적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가설들은 신경생리학측면에서 이명발생은 악관절장애로 인한 체성자극이 청신경을 혼란시켜 생긴다고 정리해 볼 수 있다.
이명이란 무엇인가? 이명(Tinnitus)은 울린다는 의미의 라틴어 'Tinnire'에서 유래된 말로 외부의 청각적인 자극 없이 일어나는 소리의 인식으로서 단순한 소리로 웅웅거리거나, 벌레우는소리 혹은 높은 마찰음 등을 호소하며, 그 정도와 종류는 사람들마다 다양하다1).
이명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이명이 발생하게 된 원인으로는 노인성난청, 소음성난청, Meniere Disease, 만성중이염등의 질환과 그 외에 이독성항생제, 이뇨제, 비마취성진통제, 항암제등의 약물복용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알콜, 카페인등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원인미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 두경부외과학. 서울:일조각. 제2판. 2009. 

  2. Yeo SG. Recent pharmacologic treatment for tinnitus. Kyung Hee tinnitus seminar. 2010:50-63. 

  3. Daniel Mochida Okada, Ektor Tsuneo Onishi, Fernando Ioriatti Cbami, Andrei Borin, Nicolle Cassola, Viviane Maria Guerreiro. Acupuncture for tinnitus immediate relief. Rev Bras otorrinolaringol. 2006;72(2):182-6. 

  4. Jongbae Park, Adrian R. White. Efficacy of Acupuncture as a Treatment for Tinnitus. Arch of otolarygology head and neck surgery. 1998:124. 

  5. 전선우. 이명의 침치료 효과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석사. 2010. 

  6. Wright WH. Deafness as influenced by malposition of the jaws. J Natl Dent Assoc. 1920;12:979-92. 

  7. Goodfriend DJ. Symptomatology and treatment of abnormalities of the mandibular articulation. Dent Cosmos. 1933;75:844-52. 

  8. William S. Parker, DMD, PhD, a and Richard A. Chole. Tinnitus, vertigo,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5;107:153-8. 

  9. David K. Lam, Herenia P. Lawrence, Howard C. Tenenbaum. Aural Symptom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Attending a Craniofacial Pain Unit. J Orofac Pain. 2001;15(2):146-57. 

  10. Tuz HH, Onder EM, Kisnisci RS. Prevalence of otologic complaint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3(6):620-3. 

  11. Bernhardt O, Gesch D, Schwahn C, Bitter K, Mundt T, Mack F, Kocher T, Meyer G, Hensel E, John U. Sig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tinnitus patients and in a population-based group of volunteers: results of the Study of Health in Pomerania. J Oral Rehabil. 2004;31(4):311-9. 

  12. Bernhardt O, Mundt T, Welk A, Koppl N, Kocher T, Meyer G, Schwahn C.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he incidence of tinnitus. J Oral Rehabil. 2011. 

  13. Khedr EM, Ahmed MA, Shawky OA, Mohamed ES, El Attar GS, Mohammad KA. Epidemiological study of chronic tinnitus in Assiut, Egypt. Neuroepidemiology. 2010;35(1):45-52. 

  14. Costen JB. A syndrome of ear and sinus symptoms dependent upon disturbed func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n Otol Rhinol Laryngol. 1934;43:1-15. 

  15. Sicher H. Temporomandibular articulation in mandible overclosure. J Am Dent Assoc 1948;36(2):131-9. 

  16. Shapiro HH, Truex RC. The temporomandibular jointand the auditory function. J Am Dent Assoc. 1943;30:1147-68. 

  17. Pinto OF. A new structure related to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middle ear. J Prosthet Dent. 1962;12(1):95-103. 

  18. Bernstein JM, Mohl ND, Spiller H.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masquerading as disease of ear, nose, and throat.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9;73:1208-17. 

  19. Moller AR, Moller MB, Yokota M. Some forms of tinnitus may involve the extralemniscal auditory pathway. Laryngoscope. 1992 Oct;102(10):1165-71. 

  20. Levine RA. Somatic (craniocervical) tinnitus and the dorsal cochlear nucleus hypothesis. Am J Otolaryngol. 1999 Nov-Dec;20(6):351-62. 

  21. Cem Bilgen, Bahar Sezer, Tayfun Kirazli, Tayfun Gunbay. Tinnitu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Electrophysiological Aspects. Int. Adv. Otol. 2010;6(2):167-72. 

  22. de Felicio CM, Mazzetto MO, de Silva MA, Bataglion C, Hotta TH. A preliminary protocol for multi-professional centers for the determination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ranio. 2006 Oct;24(4):258-64. 

  23. Tullberg M, Ernberg M. Long-term effect on tinnitus by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two-year follow-up by questionnaire. Acta Odontol Scand. 2006;64(2):89-96. 

  24. Wright EF, Bifano SL. Tinnitus improvement through TMD therapy. J Am Dent Assoc. 1997;128(10):1424-32. 

  25. Wright EF. Otologic symptom improvement through TMD therapy. Quintessence Int. 2007;38(9):564-71. 

  26. de Felicio CM, Melchior Mde O, Ferreira CL, Da Silva MA. Otologic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effect of orofacial myofunctional therapy. Cranio. 2008;26(2):118-25. 

  27. Cho SH, Whang WW. Acupuncture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J Orofac Pain. 2010;24(2):152-62. 

  28. La Touche R, Angulo-Diaz-Parreno S, de-la-Hoz JL, Fernandez-Carnero J, Ge HY, Linares MT, Mesa J, Sanchez-Gutierrez J.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f muscular origi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ast decade. J Altern Complement Med. 2010;16(1):10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