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원도 남부지역에서 소나무림 벌채 후 초기 종조성 변화
Early Successional Change of Vegetation Composition After Clear Cutting in Pinus densiflora Stands in Southern Gangwon Provinc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0 no.2, 2011년, pp.240 - 245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준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이창석 (국립생태원건립추진단) ,  조현제 (산림청 녹색사업단) ,  이호영 (동부지방산림청)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남부 지역의 발달단계가 다른 소나무림 벌채지에서 16년 동안의 식생 변화를 연구하였다. 교란 후, 천이 궤적 및 환경 변화를 온도, 상대습도, 서열분석(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Multiple Responses Permutation Procedure(MRPP) 및 지표종 분석(Indicator Species Analysis, ISPAN)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벌채 직후, 수관열림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세 배(1yr 68.3% 및 R1 23.0%)로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상대습도는 비교적 작은 변화(약 6% 감소)를 나타내었다. DCA 결과, 벌채 후 초기에는 종조성이 이질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점차 벌채 이전(대조구)의 것과 유사하게 발달하였다. MRPP 결과, 각 발달 단계(1yr, 3yr, 10yr 및 16yr)의 종 조성은 대조구(R1, R3, R10 및 R16)의 것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yr 및 3yr에서는 목본성 종이, 10yr 및 16yr에서는 초본 종들이 주요 종으로 분석되어, 교란 직후에는 목본성 종들이 활발한 재생을 나타내며, 이후 초본 식생이 발달하는 것을 보였다. 연구 대상지역의 천이는 초기 식물상 조성 모델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getation changes were studied for 16 yr in clearcut logged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southern Gangwon-do province in Korea by applying chronosequence approach. Ambi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Multiple Responses Permutation Procedure (MRP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교적 천이 초기의 궤적을 분석한 결과로써, 정확한 교란 후 식생의 발달을 관찰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각 단계의 교란지 인접 지역에서 대조 자료를 획득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교란 후 식생의 발달을 분석하여 군집의 회복력 등을 엄밀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벌채 이전의 식생 및 이후의 식생을 고정 조사지를 설치하여 관찰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본 연구와 같이 간접적인 분석 방법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 그러나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자원으로서 효용성이 높은 소나무림에서의 벌채 또는 간벌 후 식생 재생 기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소나무림 벌채지의 초기 천이 경로 및 종조성 변화를 통하여 군집의 회복력 (resilience) 또는 저항성 (resistance)# 분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