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 남부지역 분비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특성 분석
Vegetati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bies nephrolepis Forest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1 no.2, 2022년, pp.224 - 233  

신동빈 (경북대학교 임학과) ,  오승환 (경북대학교 산림과학∙ 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종인 분비나무가 생육하는 임분 식생의 종조성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현장 식생조사와 식물사회학적 군집분류를 실시하였다. 약 400 m2 규격의 총 192개소를 대상으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른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과 표조작법을 이용하여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각 식생단위별 중요치와 종다양도를 산출하였다. 군락 유형을 분류한 결과, 강원 남부지역 분비나무 분포지의 산림 식생유형은 분비나무-당단풍나무군락, 분비나무-관중군락, 분비나무 전형군락으로 구분되며, 분비나무-당단풍나무군락은 4개의 아군락과 2개의 변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목본성 수종의 중요치 분석 결과 분비나무,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마가목, 피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높은 생태적 지위를 띠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identify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nephrolepis Maxim. in the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We conducted field investigations in 192 stands (400 m2). We analyzed the importance, value, and species diversity of the stands after classifying community type using th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원도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분비나무림을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종 조성과 식생 구조를 조사하고 이원지표종분석법(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과 표조작법을 통해 식생 단위를 구분한 후, 각 식생 단위 별 목본성 수종의 중요치, 유사도 지수, DCA 분석, 종다양도 분석을 통해 각 식생 단위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그 결과를 분비나무림뿐만 아니라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고산 침엽수종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 Y.M., Ahn, J.K., Hong, M.P., Shin, J.T., Won, H.J. and Lee, S.H. 2011.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y in odea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5(4): 559-570. 

  2. Chun, Y.M., Hong, M.P., Kwon, J.H., Lee, J.S., Lee, S.H. and Choung, H.L. 2009. A study on community structure and growth variation of Abies nephrolepis forest in Mt. Seora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3(2): 125-137. 

  3. Chun, Y.M., Hong, M.P., Lee, N.Y., Seo, E.K. and Lee, S.H. 2012. Structure and dynamics of Taxus cuspidata population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5(1): 123-131. 

  4. Cox, G.W. 199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7th Edition. Wm. C. Brown. 

  5.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32(3): 476-496. 

  6. Gangwon Province. 2020. 「Natural Enviroment of Gangwon-do」. https://www.provin.gangwon.kr/gw/portal/sub03_01_01. (2022.02.17.). 

  7. Hill, M.O. 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8. Jang, Y.S., Yang, D.C. and Chung, D.J. 2004.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Taxus cuspidata forests in Mt. Duckyoo.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7(1): 58-66. 

  9. Kim, C.H., Jo, M.G., Kim, J.K., Choi, M.S., Chung, J.M., Kim, J.H. and Moon, H.S. 2012. Vegetation Change and Growing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Population by Altitude in Georim Valley of Mt. Jiri.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6(1): 63-70. 

  10. Kim, H.J., Song, J.H., Lee, J.E., Cho, H.J., Park, W.G., Kim, S.J. and Yun, C.W. 2022.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round marugeum (ridge line) area in Deogyusan region, Baekdudaega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11(1): 81-99. 

  11. Kim, J.W., Jeon, J.Y. and Park, H.C. 2021. Survey on the annual mortality of Evergreen Conifers (Abies koreana, Abies nephrolepis) in the major national park: A case study on Seoraksan, Deogyusan, J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12(2), 79-84. 

  12. Kong, W.S., Kim, K.O., Lee, S.G., Park, H.N., Kim, H.H. and Kim, D.B. 2017. Vegeta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t the peaks of Mts. Seorak, Jiri and Hall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8(4): 401-414. 

  13. Kong, W.S.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4): 357-370. 

  14. Korea Forest Service Press Release. 2021. Save Korea endemic coniferous trees (Korean Firs) from endangered species.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Data (Gangwon-do). 

  16.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2022. 02.02.). 

  17. Korea Research Institute on Climate Change. 2020. Third study on the basic directions for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of Gangwon-do. 

  18.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Jersey, USA, pp. 547. 

  19. Oh, S.H., Kim, J.S., Cho, J.H. and Cho, H.J. 2021. Vegetation typ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10(4): 530-542. 

  20. Park, H.C., Lee, J.H., Lee, G.G. and Um, G.J. 2015.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distribution areas and climate sensitivity assesment of Korean Fir and Khinghan Fir. Journal of Enviromental Impact Assess 24(3): 260-277. 

  21. Song, H.K. 2000.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of Songinbong and Taeharyong in Ullungdo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WINSPAN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1): 57-66. 

  22. Song, J.S. 1991. Phytosociology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s in Korea I. Syntaxonomical Interpretation. Ecological Research(Japan) 6: 1-19. 

  23. Sorensen, T. A. 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Biol. Skar 5: 1-34. 

  24. Whittaker, R. 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Numerical relations of species express the importance of competition in community function and evolution. Science 147(3655): 250-260. 

  25.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 State of the Global Climate 2020. pp. 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