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ACCP 적용 농장의 병원성 세균 관리수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nagement Level of Pathogenic Bacteria in HACCP System Implemented Animal Farm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1, 2011년, pp.67 - 74  

이지윤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이주연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백승희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황인진 (국립수의과학검역원) ,  이경순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김영수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김병훈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김현수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강수철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조재진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박민서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석희진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  남인식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 HACCP 적용 농장의 분변, 원유 및 사육환경에서 병원성세균 등 분석을 통하여 HACCP 적용 농장의 생물학적 위해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고 이를 농장 HACCP 시스템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생물 시료는 HACCP을 적용 중인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농장의 축사바닥분뇨, 퇴비사, 원유탱크, 집란기, 분변 벨트 등에서 채취 하였으며 축산식품의 생물학적 위해인 Pathogenic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등을 분석하였다. 각 축종별 대장균은 분변에서 100% 검출되었으나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젖소농장의 원유 냉각기에서도 S. aurues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돼지농장의 돈사바닥 및 퇴비장에서는 검사건수 30건당 각각 2건, 1건의 Salmonella spp.가 검출되었다. 마찬가지로 산란계농장의 계사바닥 및 분변벨트에서도 전체분석 건수 대비 10~20%의 Salmonella spp.가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헌상 보고되고 있는 일반축산농가의 병원성세균 관리실태와 간접 비교하였을 경우 HACCP 시스템을 적용중인 축산농가에서의 일반축산농가보다 병원성 세균관리가 더욱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level of pathogenic bacteria in HACCP system implemented animal farms. Microbi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nure, floor, compost depot, manure on belt, low milk tank, dust in laying house and egg collector in HACCP system implemented Korean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HACCP 적용 농장의 생물학적 위해 관리에 대한 연구 자료가 전무한 실정으로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기초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축종별(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로 HACCP 적용 농장의 분변, 원유 및 사육환경에서 병원성세균 등 분석을 통하여 HACCP 적용 농장의 병원성 미생물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농장 HACCP 시스템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HACCP 시스템을 운용중인 국내 농장의 병원성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여 농가의 생물학적 위해관리 수준을 파악하여 농장 HACCP 시스템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 HACCP 적용 농장의 분변, 원유 및 사육환경에서 병원성세균 등 분석을 통하여 HACCP 적용 농장의 생물학적 위해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고 이를 농장 HACCP 시스템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생물 시료는 HACCP을 적용 중인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농장의 축사바닥분뇨, 퇴비사, 원유탱크, 집란기, 분변벨트 등에서 채취 하였으며 축산식품의 생물학적 위해인 Pathogenic 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식중독 원인균은 무엇인가? 축산물의 위생·안정성제고를 통하여 안전한 축산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축이 사육되는 농장에서 식탁까지 위생·안전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야 한다. 특히 대표적인 식중독 원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및 Campylobacter spp. 등은 주로 축산물에서 기인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각국 정부에서는 이를 근본적으로 예방 또는 허용수준 이하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Schlundt, 2002; 이희수 등, 2004; Jo 등, 2004; O'Brien, 2005).
닭의 살모넬라속균 감염 경로는 무엇인가? 살모넬라속균은 동물과 사람에 감염되어 장염, 위장염, 패혈증을 일으키는 병원성 장내세균으로 숙주가 다양하고 인수공통전염성 원인균으로 환경이나 식품오염을 통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므로 공중보건학상 대단히 중요시되고 있다(정영미 등, 2004). 닭에서는 주로 오염된 어분이 함유된 배합사료를 섭취하거나 보균동물의 배설물에 의해 수평감염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모계를 통한 수직감염도 질병전파에 매우 중요한 형태로 보고되고 있으므로(정영미 등, 2004) 사료공장에의 원료관리, 사료하치장에서의 제품사료관리, 농장에서의 사료관리 등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ACCP 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HACCP의 기본 개념은 모든 축산물의 생산 및 가공, 판매 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위해를 분석하고 이를 사전에 예방 또는 허용수준 이하로 낮추어 축산물의 위생․안전성을 확보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한 축산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ier, A., Mafu, R. and Higgins, M. 1989. The Incidence of Salmonella, Campylobacter, and Yersinia enterocolitica in swine carcasses and the slaughterhouse Environment. J. Food Prot. 52, 642-645. 

  2. Haddock, R. L. 1970. Efficacy of examining rectal swabs to detect swine Salmonella carriers. Am. J. Vet. Res. 31, 1509-1516. 

  3. Janzen, J. J. 1979. Economic losses resulting from mastitis. a review. J. Dairy Sci. 53, 1151-1161. 

  4. Jayaro, B. M., Biro, G., Kovacs, S., Domjan, H. and Fabian, A. 1989. Prevalence of Salmonella serotypes in pigs a nd evalution of a rapid, presumptive test for detection of Salmonella in pig feces. Acta Vet Hung. 37, 399-444. 

  5. Jeon, B. W., Jeong, J. M., Won, G. Y., Park, H., Eo, S. K., Kang, H. Y., Hur, J. and Lee, J. H. 2006.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O26 and O111 from cattle in Korea. Int. J. Food Microbiology. 110, 123-126. 

  6. Jo, M. Y., Kim, J. H., Lim, J. H., Kang, M. Y., Koh, H. B., Park, Y. H., Yoon, D. Y., Chae, J. S., Eo, S. K. and Lee, J. H. 2004.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il O157 from major food animals in Korea. Int. J. Food Microbiol. 95, 41-49. 

  7. Lopez-Saucedo, C., Cerna, J. F., Villegas-Sepulveda, N., Thompson, R., Velazquez, F. R., Torres, J., Tarr, P. I. and Estrada-Garcia, T. 2003. Single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ct diverse loci associated with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Emerg. Infec. Dis. 9, 127-131. 

  8. O'Brien, S. J. 2005. Foodborne zoonoses. Br. Med. J. 331, 1217- 1218. 

  9. Schlundt, J. 2002. New directions in foodboren disease prevention. Int. J. Microbiol, 78, 3-17. 

  10.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04.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백서. 

  11.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10.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12. 권영일, 김태운, 김해영, 장윤희, 곽효선, 우건조, 정윤희. 2007. 국내 축산 환경 중의 항생제 내성균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5, 17-25. 

  13. 농림수산식품부. 2006. 돼지사육단계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 지침 및 모델. 

  14. 농림수산식품부. 2007a. 비육우사육단계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지침 및 모델. 

  15. 농림수산식품부. 2007b. 젖소사육단계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지침 및 모델. 

  16. 농림수산식품부. 2008a. 육계사육단계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지침 및 모델. 

  17. 농림수산식품부. 2008b. 산란계사육단계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지침 및 모델. 

  18. 농림수산식품부. 2009. 오리사육단계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 적용 지침 및 모델. 

  19. 박준규, 임재향, 서영동, 김내영, 임동영, 윤선종, 최종성, 고홍범. 2000. 전남도내 사육중인 젖소유래 staphlococcus aureus의 enterotoxin 생성과 coagulase 아형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위생학회. 23, 313-320. 

  20. 성명숙, 김진현, 하종수, 조재근, 설성용, 김기석. 2008. 가금 유래 병원성 대장균의 생화학적 성상 및 혈청형. 한국가축위생학회. 48, 145-151. 

  21. 송준익, 김태일, 최희철, 우용희, 정종원, 연규영, Antonio Barroga, 양창범, 김두환, 김준우. 2005. 무창 육성비육돈사에서의 biofilter에 의한 악취 제어효과. 한국동물자원과학회. 11, 55-60. 

  22. 송희종, 채효석. 1998. 가축에서 대장균 감염증. 한국가축위생학회. 21, 413-429. 

  23. 유용희, 송준익, 정종원, 김태일, 최희철, 양창범, 이영윤. 2004. 무창 분만.자돈사내에서 환기시스템별 혹환기 환경조사.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10, 23-28. 

  24. 이희수, 임숙경, 조윤상, 주이석, 김재학, 김종만. 2007. 살모넬라 세포외막 단백질 혼합백신을 이용한 돼지 및 닭에서의 살모넬라감염증 방어효과. 대한수의학회. 47, 147-155. 

  25. 장영달, 오희경, 박용국, 최현봉, 윤진현, 김유용. 2009. 항생제 대체제로서 생균제가 이유자돈의 성장능력 및 영양소 이용률, 설사 빈도,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51, 25-32. 

  26. 정영미, 김기주, 엄성심, 이지영, 노영선, 서석열, 박정배, 이희문, 정동석. 2004. 전북 남원지역 육계에서 살모넬라증에 대한 역학적 조사. 한국 가축위생학회. 27, 75-80. 

  27. 황원무, 이성모, 황현순, 한정희. 2004. 인천지역 도축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한국가축위생학회. 27, 7-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