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례분석을 통한 아파트 골조공사의 공기지연 요인 도출 및 개선방안
Case Studies: Schedule Delay Factors and Delay Prevention Program for Concrete Frame Works in Apartment Construction Project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1 no.1 = no.45, 2011년, pp.9 - 17  

조태제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최종수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프로젝트에서 공기지연은 공정 및 공사비 관리 측면에서 핵심 관리사항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아파트 건설공사에서 직접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공사부위별 공기지연 수준을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한 실증연구로 10개 현장의 공사비 비중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골조공사에서 지연이 발생하는 부위의 순위, 원인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층 골조공사에서 가장 큰 지연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연원인을 다양한 분류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ject delay is one of the most crucial impact factor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from a schedule and cost management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auses of concrete frame work delay in the apartment construction proj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roject cost compositi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을 아파트 골조공사로 한정하여 공기지연이 발생한 현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원인을 도출하고 원인별 공기지연 방지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아파트 건설공사에서 직접 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공사부위별 공기 지연 수준을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한 실증연구로 10개 현장의 공사비 비중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골조공사에서 지연이 발생하는 부위의 순위, 원인 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건설관련 중재사례 중 공기지연과 관련된 사례는 약 몇%를 차지하는가? 한편, 국내 건설관련 중재사례 중 공기지연과 관련된 사례가약 33%를 차지할 정도로 건설 클레임(또는 분쟁)에서 공기지연 관련 부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2], 외국의 경우에도 건설 클레임의 약 60%가 공기지연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3]. 이와 같이 건설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공기지연으로 인한 분쟁이 빈번한 실정이지만 공기지연이 발생하는 원인과 형태가 복잡하고 다양하여 명확하고 체계적인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착공 후 지연원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한편, 착공 후 지연원인으로는 각 공정별 사전 협의가 완료된 거푸집 도면의 검토지연 및 미확정, 각종 사용자재의 발주처 승인 지연, 양중장비의 적정배치 미비 등이 주요 지연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업체 사항으로는 영세성 및 기술력 부족, 적정 작업 인원 수급 미흡 등이 원인이었으며 시공사항으로 최적공정표 작성 미비로 나타났다.
아파트 1층 골조공사의 지연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무엇이 있는가? 구체적으로 공사 착수 전 TFT 활동을 강화하여 초기 시행 공종인 파일, 토목, 골조공사에 대한 실질적인 사전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용 가능한 정보에 대한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건설공사의 특성상 각종 자료가 기록 되지 않고 1회성 으로 사용 후 폐기되는 경향이 높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계별 표준화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기록 및 유지가 가능토록하고, 피드백시스템(feed-back system)을 공유하여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하자 및 재시공 발생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TW, Lee JS. Construction delay analysis utilizing system thinking approach.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6;22(9):131-138. 

  2.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Case book of arbitration precedents Vol. 13. KR, Seoul: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editors; 2003. 

  3. Koo JM, Lee JS. Construction delay analysis method considering productiv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4;20(4);153-160. 

  4. AURIC(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Internet]. The dictionary constructional terms. Available from; http://www.auric.or.kr/User/Dict/DictMain.aspx 

  5. Callahan MT, Quackenbush DG, Rowings JE. Construction project scheduling. NY. McGraw-Hill; 1992 

  6. Kartman S. Generic methodology for analyzing delay claim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9;125(6):409-419. 

  7. Han SH, Yun SM, Lee SH. Exploring delays of the mega construction project : the case of korea high speed railway. Th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06;26(5):839-848. 

  8. Chan DWM, Kumaraswamy MM. A comparative study of causes of time overruns in Hong Kong constructio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97;15(1):55-63. 

  9. Nasir D, Mccabe B, Hartono L. Evaluating risk in construction-schedule model(eric-s):construction schedule risk model.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3;129(5):518-527. 

  10. Assaf SA, Al-Khalil M, Al-Hazmi M. Cause of delay in larg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5;11(2):45-50. 

  11. Elinwa AU, Joshua M. Time-overrun factors in Nigerian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1;127(5):419-425. 

  12. Majid MZ, Mccaffe R. Factors of non-excusable delays that influence contractors'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1998;14(3):42-49. 

  13. Jung JH, Lee K, Hong KH, Lee CH. An analysis on difficulties and delay factor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ies for reduc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10;26(10):121-128. 

  14. Lee JS. Delay analysis using learning effect and linear scheduling i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8;24(5):185-192. 

  15. Kim KH, Kim KH, Lee YS, Kim JJ. A study about influence of risk factors in relation to construction cost increase and schedule delay on the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8;24(5):165-172. 

  16. Lee JS. Delay analysis using linear schedule i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7;23(8):213-220. 

  17. Lee JS. Modified delay analysis considering production r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6;22(5);203-210. 

  18. Kim YJ, Hong JS, Kim KR, Shin DW. An analysis method for the concurrent delay using delay section concep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4;20(6):141-148. 

  19. Kim YJ, Lee WC, Hong JS, Kim KR, Shin DW. A case study on delay analysis methods in the construction project.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4;15(6):129-137. 

  20. Kwon JM, Lee JS. Construction delay analysis method; hierarchical planning process approach,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3;19(8):121-128. 

  21. Lee SB, Lee YM. Improvement for liquidated damages according to the delay of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3;19(5):145-152. 

  22. Han JK, Chin SY, Kim YS. An analysis on delay factors of major trades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3;19(3):163-170. 

  23. Lyu HG, Yu JH, Lee HS. A method of calculating schedule delay considering lost productiv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structure & construction). 2002;18(10):117-1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