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건설 공사의 궁극적인 목표는 주어진 공사를 요구된 공사기간내에 설계도서에 명시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완성하는데 있다. 마감공사는 공종이 세분화되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적정 투입 시점에 대한 세부 공종별 기준이 없고, 선후행 작업간의 우선 순위의 정립의 필요성이 약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마감공사 작업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감공사 세부 공종별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소요 공기에 맞추어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마감공사를 습식공사와 기타 마감공사로 나누어 각 공종별 내역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분류하고, 설문을 통해 설계자, 시공자, 협력업체의 작업지연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계획 공사기간 내에 공동주택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ltimate goal of construction is to complete the given work in the most economical and safest way within the required construction period while meeting the quality standards specified in the design drawing. There are a few characteristics of finish work. First, executed in subdivided process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2]은 마감공사의 공종간 간섭 요인을 정량적 지수로 표현하여 작업간섭 관리모델을 제시하였으나, 마감공사의 일부 공종으로 한정하여 전체 마감공사 초기에 지수를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동주택 공사에서 자재 조달계획이 전체 공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며[10], 자재의 현장반입 과정에서 규격, 수량, 품질 확인 등의 검수 절차가 있으나[11],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작업지연 요인과 연관되어 있는 공사주체별(설계자, 시공자, 협력업 체) 작업지연 요소을 도출하고, 각 공종별 내역을 적용하여 공사 주체별 작업관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마감공사 작업중에 발생하는 지연 상황을 분석하여 현장관리자 및 협력업체 관리자가 인지하고 있는 마감공사의 작업지연 데이 터를 체계화시키려 한다.
  • 마감공사는 공종이 세분화되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적정 투입 시점에 대한 세부 공종별 기준이 없고, 선후행 작업간의 우선 순위의 정립의 필요성이 약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마감공사 작업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감공사 세부 공종별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소요 공기에 맞추어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마감공사를 습식공사와 기타 마감공사로 나누어 각 공종별 내역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분류 하고, 설문을 통해 설계자, 시공자, 협력업체의 작업지연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계획 공사기간 내에 공동주택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마감공사 작업지연을 최소화하여 계획 공기에 맞추어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마감공사 작업중에 발생하는 지연 상황을 분석하여 현장관리자 및 협력업체 관리자가 인지하고 있는 마감공사의 작업지연 데이 터를 체계화시키려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마감공사 작업지연 요인을 공사주체별(시공자, 설계자, 협력업체)로 차별화하여 제시하므로 실무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마감공사의 작업지연 요인을 정량화, 객관화 할 수 있는 자료로 판단된다. 또한 마감공사에 공정관리에 있어서 작업지연 요인이 협력업체에 비중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 본 연구는 마감공사 작업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감공사 세부 공종별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소요 공기에 맞추어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마감공사를 습식공사와 기타 마감공사로 나누어 각 공종별 내역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분류 하고, 설문을 통해 설계자, 시공자, 협력업체의 작업지연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 작업지연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계획 공사기간 내에 공동주택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마감공사 공종별 금액의 평균치를 환산하여 중요도를 도출하였고, 설문을 통해 공사주체별 작업지연 요인을 분석하여 최종 작업지연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계획 공사기간 내에 공동주택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하여 시공자 측면에서 협력업체에 대한 공정관리 우선순위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마감공사는 수많은 공종을 관리해야는 공사 단계이며 공종별 금액의 비율로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 건축공사는 크게 건축공사와 기타 부대 토목 공사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공사중 건축공사로 범위를 한정시키고, 건축공사중 대상 건축물을 공동주택으로, 마감공사의 범위는 구조체공사가 끝난 이후의 Process로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마감공사 투입시점의 전기설비 공사에 대한 작업 지연 요소는 배제한다.
  • 공종별 금액은 1군 업체 공동주택 5개 현장을 대상으로 실행 예산을 수집하여 공종별 평균값의 비율을 구하였다. 현장관리자들이 마감공사 작업지연 원인을 인지하고 공사착공 단계에서 구조체공사 마무리 단계 이전 기간까지 작업지연 원인에 대비하여 최적 계획 수립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공사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건설 공사의 궁극적인 목적는 주어진 공사를 요구된 공사기간 내에 설계도서에 명시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가장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완성하는 것이다[1]. 그러나 건설공사의 불확실성 때문에 요구된 공사 기간내에 공사를 마무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마감공사 작업지연 방지를 위한 공사주체별 관리 사항을 자유 문답형식으로 질문하여 분석한 결과는? 1) 설계자는 마감공종별 시공 부위의 인지 및 디테일 도면작성, 정확한 설계도면작성, 마감재 선정/확정에 따른 적극적인 설계변경 등이며, 2) 시공자는 선행 작업의 일정 조율, 도로여건 및 자재조달들의 작업준비, 자본력있는 협력업체의 조기선정이며, 3) 협력업체는 체계적인 작업계획을 수립하여 공정간섭의 최소화, 다량의 숙련공 확보, 작업인원의 시공교육 실시 등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의 마공사란 무엇인가? 또한 시공자가 협력업체에게 하도급 하여 공사를 수행하므로 하도급 업체의 간섭 요인에 대한 공사관리가 필요하다[2]. 공동주택의 마공사는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의 최종 성과물을 완성하기 위해 기초 및 구조체공사 작업후에 수행되는 일련이 후속 공사를 의미하며 조적공사, 미장공사, 창호공사, 방수공사, 타일공사, 수장공사 등의 공종을 말한다[3]. 마감공사의 작업지연은 공동주택 준공과 직결되어 있어서 공사를 정해진 시점까지 완료하지 못하거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돌관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다양한 하자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im MS, Kwon OC, Kim KH. Time Management of Construction, Ki Moon Dang Publishing;2001. 

  2. Lee JD. A Work Interference Management Model for Apartment Building Finish Works[MA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2009. 

  3. Kim YJ, Han JY, Shin DW, Kim KR, Kim CD, Seo SW. A Tact Planning and Scheduling Process Model for Reduction of Finishing Work Dur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3;19(1):161-7. 

  4. Lee WS. A Development Management and Analysis of Delay Claim Risk Factor for Finish Work Schedule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MA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2004. 

  5. Bramble, B. B. and Callahan, N. T. Construction Delay Claim, 2nd, John Wiley & Sons; 1992. 

  6. Park CW, Yun SH. A Case Study on Reason Analysis for Schedule Delay of Apartment Hous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9;9(1):89-6. 

  7. Han JK, Chin SY, Kim YS. An Analysis on Delay factors of Major Trades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3;19(3):163-8. 

  8. Ji KC, Yu JH, Kim CD. The Schema of Work Delay Analysis by Input Factor in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6;22(11):181-8. 

  9. Jung JH, Lee G, Hong GH, Lee CH. An Analysis on Difficulties and Delay Factor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ies for Reduc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0;26(1):121-8. 

  10. Kim SJ, Shin KC, Kim JJ. Analyzing Influential Factors in the Procurement Process of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3;19(9):155-8. 

  11. Han JG, Kwon SW, Cho MY. Development of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Field Tests Using RFID Technology o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6;22(10):121-8. 

  12. Han JH, Kim DY, Lee HK. A Study on Constraint Analysis Checklist of Constrcution Project, Proceeding of Annual Conference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8;(1):437-6. 

  13. Said A. Assaf, Mohammed Al-Khalil, Muhammad Al-Hazmi. Cause of Delay in Larg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AS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5;11(2):45-6. 

  14. Saied Kartam. Generic Methodology for Analyzing Delay Claims, AS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9;125(6):409-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