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층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공정계획 프로세스
Process Planning for Finishing Works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Projec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110 - 117  

백태용 (부천대학교 건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수의 고층 주거 건물을 건설하는 공동주택 프로젝트에서 마감 공종은 단위세대마다 반복적으로 시공되므로 자원이 연속적으로 투입되도록 공정관리가 이루어지면 품질을 확보하면서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Bar Chart, CPM, LOB와 같은 공정관리 기법은 반복 작업에 대한 표현과 적용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공동주택 마감공사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택트 기반 공정관리 기법은 반복 공종의 작업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과 전문 시공업체의 협조를 필요로 한다. 공동주택의 마감공사는 벽체조성공사, 마감바탕공사, 바닥미장공사, 최종마감공사 순으로 진행되고, 각 공사에는 작업 방법, 작업 공간, 자원 생산성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하위 개념의 반복 공종들이 존재한다. 이 반복 공종들의 작업이 동기화되거나 마지막 작업구역에서 수렴되도록 하면 공정관리의 목표가 유효하게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에서 시공되는 작업들의 순서 관계, 작업 유형 분류 및 관리 방법, 자원의 연속적인 투입을 위한 시공속도와 작업구역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마감공사를 위한 공정 계획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n which the finishing works are done repetitively in each housing uni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quality, if the work process is properly managed in order for the resources to be input continuous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공사의 공정관리는 인력, 자재, 장비, 원가 등의 자원들을 투입하여 건축물을 생산하는 활동을 시간 단위로 계획·조직·통제하는 통합적 관리의 한 방법이다. 공정관리는 정해진 기간에 안전 및 품질을 확보하면서 시공 능률을 향상시켜 예정보다 절감된 비용으로 공사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수의 고층 주거 건물들로 구성된 공동주택의 마감공사는 공종이 많고 여러 전문시공업체에 의해 반복하여 시공되는 특성을 지닌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정 프로세스는 모든 반복공종을 획일적으로 동기화하는 것이 아니라 공종의 고유 특성을 반영하는 시공속도를 적용한다. 그리고 마감공사기간의 60-70%가 소요되는 몇 개의 반복공종을 택트기법으로 엄격하게 수행함으로써 공정관리 업무에 유연성을 제공하며, 작업공간의 규모를 적정하게 결정하여 공종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프로세스의 적용으로 기대되는 효과로는 첫째, 완전 택트형 공정관리 기법에서와 같은 공기 단축과 공사비 절감을 달성할 수 있으며 둘째, 자원의 연속적인 투입을 보장함으로써 학습효과로 인한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으며 셋째, 공종별 특성을 고려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반복공종의 수를 한정함으로써 공정관리의 현장 적용성을 높일 수 있다.
  • 그러므로 내장재의 특성과 작업공간들을 활용하여 유연한 공정계획이 수립되면 효과적인 공정 운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복공종을 분류하여 각 유형에 적합한 시공속도와 관리방식을 다르게 적용하는 공정계획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 본 연구는 수많은 반복공종들이 단위세대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특성 때문에 공종 간의 간섭이 많이 발생되고, 이러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비생산적인 대기시간을 과하게 설정하는 등 비효율적인 공정 계획과 운영이 수행되는 공동주택 마감공사를 대상으로, 반복공종의 고유 특성을 고려한 시공속도와 작업공간을 기반으로 관리 효율성과 실무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공정관리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공정관리 기법은 무엇인가? 건축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공정관리 기법은 바챠트(Bar Chart), CPM(Critical Path Method), LOB(Line Of Balance) 등이 있다. 바챠트는 작업의 시작과 끝을 공사기간에 대응한 횡선으로 표현한 것으로 작업의 착수일과 종료일이 명기되어 보기 쉽지만, 작업 간의 상호관계와 순서가 표현되지 않아 공사기간에 영향을 주는 작업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건축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공정관리 기법 중 하나인 바챠트 기법의 단점은? 건축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공정관리 기법은 바챠트(Bar Chart), CPM(Critical Path Method), LOB(Line Of Balance) 등이 있다. 바챠트는 작업의 시작과 끝을 공사기간에 대응한 횡선으로 표현한 것으로 작업의 착수일과 종료일이 명기되어 보기 쉽지만, 작업 간의 상호관계와 순서가 표현되지 않아 공사기간에 영향을 주는 작업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CPM은 작업 간의 관계와 작업소요시간 등을 네크워크로 표현하여 일정을 계산하고 전체공사기간을 산정하며, 공사 수행에서 발생하는 일정상의 문제를 도해나 수리적 모델로 해결하고 관리하는 방법이다[2].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공정관리 기법인 CPM은 무엇인가? 바챠트는 작업의 시작과 끝을 공사기간에 대응한 횡선으로 표현한 것으로 작업의 착수일과 종료일이 명기되어 보기 쉽지만, 작업 간의 상호관계와 순서가 표현되지 않아 공사기간에 영향을 주는 작업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CPM은 작업 간의 관계와 작업소요시간 등을 네크워크로 표현하여 일정을 계산하고 전체공사기간을 산정하며, 공사 수행에서 발생하는 일정상의 문제를 도해나 수리적 모델로 해결하고 관리하는 방법이다[2]. 그러나 CPM은 공정관리를 위한 작업의 위치 및 생산성 정보를 제공할 수 없고, 표현상의 제약으로 작업을 세분화 하는 데 한계가 있어 반복공사의 작업 진척상황과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Y. Kim, J. Han, D. Shin, K. Kim, C. Kim, S. Seo, "A Tact Planning and Scheduling Process Model for Reduction of Finishing Work Dur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19, no. 1, pp. 161-168, 2003. 

  2. S. Seo, G. Le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ngineering", p. 240, Kimundang, 1999. 

  3. D. Shin, "Application Plan of TACT Process for Finish Works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2009. 

  4. K. Kim, "A Study on Improvement of Repetition Process Management for Finish Works Quality of Construction -Focused on Apartment Housing Proje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2014. 

  5. T. Kim, "Improvement of TACT Scheduling Process in Finishing Works of the Residential Housing",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Aju University, 2008. 

  6. Y. Yoon, Y. Joung, S. Seo, D. Shin, C. Kim, K. Kim,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dividing the work area reasonably in Building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vol. 4, no. 2, pp 059-065, 2005. 

  7. H. Ryu, T. Kim, "Analysis of Boundary Conditions for Activities' Relationships in Linear Scheduling Model",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vol. 12, no. 1, pp. 023-032, 2011. DOI: https://doi.org/10.6106/KJCEM.2011.12.1.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