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자녀 입양가족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Adoptive Mothers with their Biologica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9 no.5 = no.113, 2011년, pp.33 - 50  

임경미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periences of adoptive families, mainly focusing on mothers with their biological children and adopted a child,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doptive family's mothers with their biological children according to a criterion-based sel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0년 이전의 국내입양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비밀입양 문화로 인해 현재 국내에는 입양가족과 입양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2000년 이전의 국내입양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국내입양의 실태파악이나 입양관련 법과 제도, 그리고 입양사후관리서비스의 실태파악과 문제점지적 및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에 국한되어 있었다(배태순, 1993, 1998; 이은경, 2001; 정맹진, 2002; 최진희, 2003; 허명순, 2003). 그러나 공개입양가정의 자조모임 단체인 한국입양홍보회의 설립으로 공개입양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었던 2000년 이후로 공개입양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조금씩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입양가족과 입양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비밀입양 문화로 인해 현재 국내에는 입양가족과 입양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2000년 이전의 국내입양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국내입양의 실태파악이나 입양관련 법과 제도, 그리고 입양사후관리서비스의 실태파악과 문제점지적 및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에 국한되어 있었다(배태순, 1993, 1998; 이은경, 2001; 정맹진, 2002; 최진희, 2003; 허명순, 2003).
입양아의 연령을 제한하여 입양가족의 적응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입양아동이 경험한 입양됨의 의미(권지성 등, 2008)의 연구에서 입양아의 연령에 따라 구분한 것 외에는 연령을 제한한 질적 연구는 없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입양아는 발달주기에 따라 입양됨의 의미를 다르게 인지하고 입양과 관련된 과업에 대처하기 때문에 입양가족 또한 입양아의 발달주기에 따라 다른 경험을 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입양아의 연령을 제한하여 입양가족의 적응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구미향(2006). 공개입양 가정의 부모가 경험하는 갈등의 유형과 특성 분석. 한국아동학회, 27(3), 117-133. 

  2. 권지성(2003).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입양홍보회 참여가족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지성(2004).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가족복지학, 7(2), 35-50. 

  4. 권지성.변미희.안재진.최운선(2008). 입양아동이 경험한 입양됨의 의미. 한국가족복지학, 1(23), 71-102. 

  5. 박경련(2007). 한국사회에서의 입양부모들의 입양공개경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배태순(1993). 국내입양문제와 관련한 입양법 개정 제안. 한국아동복지학, 1(1), 1-22. 

  7. 배태순(1998). 현대사회에서의 입양의 이해와 입양의 성공. 경남대학교 출판부. 

  8. 변미희.백경숙(2001). 공개입양부모를 위한 사전?사후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아동관리연구, 5(2), 31-48. 

  9. 변미희.정혜선(2006). 예비입양부모교육프로그램개발. 한국가족복지학, 11(2), 83-101. 

  10. 보건복지부. stat.mw.go.kr. 

  11. 송희연(2005). 입양가족의 적응과 공개입양 활성화에 관한 연구: 공개입양가족 사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안재진(2008). 국내입양가정의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윤현선(2001). 국내입양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 수행자신감, 가족적응력간의 관계: 자조모임참가 입양부모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용숙?김영천(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15. 이은경(2001). 국내입양실태와 사후관리활성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정순(2003). 유아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3), 183-199. 

  17. 이현정(2001). 입양형태에 따른 입양부모의 양육경험 사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맹진(2002). 국내입양 후 만족도와 입양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조효정(2008). 공개입양가족의 입양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공개입양어머니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지희(2001). 국내입양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진희(2003). 국내입양서비스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한동수(2001). 입양아의 입양당시연령, 양어머니의 양육기간 및 역할 만족도와 애착안정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허명순(2003). 공개입양활성화를 위한 국내입양제도 개선방안: 민법과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홀트아동복지회. www.kostat.go.kr. 

  25. 황재필(2005). 국내입양가족의 입양방법에 따른 가족 적응.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Anderson, S., & Sabatelli, R.(1999). Family interaction: A multigenerational developmental perspective(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7. Brodzinsky, D. M.(1990). A stress and coping model of adoption adjustment. In D. M. Brodzinsky. & M. D. Schechter.(Eds.). The psychology of adoption(3-24). N.Y.: Oxford University Press. 

  28. Brodzinsky, D. M., Smith, D. W., & Brodzinsky, A. B.(1998). 안재진 역(2004). 입양아동의 적응. 서울: 홀트아동복지회. 

  29. Colaizzi, P.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a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 & King, M.(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48-71). N.Y.: Oxford University Press. 

  30. Emery, R. E. & Tuer, M. (1993). Parenting and the marital relationship. In T. Luster. & L. Okagaki.(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121-148). Hillsdale, NJ: Erlbaum. 

  31. McKenzie, J. K. (1993). Adop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Future of Children, 3, 62-76. 

  32. Rosenberg, E. B. (1992). 이윤로?이미선 역(2007). 입양의 생애주기. 서울: 신정. 

  33. Ternay, M. R., Wilborn, B., & Day, H. D. (1985). Perceived child-parent relationships and child adjustment in families with both adopted and natural childr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6, 261-2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