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통로와 주변도로에서 야생조류의 이동 비교
The Comparison of Wild Birds Movement between Eco-Corridor and Neighboring Crossing Roa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5, 2011년, pp.639 - 648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이장호 (국립환경과학원) ,  강완모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야생동물 이동을 위해 설치된 '생태통로'를 야생조류가 선택적으로 이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호암1터널, 까치산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육교형 생태통로에서 '생태통로'와 '주변도로'를 이동하는 야생조류를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3개 지역 중 까치산 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능선에 위치한 생태통로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지 않았으나, 사면에 위치한 호암1터널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유의하게 높게 이용하였다. 생태통로의 폭이 90m 이상이거나 사면에 위치할 경우, 야생조류의 이동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조류의 종 구성 측면에서, 관목층 둥지 조류는 2m 이하의 관목층 엽층량과 상관성이 있었고, 수관층 둥지 조류는 7~8m 엽층량과 상관성이 높았다.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는 대상지 입지 여건에 따라 목표종을 선정해야 하지만, 서울시의 경우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관목층 조류를 대상종으로 선정하고, 다양한 야생조류의 이동을 위해서는 사면지역에 약 1ha 크기(폭 90m 이상) 생태통로에 2m 이하의 관목층과 8m 이상의 수관층 피도량을 높여주는 산림환경구조를 조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corded the movement of wildbirds nine times at Hoam 1st Tunnel, Kkachisan Park, Deungneung pass to compare the movement between eco-corridor and neighboring crossing roa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Among three areas, birds did not prefer the eco-corridor at pass type such as Kkachisan Park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 엽층별(A층: 13m 이상, B층: 11~12m, C층: 9~10m, D층: 7~8m, E층: 5~6m, F층: 3~4m, G층: 2m 이하)로 엽층의 상대 피도량이 0%이면 0, 1~20%이면 1, 21~40%이면 2, 41~60%이면 3, 61~80%이면 4, 81~100%이면 5 로 나타낸 후, 각 엽층의 평균치로 미세서식지의 산림환경구조를 추정하였다(Lee, 1996). 각 생태통로에서 3개소, 주변 도로에서 3개소 값을 평균하여 구하였다. 야생조류는 생태통로 뿐만 아니라 주변 도로를 따라 이동하므로 주변도로의 산림 환경구조도 포함하였다.
  • 28m) 원형 소방형구에서 산림환경구조(forest environmental structure)를 조사하였다. 각 엽층별(A층: 13m 이상, B층: 11~12m, C층: 9~10m, D층: 7~8m, E층: 5~6m, F층: 3~4m, G층: 2m 이하)로 엽층의 상대 피도량이 0%이면 0, 1~20%이면 1, 21~40%이면 2, 41~60%이면 3, 61~80%이면 4, 81~100%이면 5 로 나타낸 후, 각 엽층의 평균치로 미세서식지의 산림환경구조를 추정하였다(Lee, 1996). 각 생태통로에서 3개소, 주변 도로에서 3개소 값을 평균하여 구하였다.
  • 각 조사지별로 0.01ha(직경 11.28m) 원형 소방형구에서 산림환경구조(forest environmental structure)를 조사하였다. 각 엽층별(A층: 13m 이상, B층: 11~12m, C층: 9~10m, D층: 7~8m, E층: 5~6m, F층: 3~4m, G층: 2m 이하)로 엽층의 상대 피도량이 0%이면 0, 1~20%이면 1, 21~40%이면 2, 41~60%이면 3, 61~80%이면 4, 81~100%이면 5 로 나타낸 후, 각 엽층의 평균치로 미세서식지의 산림환경구조를 추정하였다(Lee, 1996).
  • , 2000). 그리고 분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각 생태통로가 위치한 인접 산림의 조류상을 조사하였다. 조류상 조사는 선조사법(line transect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통로 입구에서 산림쪽으로 500m의 조사경로를 선정하고 좌·우 25m범위 안에 관찰된 조류종과 개체수를 기록하였다(Bibby et al.
  • 조사시간은 조류의 관찰율이 가장 높은 새벽시간으로 06:00~08:00로 정하였다. 매 회마다 실험구와 대조구에 각 10분씩 교대로 3반복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생태통로 또는 도로 변(조사 길이: 약 50m)에 조사 위치를 정하여, 육안과 쌍안경(Nikon 10×40 5.
  • 본 연구에서는 번식 조류 군집에 대해 각 조류의 둥지를 짓는 장소에 따라서 나무구멍(hole), 수관층(canopy), 관목층(bush and ground), 인가(house)로 구분하여, 둥지 틀기 길드(nesting guild)를 나타냈다. Park and Lee(2000)의 기준을 참조하여 분류하였고, 본 조사지에서 나타난 습성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 야생조류가 생태통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지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12일, 20일, 7월 8일, 8월 5일, 8월 19일, 8월 22일, 9월 13일, 16일, 22일 등 총 9회에 걸쳐 번식 후 야생조류의 이동이 예상되는 시기부터 9월 말까지 조류이동과 산림환경구조 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 1) 이동 조사

    조류의 생태통로 이용패턴조사 시 실험구로서 생태통로(eco-corridors) 그리고 대조구로서 생태통로가 없는 주변도로(neighboring crossing road, Cross)를 대조구로 선정하였다. 조사시간은 조류의 관찰율이 가장 높은 새벽시간으로 06:00~08:00로 정하였다.

  • 조사는 생태통로 또는 도로 변(조사 길이: 약 50m)에 조사 위치를 정하여, 육안과 쌍안경(Nikon 10×40 5.9°, Swarovski 8x32 10°)을 이용하였으며 울음소리로 종 및 개체수를 조사하였다(Huff et al., 2000).

대상 데이터

  • 서울시에 조성한 육교형 생태통로 중 식생 조성이 유사한 지역을 선택하였다. 조사 대상지 중 생태통로는 금천구 호암길의 호암1터널(서울 금천구 시흥동)와 관악구 낙성대 인근의 까치산근린공원(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노원구 덕릉고개(서울시 노원구 상계동)를 선정하였다.
  • 서울시에 조성한 육교형 생태통로 중 식생 조성이 유사한 지역을 선택하였다. 조사 대상지 중 생태통로는 금천구 호암길의 호암1터널(서울 금천구 시흥동)와 관악구 낙성대 인근의 까치산근린공원(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노원구 덕릉고개(서울시 노원구 상계동)를 선정하였다. 호암1터널은 2000년에 폭 90m, 길이 110m 크기로 조성되었고, 까치산근린공원은 2005년에 폭 15m, 길이 80.

데이터처리

  •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찰 종 수 및 밀도는 비모수 통계 분석인 Mann-Whitney U-test를 이용하여 평균 종 수 및 밀도를 비교하였으며, 산림환경구조의 각 엽층 피도량은 모수 통계 분석인 Duncan test를 적용하여 3개 장소의 피도량 평균치를 비교하였다(SAS Institute Inc., 1985). 각 엽층의 피도량과 둥지 길드(nesting guild)별 평균 이동 횟수간의 관련성은 R 프로그램(R Development Core Team, 2011)을 이용하여 스피어만 상관계수(r)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 , 1985). 각 엽층의 피도량과 둥지 길드(nesting guild)별 평균 이동 횟수간의 관련성은 R 프로그램(R Development Core Team, 2011)을 이용하여 스피어만 상관계수(r)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이론/모형

  • 조류상 조사는 선조사법(line transect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통로 입구에서 산림쪽으로 500m의 조사경로를 선정하고 좌·우 25m범위 안에 관찰된 조류종과 개체수를 기록하였다(Bibby et al., 199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든 종이 생태 통로를 이용할 경우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생태 통로의 조성 후 생물 종별 이동 자료를 통해 생태 통로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으며 어떠한 종이 이동한지 알고 있으면 생태 통로가 선택적인지 모든 종에게 이로운 지 알 수 있다. 모든 종이 생태 통로를 이용할 경우, 일반종 (generalist)의 서식지 확장으로 다른 종의 이동 및 서식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Gillies and St. Clair, 2009a; 2009b).
서식지 단편화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인 생태 통로는 어떤 수단으로 제시되어 왔는가? 서식지 단편화(habitat fragmentation)는 도시화 과정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안으로 생태 통로(eco-corridor)는 단편화된 경관에서 생물다양성과 생태적 과정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시되어 왔다(Wegner and Merriam, 1979; Gonzalez et al., 1998; Da Silvae and Tabarelli, 2000; Lens et al.
서식지 단편화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생겨난 생태통로는 일부 생물종에게는 연결통로로 작용하지만 다른 생물종에게는 어떤 것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 , 2002). 일부 연구는 목표 종이 생태 통로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나(Beier, 1995; Beier and Noss, 1998), 생태 통로는 일부 생물종에게는 연결 통로(corridor)로 다른 종에게는 장애(barrier)로 작용할수 있다(Sieving et al., 1996; Haddad,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ier, P(1995) Dispersal of juvenile cougars in fragmented habitat. J. Wildl. Manage. 59: 228-237. 

  2. Beier, P. and R.F. Noss(1998) Do habitat corridors provide connectivity? Conserv. Biol. 12: 1241-1252. 

  3. Belisle, M(2005) Measuring landscape connectivity: The challenge of behavioral landscape ecology. Ecology 86: 1988-1995. 

  4. Bibby, C.J., N.D. Burgess and D.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UK, 257pp. 

  5. Choi, B.J., Y.S. Jo, J.C. Jeong and J.P. Kim(2007) Ecological case study of eco-corridor in Korea: State and Problem. J. Kor. Env. Impact Assess. 16(4): 285-3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Da Silva, J.M.C. and M. Tabarelli(2000) Tree species impoverishment and the future of the Atlantic forest of northeast Brazil. Nature 404: 72-74. 

  7. Dmowski, K. and M. Kozakiewicz(1990) Influence of a shrub corridor on movements of passerine birds to a lake littoral zone. Landscape. Ecol. 4(2/3): 99-108. 

  8. Gillies, C.S. and St. Clair, C.C.(2009a) Functional responses in habitat selection by tropical birds moving through fragmented forest. J. Appl. Ecol. 47(1): 182-190. 

  9. Gillies, C.S. and St. Clair, C.C.(2009b) Riparian corridors enhance movement of a forest specialist bird in fragmented tropical forest. PNAS 105(50): 19774-19779. 

  10. Gonzalez, A., J.H. Lawton, F.S. Gilbert, T.M. Blackburn and I. Evans-Freke(1998) Metapopulation dynamics,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a microecosystem. Science 281: 2045-2047. 

  11. Haddad, N.M.(2008) Finding the corridor more traveled. PNAS. 106(50): 19569-19570. 

  12. Hong, S.H., S.H. Choi, S.D. Lee and J.H. Bae(2009) Establishing urban green networks by estimating birds moving pattern. J. Kor. Geogr. Inform. Stud. 12(2): 99-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Huff, M.H., K.A. Bettinger, H.L. Ferguson, M.J. Brown and B. Altman(2000) A habitat-based point-count protocol for terrestrial birds, emphasizing Washington and Oregon. Gen. Tech. Rep. PNW-GTR-501, Portland, USDA, PNRS, Portland, OR, 39pp. 

  14. Kim, M.S.(2005) The exis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ecological corridor in Korea -Focusing on planting specie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8(1): 17-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M.S., H.Y. Heo, S.M. Cho, S.A. Shin, and T.M. Ahn(2005) An analysis of eco-corridors in Korea by cas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8(2): 4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W.S.(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t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n Hokkaido, Japan. Korean J. Ecol. 19(4): 353-361. (in English with Korean abstract) 

  17. Lee, Y.W. and M.W. Lee(2006) Eco-corridor positioning for target specie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9(3): 51-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ns, L., S.V. Dongen, K. Norris, M. Githiru and E. Matthysen(2002) Avian persistence in fragmented rainforest. Science 298: 1236-1238. 

  19. Levey, D.J., B.M. Bolker, J.J. Tewksbury, S. Sargent and N.M. Haddad(2005) Effects of landscape corridors on seed dispersal by birds. Science 309: 146-148. 

  20.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2003) The Guideline for management and installation of eco-corridors to rehabilitate the natural ecosystem. (in Korean) 

  21.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2004) Development of planning technique of eco-corridors to implement of sustainable urban woodlands. (in Korean) 

  22. Park, C.R. and W.S. Lee(2000)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area in breeding birds of urban woods in Seoul, Korea. Landscape. Urban. Plan. 51: 29-36. 

  23. Park, J., H. Yoo and M. Park(2009) A study on assessment items analysis for eco-corridors' area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 Kor. Env. Impact Assess. 18(5): 301-3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R Development Core Team(2011)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25. SAS Institute Inc.(1985) SAS/STAT guide for personal computers, Version 8edition. SAS Institute Inc. Cary. 378pp. 

  26. Sieving, K.E., M.F. Willson and T.L. deSanto(1996) Habitat barriers to movement of understory birds in fragmented south-temperate rainforest. The Auk 113(4): 944-949. 

  27. Tewksbury J.J., D.J. Levey, N.M. Haddad, S. Sargent, J.L. Orrock, A.Weldon, B.J. Danielson, J. Brinkerhoff, E.I. Damschen and P. Townsend(2002) Corridors affect plants, animals, and their interactions in fragmented landscapes. PNAS. 99: 12923-12926. 

  28. Tremblay, M.A. and C.C. St. Clair(2009) Factors affecting the permeability of transportation and riparian corridors to the movements of songbirds in an urban landscape. J.Appl. Ecol. 46(6): 1314-1322. 

  29. Vergara, P.M. and J. A. Simonetti(2006) Abundance and movement of understory birds in a Maulino forest fragmented by pine plantations. Biodivers. Conserv. 15: 3937-3947. 

  30. Wegner, J.F. and G. Merriam(1979) Movements by birds and small mammals between a wood and adjoining farmland habitats. J. Appl. Ecol. 16(2): 349-3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