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생동물 이용빈도 및 종다양도를 활용한 생태통로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Wildlife Crossings Eeffectiveness on Use Frequency and Diversity Indicators of Wildlife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6, 2019년, pp.525 - 535  

우동걸 (국립생태원) ,  서현진 (국립생태원) ,  박태진 (국립생태원) ,  송의근 (국립생태원) ,  김경민 (국립생태원) ,  최태영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두대간 등 주요 생태축에 위치한 생태통로 49개소를 대상으로 야생동물 일평균 이용빈도 지표와 주변 서식지와 출현종의 수를 비교한 종다양도 지표를 활용하여 생태통로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생태통로 일평균 이용빈도는 1.4회였으며, 평균을 상회하는 생태통로는 17개로 전체의 34.7%로 확인되었다. 주변 서식종의 수와 출현종의 수가 동일한 종다양도 1.0 이상인 생태통로는 18개로 전체의 36.7%으로 나타났다. 일평균 이용빈도와 종다양도 모두 양호한 생태통로는 10개로 전체의 20.4%로 분석되었다. 효율성이 양호한 생태통로 중 4개소의 생태통로 지침 준수율 등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를 검토한 결과, 위치선정·규격·식재 및 토양·유도울타리 등에서 덕산재 육교형 생태통로의 지침 준수율이 가장 양호했다. 본 연구결과는 신규 생태통로 및 기설치된 생태통로의 기능개선 등 생태통로 효율성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49 major WCS(Wildlife Crossing Structure), including Baekdu-daegan, were evaluated for the effectiveness of WCS on using the daily average frequency index and diversity Index comparing the number of species that appear with the surrounding habita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ve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생태통로 효율성 연구에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인 야생동물 일평균 이용빈도 지표와 주변 서식지와 생태통로 출현종 비율을 계산한 종다양도 지표를 활용하여 효율성 평가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백두대간 등 주요 생태축이 도로에 의해 단절된 지점에 조성된 생태통로 49개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부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통로 유형별 빈도 및 멸종위기종 이용현황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생태통로 모니터링 결과에서 확인된 출현종의 유형과 생태통로 주변에 서식하는 종의 유형 간 비례값을 산출하여 생태통로 주변 서식종들이 생태통로를 충분히 잘 이용하고 있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생태통로 주변 서식종은 연구자가 실제 모니터링을 통해 파악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Clevenger 2011), 본 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서식종의 수를 정량화된 방법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포유류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는 제2차(’97~’05) 및 제3차 (’06~’13) 전국자연환경조사(Investgation of Natural Environment, INE)의 전체 포유류 조사결과 자료를 종합하여 사용하였다.
  • 생태통로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생태통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존 생태통로 효율성에 대한 실태파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백두대간 등 주요 생태축에 위치한 생태통로 49개소를 대상으로 야생동물 일평균 이용빈도 지표와 생태통로 출현종의 수와 주변 서식종의 수를 비교한 종다양도 지표를 활용하여 생태통로 효율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전체 생태통로의 20.
  • 2016), 일평균 이용빈도는 약 2배 가까이 높았으며, 출현종의 수도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생태통로에 출현한 종 뿐만 아니라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생태통로 주변에 서식종의 수를 계산하여 실제 생태통로를 어느 정도 이용하는지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 보호지역 등 특정 지역에 국한된 생태통로 모니터링 범위를 확장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역 및 도로유형에 설치된 생태통로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 효율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 생태통로 현장조사 결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NIE(2018)에서 수행된 생태통로 45개소의 지침준수율 조사 내용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지방도나 시·군도를 관리하는 지자체의 지침준수율이 육교형 6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통로는 무엇인가? 2017). 자 연환경보전법에서 생태통로는 어도, 식생의 연결, 야 생동물의 이동통로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동식물의 서식 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동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는 인공구조 물이나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으로 정의하고 있다. 우 리나라에서는 1998년 지리산 시암재에 최초의 생태 통로가 설치된 이후, 지난 20년 동안 다양한 설치 주 체들에 의해 약 500여개 이상의 생태통로가 조성되 었다(NIE 2018).
생태통로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 많은 연 구에서 도로는 서식지의 파편화 혹은 서식지의 단절 및 격리를 초래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고, 실제로 도로 위에서 차량에 의한 야생동물 찻 길사고인 로드킬이 빈번하게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생태통로는 로드킬 저감과 단절된 생태계의 연결을 위한 대표적인 복원 수단으로서 많 이 활용되고 있다(Park et al. 2012; Clevenger & Barrueto 2014; Wang 2014; Wang et al.
야생동물 이동 통로로서의 생태통로에 대한 선행연 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야생동물 이동 통로로서의 생태통로에 대한 선행연 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수행되었다. 야생동물 이동의 저항값과 연결성을 고려한 설치의 우선순위 도출 (Jonsson 2017), 특정 종의 활동권이나 이동특성을 고려한 생태통로 설치 검토(Lee & Lee 2006; Soanes et al. 2018), 국내 포유류에 적합한 생태통로의 유형 과 규격 제시(Choi et al. 2012), 생태통로 이용에 영 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도출(Bellis 2008; Wang 2014), 고속도로의 생태통로 적지 선정 연구(Shin & Ahn 2008) 등이 있다. 그러나 대체로 특정 지역이나 도로에 국한된 사례 연구 중심으로 수행되어 생태통 로 효율성과 관련된 공통된 특성을 도출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rrueto M, Ford AT, Clevenger AP. 2014. Anthropogenic effects on activity patterns of wildlife at crossing structures. Ecosphere 5(3): 1-19. 

  2. Bellis M. 2008.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in Southern Vermont, Master Theses i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3. Bergen NH. 2018. Evaluating the success and monitoring the usage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in Bedminser, NJ 

  4. Choi TY, Park CH. 2006. The effects of land use on the frequency of mammal roadkill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52-58. [Korean Literature] 

  5. Choi TY, Yang BG, Woo DG. 2012. The Suitable Types and Measures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for Mammals of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1): 209-2018. [Korean Literature] 

  6. Clevenger AP. 2011. Wildlife Crossing Structure Handbook Design and Evaluation in North America. Th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Report. 

  7. Clevenger AP, Waltho N. 2000.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Wildlife Underpasses in Banff National Park, Alberta, Can. 

  8. Clevenger AP, Barrueto M. 2014. Trans-Canada Highway Wildlife and Monitoring Research. Final Report Part B. Radium Hot Springs, British Columbia. 

  9. Jonsson. 2017. Spatial modeling of wildlife crossing_GIS-based approach for identifying highpriority locations of defragmentation across transport corriodrs 

  1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Comprehensive plan on mitigation measures to reduce roadkill in National Park. 

  11. Lee YU, Lee MW. 2006. Eco-corridor positioning for target species -by field surveying of mammals' road-Ki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orean Literature] 

  12.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A study on analysis of habitat fragmentation and improvement of wildlife passage effectiveness. 

  13.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6. Fundamental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 

  14.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7. Fundamental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 

  15.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undamental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 

  16.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Investigation of Roads Status 

  17. Park JJ, Woo DG, Oh DH, Park JH. 2012. Site selection of wildlife passage for Leopard Cat in urban area using space syntax.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1):92-99. [Korean Literature] 

  18. Shin SA, Ahn DM. 2008. Approach to the Location of Wildlife Corridors on Highways -Between Yang-jae and Pan-gyo ICs of Seoul -Busan Highw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orean Literature] 

  19. Simpson NO, Stewart KM, Schroeder D, Cox M, Huebner K, Wasley T. 2016. Overpass and underpass: effectiveness of crossing structures for Migratory Ungulates. The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80(8): 1370-1378. 

  20. Soanes K, Taylor AC, Sunnucks P, Vesk PA, Cesarini S, Ree RVD. 2018. Evaluating the success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using genetic approaches and an experimental design-Lessons from a gliding mammal. Journal of Applied Ecology 55(1): 129-138. 

  21. Van der Grift EA, Van der Ree R. 2015. Guidelines for evaluating use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Handbook of Road Ecology, John Wiley & Sons, Ltd. 

  22. Wang J. 2014. Effectiveness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on Providing Habitat Connectivity for Wild Animals. Master Theses i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3. Wang Y, Guan L, Piao Z, Wang Z, Kong Y. 2017. Monitoring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along highways in Changbai mountain Chin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50:119-1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