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A Study on Economic Value of Daegu Arboretum based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5, 2011년, pp.787 - 798  

강기래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이기철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현택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유병로 (한밭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러한 수목원의 비시장적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CVM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치추정의 방법은 대상재의 설정, 지불수단의 결정, 지불의사 유도 방법 결정, 가상적 상황설정, 설문, 분석, 추정액 도출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수목원의 비시장적인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가치 추정은 DBDC방식으로 진행 하였으며 분석의 방법은 도출된 추정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알려진 logit분포를 가정한 함수의 분포 형태별로 각각의 추정액을 도출 하였다. 통계적 적합성을 바탕으로 1인당 대구수목원을 방문하여 얻는 연간 휴양의 가치는 WTPmean 12,718원, WTP median 11,033원, WTPtruncated mean 11,468원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대구수목원이 제공하는 연간 환경의 가치는 약 160억 원에서 190억 원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수목원의 환경에 대한 가치추정법은 그 연구 대상지나 대상 재화만 변경하여서 기타의 환경재 가치 추정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rboretum is defined as a collection of facilities that conserve plant species by surveying, collecting, and proliferating and preserving the plants in nature, perform diverse researches on plants and display the plants in exhibition spaces or outdoors as well as provide the public with educ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구수목원의 환경적 가치를 화폐단위로 추정하여 이용객들이 얻는 효용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제시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공공재의 가치 추정 방법을 수목원에만 한정 할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기타의 공공재에 적용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해 보는 것이다. 공공재의 가치 측정 대상 영역은 기존의 습지, 도시공원, 자연휴양림, 국립공원, 문화재 뿐 만 아니라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시행하는 정책에 대한 효용의 크기를 측정하여 정책의 선호도와 편익을 추정하여 정책 수립의 기초적 자료로도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특히 도심 생활 속에서 식물 종과 자연환경에 대한 교육을 체험 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소중한 환경의 교육장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VM기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구수목원의 비시장적인 환경의 가치를 현재의 통화액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또한 이러한 CVM 추정법을 기타의 공공재 가치 추정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선행적 연구의 하나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구수목원의 환경적 가치를 화폐단위로 추정하여 이용객들이 얻는 효용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제시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공공재의 가치 추정 방법을 수목원에만 한정 할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기타의 공공재에 적용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해 보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수목원의 “이용가치”를 추정하고자 수목원 방문객 중 무작위 대면 설문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가상적 상황설정, 5. 설문, 분석, 6. 추정액 도출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분 선택형 가상가치평가법은 어떤 방법인가? 공공재의 가치 추정은 양분 선택형 가상가치평가법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이며 이 는 무작위로 제시된 금액A를 소비자의 지불의사에 의한 수 용, 거부만으로 자료를 획득하여 확률모델로 전환하여 지불 의사금액 함수를 추정하고 이를 효용이론(Utility theory)에 접목시켜 소비자의 후생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Hanemann, 1984).
CVM을 이용하여 공공재의 가치를 추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CVM을 이용하여 공공재의 가치를 추정한다는 것은 몇 가지 관점에서 깊이 고려해야 할 것이다. 먼저 공공재의 가 치추정은 존재하지 않는 가치를 추정 하는 원초적인 모순이 있다. 또한 추정된 금액에 대해서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을 누구도 할 수 없는 난해한 부분이 있다. 이는 시장에서 거래 된 적이 없고 거래 불가능한 특별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그 리고 기금 제공 금액에 대한 문제이다. 우리는 거래된 적이 없는 가치를 숫자로 표현하는데 대단히 서툴다는 사실이다. 공기의 가치, 맑은 물의 가치를 금액으로 추정한다면 응답 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응답인지, 교육받은 지식을 이용 한 응답인지 판단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부분에서 도출된 제시금액을 이용하여 추정치를 도출한다는 것 또한 기본적 인 설득력을 얻기 힘든 부분이 있다. 하지만 공공재의 가치 추정은 불가능한 수치를 표현하는 기본적인 제약이 항상 따르지만 가치를 추정하지 않는 것 보다는 더 낫다는 것이 다. 이것은 환경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환경의 소 중함을 경제생활의 기본적인 수단인 화폐가치로 추정하여 제시함으로서 환경의 소중함을 좀 더 실질적으로 인식 하게 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수목원에만 한정시켜 가치를 추정한 본 연구를 확장시켜서 기타의 공공재의 가치를 화폐액으로 추정하는데 선행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수목원은 어떤 시설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는가? 수목원은 자연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조사, 수집, 증식 보전을 통해 식물 종을 보전하고 식물 관련연구를 수행하며 식물을 일정한 야외나 실외 공간에 전시하여 국민들에게 식물에 대한 교육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러한 수목원의 비시장적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CVM 기법을 이용하여 대구수목원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 J.K., K.H. Song and M.Y. Jung(2000) Ecological Monitoring for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aksom at Chollipo Arboretum, Korea(1).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2): 109-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g, D.L., Y.M. Jeong and J.S. Byeon(2003)A Study for Use Conditions and Activation Plan of Chungnam Keumkang Arboretum. Journal of The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6(6): 14-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ameron, T. A. and M. D. James(1987) "Efficient estimation methods for closed-ended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9: 269-276. 

  4. Cho, W., J.S. Jang, S.H. Min and G.I. O(2003) Master Plan for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Arboretu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96-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iraicy-Wantrup, S.V.(1947) Capital returns from soil-conservation practices. Journal of Farm Economics 29: 1181-1196. 

  6. Davis, R.K.(1963) The Value of Outdoor Recreation: An Economic Study of the Maine Woods, PH. 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7. Hanemann, W.M.(1984)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3): 1057-1061. 

  8. Hanemann, W.M.(1989)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Repl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71, NO. 4. 

  9. Hong, S.K., J.H. Kim, Y.H. Kim, S.J. Kim, H.C. Jang, S.H. Lee and Y.L. Tae(2010)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Arboretum Visito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4): 517-5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ong, S.K., J.H. Kim, S.J. Jung and Y.L. Tae(2010) An Economic Valuation of Arboretum Using Choice Experim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6):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In-cheon City(2003) Master plan of Incheon-arboretum. (in Korean) 

  12. Jhanson, P.B., Kristrom and K.G. Maler(1989)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Comment.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71, pp. 1054-1055. 

  13. Kang, K.R.(2010) Comparative Study on Monetary Estimates of the Preservation value of Recreational Forests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25-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ang, K.R.(2009) Study on Measuring the Value of Recreational Forest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5): 4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ang, S.K., J.T. Moon and S.Y. Han(2009) A Study on the Positioning Strategies of Arbore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6): 703-7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evin, J.B., C.B. Richard and P.W. Michael(1985) Starting Point Bias in Contingent Valuation Bidding Games. Land Economics. Vol. 61, No. 2, 188pp. 

  17. Kim, B.J.(1998) Analysis for Benefit Estimation of Environmental Value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 In the case of the Mt. Bukhan National Park -.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S.O., S.C. Jin and C.J. Oh(2002)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acuta Forest at Wando Warm-Temperate Forest Arbore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781-7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T.K., S.Y. Han and K. Choi(1999)A Survey Design for Reducing Hypothetical Bias in the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0(1): 167-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won, O.S.(1999) Environmental Economics. Bakyoungsa, Seoul. (in Korean) 

  21. Lee, C.K.(2003) Tourism in Applied Economics. Illshinsa, Seoul. (in Korean) 

  22. McConnell, K.E.(1990) Models for Referendum Data : The Structure of Discrete Choice Models for Contingent Valu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8: 19-34. 

  23. Mitchell, R.C. and R.T. Carson(1981) An Experiment in Determining Willingness to pay for National Water Quality Improvement. Resources for the Future. Draft report to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24. Park, U.S.(2007) A Analysis on the Valuation of Recreation Forest in the Nature Conservation Zone. doctoral Thesis Cheongju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yo, H.D. and D.R. Chae(2005)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Ecotourism in Anmyeondo Tidal Wetlands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Ocean and Polar Research 27(3): 323-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opp, R.J. and N. Schwarz(1997) Determining The value of Non-Marketed Goo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Boston/Dordrecht/London. 

  27. Kopp, R.J., W.W. Pommerehne and N. Schwarz(1997) Determining The Value Of Non-Marketed Goo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8. Ra, J.H.(1999) Analysis of Biotop Structure in Daegok Botanical Garden Plann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4): 167-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Roh, H.J.(2001) Hangul by SPSS 10.0 statistical analysis and survey methods. Hyungsu Chulpansa,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him, J.W.(2008) Estimating the Value of the Classified School Park Project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Sung, S.W.(2000) City Neighborhood estimates the value of neighborhood park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s(CVM).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Yeo, H.K., K.H. Choi and K.H. Jeong(2007) An Application of CVM-X(Experimental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for Green Tee Farm: Focused on Hadong-gu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16(1): 189-2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Yim, Y.J. and M.Y. Cho(1977) On the Flowering Dates of the Woody Plant Species in the Hongneung Arboretum, Seoul.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2): 17-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You, J.H. and S.K. Jung(2005)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the Spontaneous Herbaceous Communities in Midongsan Arboretum, Chungcheongbuk-do.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2): 48-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