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목원·식물원의 이미지가 수용력 정책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Images of Arboreta·Botanical Gardens Influence on the Policy Support Related to Carrying Capacit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2, 2020년, pp.1 - 9  

윤희정 (강원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신현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목원·식물원의 이미지가 수용력 관련 정책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723부의 유효한 표본을 확보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수목원·식물원의 이미지는 정서적 요인, 인지적 요인, 형태적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중 인지적 요인이 수용력 관련 정책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목원·식물원의 정책입안자들은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꼭 필요한 수용력 조절정책을 도입하는 데 있어 방문객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인지적 이미지 요인을 계획 및 관리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images of arboreta or botanical gardens and the policy supports related to carrying capacit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distributed to 723 public sites nationwide. The results consisting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동시대 수목원·식물원의 전반적 이미지 요인을 탐색적으로 밝혀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수목원·식물 원에 적합한 이미지 형용사를 추출하기 위하여, 환경 및 관광 목적지관련 형용사 이미지들을 종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수목원․식물원의 전반적인 이미지 구조와 특성 을 탐색·확인해보고, 이들 수요 측면의 이미지가 공급 조절정책 중 하나인 수용력 관련 정책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수요측면에서 수목원·식물원의 전반적인 이미지 구조와 특성을 탐색·확인해보고, 이들 이미지가 공급 정책 중 하나인 수용력 관련 정책 지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 수목원·식물원의 이미지가 수목원·식물원의 수용력 관련 정책 지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수목원․식물원의 역할은? 최근 수목원․식물원은 자연휴양림, 삼림욕장, 도시숲 등과 함께 대표적인 산림문화․휴양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방문객들의 그린 여가공간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수목원․식물원이 방문객들에게 휴식과 힐링의 공간으로 활용되면서 방문객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목원․식물원이 도시 혹은 지역의 공공정원으로 인식되는 것이 함축하고 있는 것은? 이에 따라 수목원․식물원이 방문객들에게 휴식과 힐링의 공간으로 활용되면서 방문객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목원․식물원은 최근 도시 혹은 지역의 ‘공공정원(public garden)’으로도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수목원․식물원의 공적 휴양기능 혹은 공적 여가기능이 강화되고 있음을 함의한다.
수목원․식물원의 개념적 차이는? 따라서 식물원은 동시대 한국에서 학문적 개념으로 이해되며, 해당 지역에서 잘 자랄 수 있는 모든 식물들을 수집해서 전시, 재배, 유지관리, 분류 및 연구 등을 위해 조성된 공간이다. 즉, 엄격한 의미에서 수목원은 수목을 대상으로 하는 법적 정의이며, 식물원은 해당 지역내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적 개념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관련업계와 학계, 일반인들 모두 두 용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고, 자원의 성격도 대부분 중복되어 명확한 구분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kis, S., N. Peristainis and J. Warner(1996) Residents' attitudes to tourism development: The case of Cyprus. Tourism Management 17(7): 481-494. 

  2. Baloglu, S. and D. Brinberg(1997) Affective images of tourism destina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5(4): 11-15. 

  3. Baloglu, S. and K. W. McCleary(1999)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6(4): 868-897. 

  4. Beerli, A. and J. D. Martin(2004) Factors influencing destination image. Annals of Tourism Research 31(3): 657-681. 

  5. Byeon, J.(2005) A landmark Model to Improve Urban Landscape and Image.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6. Byrne, B.(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NY: Routledge. 

  7. Choi, J. K. and H. K. Byeon(2009)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of Gwangneung Arboretum.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2(2): 145-152. 

  8. Echtner, C. M. and J. R. Ritchie(1993) The measurement of destination image 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31(4): 3-31. 

  9. Gallarza, M. G., I. G. Saura and H. C. Garcia(2002) Destination image: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Annals of Tourism Research 29(1): 56-78. 

  10. Gartner, W. C. and J. D. Hunt(1987) An analysis of state image change over twelve-year period (1971-1983). Journal of Travel Research 27(fall): 15-19. 

  11. Hair, J., B. Black, R. Babin, R. Anderson and R. Tatham(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NY: Prentice Hall. 

  12. Hong, S. K., J. H. Kim, S. J. Jung and Y. L. Tae(2010) An economic valuation of arboretum using choice experim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6): 1-11. 

  13. Hong, S., E. Park and S. Son(2011) An examination of model among contributiveness to the community, team image and team support from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 football team based on dual home system. Kore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16(3): 59-71. 

  14. Hood, M. G.(1988) Arboretum visitor profiles as defined by the four seasons. Visitor Studie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acksonville. AL. Center for Social Design: 84-100. 

  15. Hyun, J., Y. Kim, H. Shin, S. Kang, J. Kim, J. Kim, J. Yoon and M. Yi(2012) The user's satisfactory analysis of botanical gardens and arboret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1): 13-24. 

  16. Kang, K. R., S. G. Ha and K. C. Lee(2011) A study on measuring the environmental value of Gyeongnam Arboretum using the CV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1):46-55. 

  17. Kang, Y. A., K. M. Yoo and N. J. Kim(2012) Influences of residents'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toward ecotourism cognitive effects and support. Journal of Tourism Studies 24(4):113-13. 

  18. Kim, S. L. and H. Y. Kim(2014) The effect of destination image of walking tourism on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 intention: Focused on Bukhansan Dullegil.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29(5): 257-274. 

  19. Kim, S. and S. Cho(2017) Analysis on the users' preference images on the types of arboretums: Case studies on Mulhyanggi Arboretum, Garden of Morningcalm and Hantaek Botanical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3(1): 51-59. 

  20. Kim, S. and Y. Yoon(2003) The hierarchical effects of affective and cognitive components on tourism destination image.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14(2): 1-22. 

  21. Lee, W. S., H. J. Yun and S. H. Shin(2017)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rvicescape of theme park, affective image and place dependence: Focused on visitors of Lotte Worl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4): 35-44. 

  22. Lim, Y. J., J. J. Bae and H. Kim(2005)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9(2): 21-27. 

  23. Park, J., S. K. Lee and H. S. Lee(2009) An estimation of tourist satisfaction and social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in relation to the perceived crowding in a nature recreation facility. Journal of Tourism Science 33(6): 93-110. 

  24. Ping, R. A. Jr.(2004) On assuring valid measures for theoretical models using survey data.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2):125-141. 

  25. Reilly, M. D.(1990) Free elicitation of descriptive adjective for tourism image assess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28: 21-26. 

  26. Russell, J. A.(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61. 

  27. Ryu, J. H., K. H. Shim and H. B. Im(2011) The effects of CSR publicity on corporate imag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2(1): 197-216. 

  28. San Martin, H. and I. A. R. Del Bosque(2008) Exploring the cognitive-affective nature of destination image and the role of psychological factors in its formation. Tourism Management 29(2):263-277. 

  29. Shin, H., M. Yi, C. Lee, J. Sung, K. Kim, Y. Kwon, S. Kim, J. An, T. Heo and J. Yoon(2014)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National DMZ Native Botanic Garden.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7(4): 293-308. 

  30. Son, S. B. and S. P. Hong(2008)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team brand identification, attitudinal loyalty and behavioral loyalty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Kore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13(2): 79-90. 

  31. Statistics Korea(2016) Household Projections. Statistics Korea. 

  32. Yoon, H., L., Ade Triana and H. J. Yun(2018) Positioning of tourists' affective images at living heritages: Focused on Bukchon Hanok Village, Andong Hahoe Village, Oeam Historic Village and Jeonju Hanok Village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2(5); 37-49. 

  33. Yoon, Y.(2009) A study on tourism development attitudes and supports based on social capital in agricultural tourism area. Journal of Rural Tourism 16(3): 41-61. 

  34. Yun, H. J. and H. L. Lee(2012) The festival image positioning as a city image strategy.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4):171-18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