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닛 모듈러 공법의 효율성 확보를 위한 공장제작, 운반, 현장설치의 최적 공정 제안
A Proposal for Optimizing Unit Modular System Process to Improve Efficiency in Off-site Manufacture, Transportation and On-site Installation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 no.6, 2011년, pp.14 - 21  

이광복 (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김경래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신동우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차희성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듈러 공법은 전체공정의 50%~90%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이를 운반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현장에서 공정을 최소화하고 공장에서 작업을 극대화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하면, 사용연한이 지나 건축물 철거시 일부 또는 전체를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축폐기물까지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공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듈러 공법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는 소형주택과 한국전쟁 당시 지어진 전방의 노후화된 병영시설의 교체에 적합한 공법이다. 경량철골을 사용한 모듈러 공법의 국내 시공 사례는 2003년 신기초등학교를 시작으로 군 병영시설에 확대 적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장 초기단계이다. 따라서 범용 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모듈 유닛의 표준과 공정의 표준정립이 시급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독신숙소의 신축 사례를 바탕으로 1인 숙소를 표준 모듈로 가정하고 모듈의 공장제작, 운반, 현장설치의 모듈러 공법의 최단 공사기간내의 최소 공사비 투입이 가능한 표준 공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장에서 완성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지만 운반시 하자발생을 감안한다면 공장제작비율 80%일 때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도출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unit modular system is a construction method which installs on site by manufacturing 50%~90% of the whole process in the factory. This method can minimize the process in the site and maximize the operation, which will reduce the duration and improve the overall quality. The recent paradigm of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모듈러 공법 공정시스템의 표준 모델을 통하여 공장제작, 운반, 현장조립의 과정에서 공정, 품질, 공사비측면에서 최적의 공정시스템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의 계획단계에서 유닛 모듈러 공법의 최적 공정, 최적 공사비를 산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한 1인 숙소시설을 표준 설계안으로 가정하였을 때, 공장프로세스를 기본 바탕으로 공장제작, 운반, 현장조립 과정에서 최단공기, 최소공사비, 최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모듈러 공법의 공장제작의 범위를 공사비, 품질, 공사기간등을 비교하여 가장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정 프로세스를 도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적용된 모듈러 공법의 시공사례를 바탕으로 표준공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시공사례와 문헌 연구를 통하여 WBS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Activity를 산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CPM기법을 활용하여 전체공정에서 각 액티비티간 중첩이 가능한 부분을 찾아내고 이 부분을 고려하여 최단 공사기간을 산정하는데 사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동의 용이성 : 건식공법인 철골구조 모듈로 건립되므로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다.
  • 융통성과 확장성 : 모듈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다.
  • 공장 제작 비율에 따라 기존의 전체 작업시간을 1,560분으로 가정하고 공정간 병행 작업을 고려하여 대안별 소요시간, 생산성, 공사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표준공정을 제안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표준 모듈러를 가정하였다.
  •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설비공사까지 공장에서 완료하는 것을 공장 제작 비율 60%로 보고, 설비공사와 석공사, 금속공사, 미장공사등 일부 마감공사까지 공장에서 완료하는 것을 공장 제작 비율 70%로 본다. 지붕의 제작 및 조립까지 완료하는 것을 공장 제작 비율 80%로 하고, 유리공사 도장공사 등 대부분의 공정을 공장에서 완료하고 현장에서는 기초공사, 앵커볼트매립, 모듈러설치, 지붕접합의 공정만 완료하는 것을 공장 제작 비율 90%로 가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 대안별 공사비, 공사기간, 하자발생 가능부위, 품질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듈러 공법이란? 모듈러 공법은 전체공정의 50%~90%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이를 운반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현장에서 공정을 최소화하고 공장에서 작업을 극대화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PM이란? CPM은 1950년대 중반에 미국 듀퐁회사에서 화학공장의 복잡한 시설설계 및 시공을 위한 계획과 진도관리를 개선할 목적으로 개발되어 현재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공정관리기법이다.
모듈러 시스템의 특징은? ① 이동의 용이성 : 건식공법인 철골구조 모듈로 건립되므로 해체 및 재설치가 용이하다. ② 융통성과 확장성 : 모듈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다. ③ 우수한 단열성능 : 스틸하우스 등의 경량 철골건축물은 벽 두께의 증가 없이 0.2W/㎡K 이하의 고단 열을 경제적으로 달성 가능하다. ④ 뛰어난 내진특성 : 철골조 모듈러 건축물은 국제 지진 기준에 적합한 뛰어난 강성을 지닌다. ⑤ 공기단축 : 전통적인 방식에 비하여 약 50%이상 단축된다. ⑥ 품질의 안정성 : 주요 구성 재료의 공장생산에 의한 고품질 달성이 가능하다. ⑦ 경량화 : 모듈러 건축물의 무게는 조적조 건축물의 30%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존 건축물에 대한 하중부담을 줄이면서 증축에 효과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강성오 (2007)," 군용 대규모 모듈러 건축물의 공정분석 및 표준공기 설정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갑득, 이재승, 조봉호, 유영동(2008). "해외 OSM(Off-Site Manufactured)공법 기술 요소 및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137-140 

  3. 김효중(2005)," 군거주시설의 LCC비교분석 사례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국방부(2006), 이동성능을 갖는 군 시설물의 건축성능기준 및 설계 지침 제정 

  5. 박재식, 박태근(2006)"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군시설 공사의 초기투자비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제26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642-647 

  6. 유민, 오정환, 이미혜, 유영동, 박태근(2005)," 모듈러 건축물의 공기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제25 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pp.201-204 

  7. 임석호(2004), "한국형 공업화 주택의 오픈시스템을 위한 모듈 정합 설계기준설정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제 12호, 대한건축학회, pp.61-70 

  8. 조봉호, 고광호, 김홍진(2007)." 모듈러 건축 시스템의 기술개발 동향 및 적용사례", 한국강구조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12-119 

  9. RIST, 포항산업과학연구원(2007), "프레임-스터드패널형 건축 모듈러 유닛의 구조 시스템, 공장제작, 현장설치 공법", 신기술지정 제 435호 

  10. SCI(1999), Modular Construction using Light Steel Framing - An Architects Guid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