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DM 네트워크 공정 및 비용 진도율 통합관리 개념
The Concept of Schedule and Cost Progress Integrated Management on the BDM Network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 no.6, 2011년, pp.54 - 64  

김선규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용현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노성범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고대규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건설산업에 CPM(critical path method) 공정관리기법이 도입된 지 거의 40년 가까이 경과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건설현장의 대부분은 CPM 공정표를 작성하지 않거나, 발주처의 요구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성한 후 운영 및 관리는 거의 하지 않고, 아직도 바차트(bar chart)기법에 의존하여 공정관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중 하나는 CPM 공정계획이 건설현장의 업무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사 진척현황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렵고, 작업들의 일정중심의 공정진도와 기성금액 중심의 비용진도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새로운 CPM 공정관리기법인 BDM기법을 통해 공정계층체계 내에서 CPM 공정계획이 자동으로 요약되면서 동일한 CPM 형식을 유지하는 기능을 통해, CPM기법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일정중심의 공정진도율과 기성중심의 비용진도율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진도율 관리 개념을 제안한다. 이러한 개념을 통해 국내 건설사업에 CPM 공정관리기법이 실질적으로 적용되고 활성화되어, 공사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국내 건설사업관리의 발전에도 일조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most 40 years have been passed since the CPM was introduc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However most of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do not prepare the CPM schedule neither operate it after established manually, as well as still depend on the Bar-chart schedule only. One of these 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김선규(2010)에 의해 제안된 새로운 CPM 공정 관리기법인 BDM기법을 통해 공정계층체계내 최하위 레벨 (level)에서 CPM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점차 상위 레벨들로 자동 요약하면서도 동일한 CPM 형식을 유지하는 기능을 통해, CPM기법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정중심의 공정진도율과 기성중심의 비용진도율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진도율 관리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건설현장에 CPM 공정관리기법이 실질적으로 적용되고 활성화되어, 공사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국내 건설사업관리 발전에도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BDM기법의 CPM 공정계획 요약 기능을 통해 공정계층체계별로 공정 및 비용진도율을 독립적으로 입력하면서 공정과 비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진도율 관리 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진도율 관리 개념의 핵심은 공정/비용 통합관리 레벨에서만 공정/비용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을 극복하면서, 공정관리가 사업관리의 핵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폭넓은 융통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BDM기법의 CPM 공정계획 요약 기능을 통해 공정계층체계별로 공정 및 비용진도율을 독립적으로 입력하면서 공정과 비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진도율 관리 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진도율 관리 개념의 핵심은 공정/비용 통합관리 레벨에서만 공정/비용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을 극복하면서, 공정관리가 사업관리의 핵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폭넓은 융통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 특히 일정 기준의 공정진도율은 CPM공정표상의 작업단위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나, 비용진도율은 작업단위보다 한 단계 상위인 공종을 기준하기 때문에 상호 연계되지 않고 있어 진도율 관리를 왜곡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진도율 관리의 왜곡현상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CPM 공정계획을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원인중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기존의 CPM 공정계획 중심의 진도율 관리 개념은 공정/원가 통합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CPM 공정계획이 수립되는 작업수준으로 내역서의 원가를 분개하고 이를 관리함으로써 공정 및 비용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건설실무에서 CPM 공정계획의 작업단위로 내역서의 원가를 분개하는 것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단위에서 기성실적을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MPs의 목적은? Jung(2007)은 관리 가능한 작업패키지 단위에서 효율적인 진도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Standard Progress Measurement Packages(SPMPs)를 제안하였는데, SPMPs는 진도율 측정을 위한 회사차원의 표준을 제공하고, 자동화를 통해 업무량을 경감하며, 관리 가능한 WBS에 기초하여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자체 진단 메카니즘을 통해 적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Earned Value Measurement방법을 설명하면? Earned Value Measurement(EVM) 방법은 사업의 성과 및 진도율을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중 하나로서, 사업의 성과및 진도율을 업무분류체계(WBS)의 작업패키지 단위를 기준으로 공정/비용 통합 관점에서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Fleming and Koppleman 1996).
국내건설현장의 대부분이 CPM 공정표를 작성하지 않거나, 발주처의 요구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성한 후 운영 및 관리는 거의 하지 않고, 아직도 바차트(bar chart)기법에 의존하여 공정관리를 하고 있는 실정인 이유는? 그러나 국내건설현장의 대부분은 CPM 공정표를 작성하지 않거나, 발주처의 요구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성한 후 운영 및 관리는 거의 하지 않고, 아직도 바차트(bar chart)기법에 의존하여 공정관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중 하나는 CPM 공정계획이 건설현장의 업무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공사 진척현황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기 어렵고, 작업들의 일정중심의 공정진도와 기성금액 중심의 비용진도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새로운 CPM 공정관리기법인 BDM기법을 통해 공정계층체계 내에서 CPM 공정계획이 자동으로 요약되면서 동일한 CPM 형식을 유지하는 기능을 통해, CPM기법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일정중심의 공정진도율과 기성중심의 비용진도율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진도율 관리 개념을 제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선규 (2010). 공정관리특론, 기문당 

  2. 방종대, 손종락, 조건희, 이중호, 홍영남 (2002). 공동주택 건설 공사의 진도율 및 기성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3. Buntrock, Aaron (2009). Progress & Performance Measure- ment, The Construction Institute, CMS Inc. 

  4. Callaham, Michael T. (1992). Construction Project Schedul- ing, McGraw-Hill. 

  5. Flemming. Q. W. and Koppleman, J. M. (1996).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Upper Darby, Pa. 

  6. Jung, Youngsoo and Kang Seunghee (2007). Knowledge- Based Standard Progress Measurement for Integrated Cost and Schedule Performance Control,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7. Kim, Seon-Gyoo (2011). An Example of representing Three Level's Schedules within Schedule Hierarchy by BDM Techniqu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ydney, Australia. 

  8. Kim, Soo-Young and Lee, Jong-Chool (2004). A Performance Measurement of a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Proceedings of the fifth Asia Pacific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