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안과 남해안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에서 우점하는 요각류 곁노벌레과(Paracalanidae) 2종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wo Dominant Paracalanids on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Brackish and Coastal Waters from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9 no.1, 2011년, pp.11 - 16  

문성용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서민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서호영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해안과 남해안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에서 우점하는 곁노벌레과(Paracalanidae) 2종 간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출현 양상을 파악하고자 영광 인근해역을 중심으로 2007년 가을철, 2008년 겨울철, 봄철, 그리고 여름철에 걸쳐 사계절조사를 실시하였다. Bestiolina coreana는 봄철과 겨울철에 출현하지 않았으며, Paracalanus parvus s. l.는 연중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종간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출현 양상에서는 수온 $20^{\circ}C$ 이상과 32 psu 미만으로 낮아지는 시기에는 P. parvus s. l.보다 B. coreana의 개체군이 월등하게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계절에 따른 수온과 염분 변동이 두 종의 출현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 제공될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wo dominant paracalanids of the family Paracalanidae on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studied in the brackish and coastal waters from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Bestiolina coreana mainly occurs in a range of 29.8~31.3 psu salinity and temperature of more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서해안과 남해안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에서 우점하는 곁노벌레과 2종의 수온과 염분에 따른 출현 양상을 파악하고자 영광 연안해역을 중심으로 계절 조사를 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두 종 간의 국내 지리분포는 서해안, 남해안, 그리고 동해안의 주요 항구에서 2010년 8월과 11월에 채집된 시료를 바탕으로 두 종의 출현 여부만 확인하였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의 곁노벌레과 (Paracalanidae) 요각류는 총 몇 종이 보고 되었는가? 긴노요각목 (Calanoida)에 속하는 곁노벌레과 (Paracalanidae) 요각류는 모두 7속 79종이 보고되었으며(Boxshall and Halsey 2004; Bradford-Grieve 2008; Kesarkar and Anil 2009), 전 세계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을 중심으로 우점하지만, 시공간적인 분포 양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Kesarkar and Anil 2009). 국내에서 보고된 곁노벌레과 요각류는 Acrocalanus gibber Giesbrecht, 1888, A.
국내에서 보고된 곁노벌레과 요각류는 총 몇 종이 있는가? 긴노요각목 (Calanoida)에 속하는 곁노벌레과 (Paracalanidae) 요각류는 모두 7속 79종이 보고되었으며(Boxshall and Halsey 2004; Bradford-Grieve 2008; Kesarkar and Anil 2009), 전 세계의 기수역과 연안해역을 중심으로 우점하지만, 시공간적인 분포 양상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Kesarkar and Anil 2009). 국내에서 보고된 곁노벌레과 요각류는 Acrocalanus gibber Giesbrecht, 1888, A. monachusGiesbrecht, 1888, Bestiolina coreana Moon et al., 2010,Calocalanus pavo (Dana 1849), Calocalanus plumulosus(Claus 1863), Mecynocera clausi I.C. Thompson, 1888, Paracalanus aculeatus Giesbrecht, 1888, P. parvus sensu lato, P. gracilis Chen and Zhang, 1965, Parvocalanus crassirostris (Dahl 1894) 등 모두 6속 10종이다 (Yoo and Lee 1994; 유 1995; 강 1996; Moon et al. 2010).
Bestiolina속은 어떤 분류학적 형질을 가짐으로써 Paracalanus 속 요각류와 구분할 수 있는가? 1). 첫째, 암컷의 마지막 가슴마디의 양쪽 끝부분에 작은 가시 (spinules)를 가진다. 둘째, 암컷의 제5유영지는 돌기형태이다. 셋째, 제2유영지에서 제4유영지 외지(exopod) 세 번째 마디의 측면에는 일렬로 된 작은 측면가시(external spinules)가없다. 넷째, 제2유영지에서 제4유영지 내지 (endopod) 세번째 마디의 강모식이 1, 2, 3으로 이루어져 있다(Boxshall and Halsey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영실, 1996. 한국 연안의 Paracalanus parvus와 P. indicus의 재기재. 한국수산학회지. 29:409-413. 

  2. 유광일, 1995. 한국동식물도감. 해양동물플랑크톤. 415pp. 

  3. Boxshall GA and SH Halsey. 2004. An Introduction to Copepod Diversity. Ray Society, London. 421pp. 

  4. Bradford-Grieve JM. 2008. Mecynocera clause I.C. Thompson, 1888 (Copepoda: Calanoida) is a paracalanid. Zootaxa. 1852:59-64. 

  5. Choi SD, YS Kim and KH Han. 1998. The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wangyang Bay, Korea. Bull. Yosu Nat'l Univ. 13:959-971. 

  6. Han DH, SY Hong and CW Ma. 1995.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Deukryang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517- 532. 

  7. Jang MC, PG Jang, S Shin, DW Park and M Chang. 2004. Seasonal vari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Gwangyang Bay. Korean J. Environ. Biol. 22:11-29. 

  8. Jang MC, K Shin, PG Jang and WJ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hort-term variations of mesozooplankton during summer in Jangmok Bay, south coa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32:41-52. 

  9. Kesarkar KS and AC Anil. 2009. New species of Paracalanidae along the west coast of India: Paracalanus arabiensis. J. Mar. Biol. Assoc. U.K. doi:10.1017/S002531540999049X. 

  10. Lee CR, C Park, SR Yang and YS Sin. 2006.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in Asan Bay. J. Korean Soc. Oceanog. 11:1-10. 

  11. Moon SY, W Lee and HY Soh. 2010. A new species of Bestiolina (Crustacea: Copepoda: Calanoida) from the Yellow Sea, with notes on the zoogeography of the genus. Proc. Biol. Soc. Wash. 123:32-46. 

  12. Myung CS. 1992. An ecological study on zooplankton community in brackish water, Han River estuary. Master's thesis, Inha Univ. 88pp. 

  13. Park C, PG Lee and SR Yang. 2002. Variation of zo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with respect to season and salinity gradients. J. Korean Soc. Oceanog. 7:51- 59. (in Korean) 

  14. Soh HY and HY Suh.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the abundance of the planktonic copepods in Kwangyang Bay. Korean J. Environ. Biol. 11:26-34. 

  15. Suh HL and HY Soh. 1991. Salinity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estuarine system of Mankyong River and Dongjin River. J. Korean Soc. Oceanog. 26:181-192. 

  16. Ueda H. 1997. Family Paracalanidae. In: Chihara, M., Murano, M. (Eds.),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 Press, Tokyo. p.844-851. (in Japanese) 

  17. Yoo KI and WC Lee. 1994. A planktonic copepod, Paracalanus gracilis Chen and Chang, new to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2:87-91. 

  18. Youn SH and JK Choi. 2003.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yeonggi Bay, Yellow Sea. J. Korean Soc. Oceanog. 8:243-250. 

  19. Youn SH and JK Choi. 2008. Distribution pattern of zooplankton in the Han River estuary with respect to tidal cycle. Ocean Sci. J. 43:135-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