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형저서동물에서 효율적인 DNA 추출 방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DNA Extraction Method in Meiofaun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9 no.3, 2011년, pp.138 - 143  

이승한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백진욱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이원철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번 연구에서는 중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에 사용하는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였을 때, 고정액의 종류에 따른 DNA (mtCOI)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l.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으며, 99% 에탄올과 4%포르말린의 두 종류의 고정액을 사용한 뒤 이들을 각각 대조구로 삼았다. 그리고 (1) Ludox HS40, (2) Rose Bengal, (3) Ludox HS40+Rose Bengal을 각각 시료와 반응시킨뒤, mtCOI 유전자를 추출하였다. 이후 PCR을 진행하고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유전자의 증폭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은 30회 반복하여 실험간의 결과를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포함한 (1), (2), (3)의 실험 모두에서 96% 이상의 효율을 보였지만, 포르말린의 경우에는 대조구에서 27% 증폭되었으며, (1)과 (3)에서 약 3%, (2)에서 약 7%만 증폭되어 두고 정액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연구를 통해서 99% 에탄올이 중형저서동물에서 DNA를 추출하는 데 적합한 고정액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iciency of mtCOI amplication after DNA extraction of benthic harpacticoid Tigriopus japonicus s.l. was test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depending on fixative (99% Ethanol, or 4% Formalin) and additional chemicals (Ludox or Rose Bengal). Each experimental group by the fixative was subdivid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중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에서 시료의 고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99% 에탄올 또는 4% 포르말린에 시료를 고정한 뒤, 중형저서동물의 추출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 사용하는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하나인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를 추출하여 고정방법에 따른 DNA 추출 효율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실험을 통해 Ludox와 Rose Bengal의 사용에 따른 DNA 추출율을 비교하고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통해 중형저서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제 연구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이번 연구에서는 중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에 사용하는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였을 때, 고정액의 종류에 따른 DNA (mtCOI)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
  • 2008).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중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에서 시료의 고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99% 에탄올 또는 4% 포르말린에 시료를 고정한 뒤, 중형저서동물의 추출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 사용하는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하나인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를 추출하여 고정방법에 따른 DNA 추출 효율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실험을 통해 Ludox와 Rose Bengal의 사용에 따른 DNA 추출율을 비교하고 이렇게 얻어진 결과를 통해 중형저서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제 연구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형저서동물이란 무엇인가? 중형저서동물은 1 mm의 체를 통과하고 38 μm의 체에 남는 크기를 갖는 저서동물을 말한다. 중형저서동물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중형저서동물의 크기가 작고 이것들을 저질로부터 추출하기가 어려운데 기인 한다(Higgins and Thiel 1988).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한 이유는 무엇인가? 2005). 그 중에서도 미토콘드리아 DNA (mtDNA)를 이용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미토콘드리아 DNA가 모계로만 유전되어 재조합이 거의 없다는 것 뿐 아니라, 형태적으로 구분이 어려운 종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Avise 1986). 이러한 이유로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하여 생물의 유전학적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생물의 분류계통학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DNA barcoding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Blaxter et al.
본 연구에서 중형 저서동물의 DNA 추출을 위해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였을 때, 고정액의 종류에 따른 DNA (mtCOI)의 추출 효율을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이번 연구에서는 중형저서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에 사용하는 Ludox와 Rose Bengal을 처리하였을 때, 고정액의 종류에 따른 DNA (mtCOI)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 s.l.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였으며, 99% 에탄올과 4%포르말린의 두 종류의 고정액을 사용한 뒤 이들을 각각 대조구로 삼았다. 그리고 (1) Ludox HS40, (2) Rose Bengal, (3) Ludox HS40+Rose Bengal을 각각 시료와 반응시킨뒤, mtCOI 유전자를 추출하였다. 이후 PCR을 진행하고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유전자의 증폭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은 30회 반복하여 실험간의 결과를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포함한 (1), (2), (3)의 실험 모두에서 96% 이상의 효율을 보였지만, 포르말린의 경우에는 대조구에서 27% 증폭되었으며, (1)과 (3)에서 약 3%, (2)에서 약 7%만 증폭되어 두고 정액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연구를 통해서 99% 에탄올이 중형저서동물에서 DNA를 추출하는 데 적합한 고정액임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asaad S, L Rossi, S Maione, S Sartore, RC Soriguer, JM Perez, R Rasero, XQ Zhu and D Sogila. 2008. HotSHOT Plus ThermalSHOCK, a new and efficient technique for preparation of PCR-quality mite genomic DNA. Parasitol. Resea. 103:1455-1457. 

  2. Allander T, SU Emerson, RE Engle, RH Purcell and J Bukh. 2001. A virus discovery method incorporating DNase treatment and its appl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two bovine parvovirus species. Proc. Nat. Acad. Sci. USA. 98:609-611. 

  3. Avise JC. 1986. Mitochondrial DNA and the evolutionary genetics of higher animals. Phil. Transac. Royal Soc. London B. 312:325-342. 

  4. Bhadury P, MC Austen, DT Bilton, PJD Lambshead, AD Rogers and GR Smerdon. 200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NA-barcoding approach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nematodes. Mar. Ecol. Prog. Ser. 320:1-9. 

  5. Blaxter M, J Mann, T Chapman, F Thomas, C Whitton, R Floyd and E Abebe. 2005. Defining operational taxonomic units using DNA barcode data. Phil. Transac. Royal Soc. London B. 360:1935-1943. 

  6. Boufahja F, A Hedfi, J Amorri, P Aissa, E Mahmoudi and H Beyrem. 2011. Experimental validation of the "relative volume of the pharyngeal lumen (RVPL)" of free-living nematodes as a biomonitoring index using sediment-associated metal and/or Diesel Fuel in microcosm. J. Exp. Mar. Biol. Ecol. 399:142-150. 

  7. Bradford T, M Adams, F Humphreys, AD Austin and SJB Cooper. 2010. DNA barcoding of stygofauna uncovers cryptic amphipod diversity in a calcrete aquifer in Western Australia's arid zone. Mol. Ecol. Resour. 10:41-50. 

  8. Brinke M, K Ristau, M Bergtold, S Hoss, E Claus, P Heininger and W Traunspurger. 2011. Using meiofauna to assess pollutants in freshwater sediments: a microcosm study with cadmium. Environ. Toxicol. Chem. 30:427-438. 

  9. Bucklin A, M Guarnieri, RS Hill, AM Bently and S Kaartvedt. 1999. Taxonomic and systematic assessment of planktonic copepods using mitochondrial COI sequence variation and competitive. species-specific PCR. Hydrobiologia. 401:239-254. 

  10. Burgess R. 2001. An improved protocol for separating meiofauna from sediments using colloidal silica sols. Mar. Ecol. Prog. Ser. 214:161-165. 

  11. Costa FO, JR deWaard, J Bouthillier, S Ratnasingham, RT Dooh, M Hajibabaei and PDN Hebert. 2007. Biological identification through DNA barcodes: the case of the Crustacea. Can. J. Fish. Aquat. Sci. 64:272-295. 

  12. De Jonge VN and LA Bouwman. 1977. A Simple Density Separation Technique for Quantitative Isolation of Meiobenthos Using the Colloidal Silica Ludox-TM. Mar. Biol. 42:143-148. 

  13. De Ley P, IT De Ley, K Morris, E Abebe, M Mundo-Ocampo, M Yoder, J Heras, D Waumann, A Rocha-Olivares, AHJ Burr, JG Baldwin and WK Thomas. 2005. An integrated approach to fast and informative morphological vouchering of nematodes for applications in molecular barcoding. Phil. Transac. Royal Soc. London B. 360:1945-1958. 

  14. Eyun S, Y Lee, H Suh, S Kim and HY Soh. 2007. Genetic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phylogeny of Pseudodiaptomus species (Calanoida, Pseudodiaptomidae) in Korean Waters. Zool. Sci. 24:265-271. 

  15. Floyd R, E Abebe, A Papert and M Blaxter. 2002. Molecular barcodes for soil nematode identification. Mol. Ecol. 11:839-850. 

  16. Folmer O, M Black, W Hoen, R Lutz and R Vrijenhoek. 1994. DNA primers for amplication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from diverse metazoan invertebrates. Mol. Mar. Biol. Biotechnol. 3:294-299. 

  17. Fukatsu T. 1999. Acetone preservation: a practical technique for molecular analysis. Mol. Ecol. 8:1935-1945. 

  18. Garrick RC, CJ Sands, DM Rowell, NN Tait, P Greenslade and P Sunnucks. 2004. Phylogeography recapitulates topography: very fine-scale local endemism of a saproxylic 'giant' springrail at Tallagranda in the Great Dividing Range of south-east Australia. Mol. Ecol. 13:3315-3330. 

  19. Guidetti R, A Gandolfi, V Rossi and R Bertolani. 2005. Phylogenetic analysis of Macrobiotidae (Eutardigrada, Parachela): a combin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 Zool. Script. 34:235-244. 

  20. Hamazaki S, M Koshiba, T Habuchi, R Takahashi and T Sugiyama. 1993. The effect of formalin fixation on restriction endonuclease digestion of DNA and PCR amplification. Pathol. Res. Pract. 189:553-557. 

  21. Hamels J, L Gala, S Dufour, P Vannuffel, N Zammatteo and J Remacle. 2001. Consensus PCR and microarray for diagnosis of the genus Staphylococcus, species, and methicillin resistance. BioTechniques. 31:1364-1372. 

  22. Hebert PDN, A Cywinska, SL Ball and JR deWaard. 2003.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Proc. Royal Soc. B. 270:313-321. 

  23. Higgins RP and H Thiel. 1988.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iofauna. Smithsonian Institute Press. Washington D.C. 488pp. 

  24. Hoss M and S Paabo. 1993. DNA extraction from Pleistocene bones by a silica-based purification method. Nucleic Acid. Res. 21:3913-3914. 

  25. Liu XS, WZ Xu, SG Cheung and PKS Shin. 2011. Marine meiobenthic and nematode community structure in Victoria Harbour, Hong Kong upon recovery from sewage pollution. Mar. Pollut. Bull. 63:318-325. 

  26. Mason WT Jr. and PP Yevich. 1967. The Use of Phloxine B and Rose Bengal Stains to Facilitate Sorting Benthic Samples. Trans. Amer. Microscop. Soc. 86:221-223. 

  27. Miething F, S Hering, B Hanschke and J Dressler. 2006. Effect of Fixation to the Degradation of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in Different Tissues. J. Histochem. Cytochem. 54:371-374. 

  28. Pace NR. 1997. A molecular view of microbial diversity and the biosphere. Science 276:734-740. 

  29. Ratnasingham S and PDN Herbert. 2007. BOLD: The Barcode of Life Data System (www.barcodinglife.org). Mol. Ecol. Note. 7:355-364. 

  30. Sands CJ, P Convey, K Linse and SJ McInnes. 2008. Assessing meiofaunal variation among individuals utiliz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an example using the Tardigrada. BMC Ecol. 8:7. 

  31. Schander C and KM Halanych. 2003. DNA, PCR and formalinized animal tissue-a short review and protocols. Org. Diver. Evol. 3:195-205. 

  32. Shi SR, RJ Cote, L Wu, C Liu, R Datar, Y Shi, D Liu, H Lim and CR Taylor. 2002. DNA Extraction from Archival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Based on the Antigen Retrieval Principle: Heating Under the Influence of pH. J. Histochem. Cytochem. 50:1005-1011. 

  33. Thomas WK, JT Vida, LM Frisse, M Mundo and JG Baldwin. 1997. DNA Sequence from Formalin-Fixed Nematodes: Integrating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pproaches to Taxonomy. Jour. Nematol. 29:250-254. 

  34. Teske PR, I Papadopoulos, BK Newman, PC Dworschak, CD McQuaid and NP Barker. 2008. Oceanic dispersal barriers, adaptation and larval retention: an interdisciplinary assessment of potential factors maintaining a phylogeographic break between sister lineages of an African prawn. BMC Evol. Biol. 8:341. 

  35. Trewick SA. 2000. Mitochondrial DNA sequences support allozyme evidence for cryptic radiation of New Zealand Peripatoides (Onychophora). Mol. Ecol. 9:269-281. 

  36. Truett GE. 2000. Preparation of PCR-quality mouse genomic DNA with hot sodium hydroxide and Tris (HotSHOT). BioTechniques. 29:52-54. 

  37. Walsh PS, DA Metzger and RG Higuchi. 1991. Chelex $^{\circledR}$ 100 as a medium for simple extraction of DNA for PCR-based typing from forensic material. BioTechniques. 10:506-5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