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비에서 식중독균 검출을 위한 DNA 추출 방법 비교
Comparison of DNA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from Livestock Manure Compos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6, 2019년, pp.557 - 561  

김성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안전성분석과) ,  서동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안전성분석과) ,  문지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안전성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퇴비에 존재할 수 있는 식중독균의 검출을 위하여 기존의 배양을 이용한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real-time PCR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전자 증폭에 영향을 미치는 DNA 추출 방법에 따른 식중독균 검출 효율을 비교하였다. 적용한 방법은 가열 처리, 유기용매 및 흡착제 처리, 효소 처리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방법에 따른 DNA의 검출 효율을 실험 결과로 나타내었다. 가열 처리 방법에서는 가열 시간의 증가에 따라 DNA 검출 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기용매 및 흡착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효소 처리의 경우에는 그람 양성균 보다는 그람 음성균의 DNA가 추출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퇴비에서 30분 이상의 가열 처리와 효소의 처리를 통한 DNA 추출 방법은 real-time PCR을 적용한 식중독균 검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DNA extraction methods for real-time PCR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n livestock manure composts. Livestock manure composts were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and inc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가열과 효소 처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분리된 DNA의 정제를 위해서 chloroform과 흡착제(sorbent)를 처리하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실험 방법에 따른 미생물 검출 결과를 비교하여 퇴비에서 적합한 DNA 추출 방법을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퇴비에 존재할 수 있는 식중독균의 검출을 위하여 기존의 배양을 이용한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real-time PCR을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전자 증폭에 영향을 미치는 DNA 추출 방법에 따른 식중독균 검출 효율을 비교하였다. 적용한 방법은 가열 처리, 유기용매 및 흡착제 처리, 효소 처리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방법에 따른 DNA의 검출 효율을 실험 결과로 나타내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퇴비에서 식중독균 검출을 위한 미생물 DNA의 추출 방법을 비교하였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가열과 효소 처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분리된 DNA의 정제를 위해서 chloroform과 흡착제(sorbent)를 처리하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농산물 생산환경에 대한 위생관리는 강조되고 있다. 2017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는 위생적인 신선 과일 및 채소의 생산을 위하여 생산환경에서 용수, 비료, 토양 등의 구체화된 위생관리 내용을 포함하여 신선 과채류에 대한 위생실행규범을 개정하였으며, 특히 비료의 경우에는 부숙, 살균 등을 통하여 병원균을 감소시키고 농산물의 교차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1). 국내에서는 비료 공정규격설정 및 지정에서 가축분퇴비, 퇴비, 부숙겨 등 부산물비료는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
농산물 생산을 위한 부산물 비료로 무엇이 있는가? 에 대해서 불검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2). 비료는 식물에 영양을 주거나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하여 흙에서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토양개량용 자재를 지칭하며3), 부산물비료는 가축분뇨, 음식물폐기물, 톱밥 등의 유기성자원을 혼합한 비료이다2,4). 이중 가축분뇨, 가축분퇴비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미생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식중독균으로는 pathogenic E.
국내 비료 공정 규격 설정 및 지정에서 불검출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2017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는 위생적인 신선 과일 및 채소의 생산을 위하여 생산환경에서 용수, 비료, 토양 등의 구체화된 위생관리 내용을 포함하여 신선 과채류에 대한 위생실행규범을 개정하였으며, 특히 비료의 경우에는 부숙, 살균 등을 통하여 병원균을 감소시키고 농산물의 교차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1). 국내에서는 비료 공정규격설정 및 지정에서 가축분퇴비, 퇴비, 부숙겨 등 부산물비료는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spp.에 대해서 불검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2). 비료는 식물에 영양을 주거나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하여 흙에서 화학적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토양개량용 자재를 지칭하며3), 부산물비료는 가축분뇨, 음식물폐기물, 톱밥 등의 유기성자원을 혼합한 비료이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ode of hygienic practice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CXC 53-2003. Codex alimentarius, Rome, Italy (2017). 

  2. Korean Establishment of the legal standards and the designation of fertilizer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2019). 

  3. Korean Fertilizer Control Act. Minister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2019). 

  4. Kang, C.Y., Park, H.T., Seo, D.S., Kang, S.P., 2014,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byproduct fertilizer industry. R720-2.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5. Jung, K.S., Heu, S.G., Roh, E.J., Lee, D.H., Yun, J.C., Kim, K.H.,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organic fertilizer. Korean J. Soil Sci. Fert., 44, 824-829 (2011). 

  6. Lee, T., Kim, S.R., Han, S.H., 2009, Infection status of hazardous microbes in vegetables and analyze their infection ro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7. Korean Examination of the quality of fertilizer and sampling standar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Korea (2019). 

  8. Kim, H.J., Kim, Y.S., Chung, M.S., Oh, D.H., Bahk, G.J., Chun, H.S., Ha, S.D., Trends in rapid detection methods for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by using new technologies. J. Food Hyg. Safety, 25, 376-387 (2010). 

  9. Koo, E.J., Kim, D.H., Oh, S.W., Comparison of DNA isolation methods for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by realtime PCR from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335-340 (2016). 

  10. Mafra, I., Silva, S.A., Moreira, E., Silva, C., Beatriz, M., Oliveira, P.P., Comparative study of DNA extraction methods for soybean derived food products. Food Control, 19, 1183-1190 (2008). 

  11. Pinto, A.D., Forte, V.T., Guastadisegni, M.C., Martino, C., Schena, F.P., Tantillo, G., A comparison of DNA extraction methods for food analysis. Food Control, 18, 76-80 (2007). 

  12. Cullen, D.W., Hirsch, P.R., Simple and rapid method for direct extraction of microbial dna from soil for pcr. Soil Biol. Biochem., 30, 983-993 (1998). 

  13. Yun, B.H., Jang, Y.J., Kim, Y.R., Kim, H.Y., Kim, W.I., Han, S.H., Kim, S.R., Ryu, J.G., Kim, H.J., Virulence profil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from flies captured from agricultural environment. J. Food Hyg. Safety, 32, 147-153 (2017). 

  14. Elizaquivel, P., Aznar, R., Comparison of four commercial DNA extraction kits for PCR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fresh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J. Food Prot., 71, 2110-2114 (2008). 

  15. Wang, X., Jothikumar, N., Griffiths, M.W., Enrichment and DNA extraction protocols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raw sausage meat with multiplex real-time PCR. J. Food Prot., 67, 189-192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