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양만과 진해만에서 대장균 Escherichia coli분포와 수질오염 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and Water Pollution in Gwangyang Bay and Jinhae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9 no.3, 2011년, pp.162 - 170  

손문호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백승호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주혜미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장풍국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김영옥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역의 수질오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2010년 2, 5, 8, 11월에 광양만 20개 정점과 진해만 23개 정점에서 COD (화학적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 a, 대장균 Escherichia coli를 조사하였다. 또한, 광양만과 진해만의 지형학적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3개 구역, 4개 구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광양만의 COD농도는 춘계 (평균: 4.3 mg $L^{-1)$)에 가장 높았고, 구역 I (반폐쇄성 해역; 정점 1~9)에서 평균 5.64 mg $L^{-1)$으로 가장 높았다. Chl. a농도는 하계 (평균: 14.0 ${\mu}g\;L^{-1)$)에 현저히 높았고, 구역 I에서 최고치 25 ${\mu}g\;L^{-1)$를 보였다. E. coli군수는 하계에 높게 나타났고, 섬진강에 가장 가까운 정점 10에서 최고치 2,094 cfu $L^{-1)$를 기록하였다. 반면, 외측정점 (정점 15~20)으로 향할수록 그들의 개체수는 현저하게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Chl. a는 섬진강의 영향을 받는 광양만의 산업단지와 대도시가 인접하고, 수계의 혼합이 적은 지역에서 가장 높았다. 진해만에서는 구역 I (마산만과 행암만의 부영양화된 수역)에서 다른 구역에 비해 집중되어 E. coli군수를 보였다. 구역 I에 속하는 정점 중 육상에 가장 가까운 정점 1, 4, 5에서 다른 정점에 비해 많은 E. coli군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동계에 정점 4에서 최고치 (5,250 cfu $L^{-1)$)를 보였다. 그 외 춘계와 동계에 구역 IV에서 각각 평균 336 cfu $L^{-1)$, 383 cfu $L^{-1)$로 비교적 많은 E. coli군수가 관찰되었다. 광양만의 COD와 Chl. a와의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진해만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0.49, p<0.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해역의 지형학적특성에 따른 수질오염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ssess the inorganic and organic pollutents characteristics in marine water, we investigated COD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 a and Escherichia coli during four seasons at 20 stations of Gwangyang Bay and at 23 stations of Jinhae Bay, Korea. The bay is divided into three zon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진해만과 광양만의 수질오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대장균 Escherichia coli, COD, Chlorophyll a(이하 Chl. a)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E.
  • 본 연구는 해역의 수질오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2010년 2, 5, 8, 11월에 광양만 20개 정점과 진해만 23개 정점에서 COD (화학적산소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Chlorophyll a, 대장균 Escherichia coli를 조사하였다. 또한, 광양만과 진해만의 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3개 구역, 4개 구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 따라서 강우가 적은 동계에는 만 주변의 생활하수와 공업 폐수가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강우기에는 섬진강으로부터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되어 만 전체에 높은 영양염이 공급된다(이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역의 지리적특성에 따른 분변성 오염물 E. coli와 수질의 환경오염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광양만에서 2010년 2, 5, 8, 11월(총 4회)에 총 20개 정점을 조사하여 구역(Zone) I, II, III의 3개로 나누어 평가했다. 구역 I은 산업시설이 밀집되고 반폐쇄성 해역 (정점 1~9), 구역 II는 섬진강하구의 담수유입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해역(정점 10~15), 구역 III은 비교적 오염도가 낮고 해수교환이 원활한 해역(정점 16~20) 등으로 구분하였다(백 등 2011;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행 우리나라 해양 환경 관리법 제8조에 의거, 해양환경(생활환경기준)의 상태를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이 있는가? 현행 우리나라 해양환경관리법 제8조에 의하면, 해양환경(생활환경기준)의 상태를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은 pH,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용존산소, 총대장균군수, 용매추출의 유분, 총질소, 총인 등이 있다. 그 중 해수중의 유기물질은 용존상태의 용존유기탄소와 입자성유기탄소가 공존하며, 이들 입자에는 일반세균이 부착되어 분포한다.
광양만과 진해만에서 해역의 수질오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COD, Chlorophyll a, 대장균 수의 결과는 무엇인가? 또한, 광양만과 진해만의 지형학적특성을 고려하여 각각 3개 구역, 4개 구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광양만의 COD농도는 춘계(평균: 4.3 mg L-1)에 가장 높았고, 구역 I (반폐쇄성 해역; 정점 1~9)에서 평균 5.64 mg L-1으로 가장 높았다. Chl. a농도는 하계(평균: 14.0 μg L-1) 에 현저히 높았고, 구역 I에서 최고치 25.0 μg L-1를 보였다. E. coli군수는 하계에 높게 나타났고, 섬진강에 가장가까운 정점 10에서 최고치 2,094 cfu L-1를 기록하였다. 반면, 외측정점(정점 15~20)으로 향할수록 그들의 개체 수는 현저하게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Chl. a는 섬진강의 영향을 받는 광양만의 산업단지와 대도시가 인접하고, 수계의 혼합이 적은 지역에서 가장 높았다. 진해만에서는 구역 I (마산만과 행암만의 부영양화된 수역)에서 다른 구역에 비해 집중되어 E. coli군수를 보였다. 구역 I 에 속하는 정점 중 육상에 가장 가까운 정점 1, 4, 5에서 다른 정점에 비해 많은 E. coli군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동계에 정점 4에서 최고치(5,250 cfu L-1)를 보였다. 그 외 춘계와 동계에 구역 IV에서 각각 평균 336 cfu L-1, 383 cfu L-1로 비교적 많은 E. coli군수가 관찰되었다. 광양만의 COD와 Chl. a와의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진해만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0.49, p⁄0.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해역의 지형학적특성에 따른 수질오염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대장균군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 특히 도시하수의 유입이 많은 연안 내만과 하구역은 해수의 이동이나 순환이 극히 제한되어 정체현상으로 인한 분변계 대장균의 오염에 노출되기 쉽다(강과 여 2001). 대장균군은 일반적으로 인간과 가축의 분변에서 기인하는 Escherichia, Klebsiella, Citrobacter 등이 있으며, 토양이나 식물에서 기인하는 Enterobacter, Erwinia 및 분변과 관계없는 Aeromonas 등이 있다(김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 헌, 여환구. 2001. 연안해역에서 분변오염의 생화학적 지표 (coprostanol)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4:40-52. 

  2. 김광식. 1968. 10대강 유역의 물수지. 한국기상학회지. 4:1-7. 

  3. 김영만, 김경희, 박혜정. 2007. 해수의 대장균군과 분변계대장균의 검출률 비교 분석. 한수지. 40:288-292. 

  4. 김순한, 신영민, 여명자, 신필기, 김미경, 조정숙, 이창희, 이영자, 채갑용. 2005.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한국생명과학회지. 15:941-947. 

  5. 박석환, 이건형. 2006. 삼천포만 인근해역과 저질토에서 종속영양세균과 분변성 기원 세균의 분포. 환경생물. 24:258-267. 

  6. 백승호, 최현우, 김영옥. 2010. 진해만에서 부유생물을 이용한 해양생태계 건강성평가 예비조사. 환경생물. 28:125-132. 

  7. 백승호, 김동선, 현봉길, 최현우, 김영옥. 2011. 동계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수평적 분포특성과 성장에 미치는 영양염 제한 특성. Ocean and Polar Res. in press. 

  8. 이원재, 박영태, 김무찬, 성희경. 1991a. 수영만의 수질환경과 대장균. 1. 하계의 수질환경과 대장균에 관하여. J. Fish. Pathol. 4:15-21. 

  9. 이원재, 박영태, 강원배, 임월애, 이정화. 1991b. 수영만의 수질환경과 대장균. 2. 동계의 수질환경과 대장균에 관하여. J. Fish. Pathol. 4:23-30. 

  10. 이영식, 이재성, 정래홍, 김성수, 고우진, 김귀영, 박종수. 2001.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영양염. 한국해양학회지[바다]. 6:201-210. 

  11. 정규진, 신석우. 1996. 여수연안 및 동중국해의 세균상 1. 일반세균, Vibrio spp., 대장균군 균수에 따른 수평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9:9-16. 

  12. 조경제, 최만영, 곽승국, 임성호, 김대윤, 박종규, 김영의. 1998. 마산-진해만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 변동. 한국해양학회지[바다]. 3:193-202. 

  13. 해양수산부. 1988. 해양환경공정시험법. 해양수산부고시 제 1998-4호. 316pp. 

  14. 현봉길, 신경순, 김동선, 김영옥, 주혜미, 백승호. 2011. 생물검정실험을 통한 진해만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변동 특성파악.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6:27-38. 

  15. Benford RH. 1993. Marine bacteria of the northern Pacific Ocean. The temperature range of growth. Contrib. Can. Bilo. Fisheries 8:433-438. 

  16. Choi JD and WG Jeong. 1998. A bacteriological study on the sea waters and oyster in Puk Man, Korea. Kor. J. Malacol. 14:19-26. 

  17. Coupe S, K Delabre, R Pouillot, S Houdart, M Santillana-Hayat and F Derouin. 2006. Detection of Cryptosporidium, Giardia, and Enterocytozoon bieneusi in surface water, including recreational area; a one-year prospective study. FEMS Immunol Med Microbiol. 47:351-359. 

  18. Kator H and M Rhodes. 1994. Microbial and chemical indicators. pp.30-91. In Environmental indicators of shellfish safety (Hackney CR and MD Pierson eds.). 1994. Chapman and Hall. New York. 

  19. Lipp EK, JB Rose, R Vincent, RC Kurz and C Rodriguez-Palacios. 1999. Assesment of the microbiological water quality of Charlotte Harbor, Florida. Technical Report. Southwest Florida Water Management District, Brooksville. 

  20. Munn CB. 2004. Marine Microbiology (Ecology & Application). BIOS Scientific Publishers, London and NewYork. 

  21. Ogawa G. 1974. Some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coliform bacteria in seawater. J. Oceanogr. Soc. Japan 30:54-60. 

  22.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23. Solo-Gabriele HM, MA Wolfert, TR Desmarais and CJ Palmer. 2000. Sources of Escherichia coli in a Coatal Subtropical Environment.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6:230-237. 

  24. Tatsuyuki I, K Ryoichi and F Masayuki. 2005. Influence of Chl. a Concentration on the Purific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a Lagoon. Journal of Japan Society of Hydrology & Water Resources 18:674-680. 

  25. Terzieva SI and GA McFeters. 1991. Survival and injury of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 and Yersinia enterocolitica in stream water. Can. J. Microbiol. 37:785-790. 

  26.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0. EPA's BEACH Watch Program, 2000 Update. EPA-823-F00-012. Washington, DC, USA. 

  27. Villate R, G Aravena, A Iriarte and I Uriarte. 2008. Axial variability in the relationship of chlorophyll a with climatic factors and the North Atlantic Oscillation in a Basque coast estuary, Bay of Biscay (1997-2006). J. Plankton Res. 30:1041-1049. 

  28. Yoo SK, JS Park, P Chin, DS Chang, CK Park and SS Lee. 1980. Comprehensive studies on oyster culture in Hansan, Geoje, Bay. Bull. Fish. Res. Develop. Agency 24:7-46. 

  29. Wade TJ, RL Calderon, E Sams, M Beach, KP Brenner and AH Williams. 2006. Rapidly measured indicators of recreational water quality are predictive of swimming-associated gastrointestinal illness. Envriron Health Perspect 114:24-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