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울산만에서 계절적 강우변화와 담수기원 오염원이 염분구배 및 유역별 대장균 분포에 미치는 영향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based on seasonal rainfall variations and extension of freshwater pollutant sources by salinity gradients at Ulsan Bay of Korea facing East S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632 - 640  

이민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만에서 강우에 의한 염분구배 및 환경요인이 분변계 대장균의 계절적, 지역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계절 조사를 총 12회 수행하였다. 아울러 울산만 내측과 외측의 염분구배 및 지리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13개 정점을 3개의 구역(I, II, III)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중 수온과 염분은 각각 $8.5-26.1^{\circ}C$와 13.5-34.4 psu의 범위, 엽록소-a는 $0.4-74.0{\mu}g\;L^{-1}$, 투명도는 0.5-10.0 m로 변화하였다. 특히 염분농도는 2014년 춘계, 하계, 추계 울산만 내측의 구역 I에서 낮은 농도로 관찰되었고, 만 외측의 구역 III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one-way ANOVA, p < 0.05). 아울러, 해역의 염분구배는 대장균의 분포에도 영향을 미쳤고, 특히 태화강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구역 I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구역 II, 구역 III순으로 나타났다. 대장균 개체수는 투명도(r = -0.36; p < 0.05)와 더불어 염분과 음의 상관성(r = -0.53; p < 0.01)이 확인되었고, 이는 육상기원의 대장균이 해역으로 유입될 경우 염분이 낮은 환경에서 보다 유리하게 증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울산만 내만에서는 잦은 집중강우(< 50 mm)로 인한 육상기원 오염원이 하천 및 태화강으로 유입되어 울산만 최내측인 구역 I에서 현저하게 영향을 미쳤고, 염분구배에 따라서 대장균 개체수도 희석되어 만 외측으로 향할수록 낮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distribution of Escherichia coli by salinity gradient due to precipitation, we investigated abiotic and biotic factors during four seasons from February 2013 to November 2015. The study area was divi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울산만은 해안선이 길어 생활하수 및 공업용 폐수에 의한 다양한 오염원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지만, 외양으로부터 해수순환이 원활하여 특정 오염물질이 빠르게 희석 및 정화될 수 있는 해양환경특성을 지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적 강우의 변동과 해역의 염분구배에 따른 환경특성에 의한 분변성 오염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울산만에서 2013년에서 2015년까지 3년에 걸쳐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해역별 및 계절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울산만의 해역별 수질오염 특성 이해와 함께 오염원에 따른 해양수질환경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울산만의 지리적 특성에 따른 분변성 대장균(E. coli)의 오염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2013-2015년 동안 13개 정점에서 2, 5, 8, 11월의 계절조사를 총 12회 수행하였다. 또한 울산만의 지리적 특성에 맞추어 구역(Zone)을 I, II, III 3개로 나누어 평가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산만의 지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울산만은 동해 쪽으로 열려있는 반폐쇄적인 만으로 해안선 전체 길이가 58 km, 항내수면적은 116 km2로 이루어졌다. 만의 남동쪽으로는 쿠로시오의 지류인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외해수가 유입되고, 북쪽의 태화강과 서쪽 아래의 고사천과 외항강으로부터 담수가 유입된다. 집중강우 시에는 태화강을 중심으로 유입되는 많은 양의 담수는 만 전체에 걸쳐 저염분화와 더불어 유기/무기오염물질의 공급을 증가시킨다.
연안생태계의 자연 치유기능을 점점 잃어가는 이유는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연안내만 및 항만유역에서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경제시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와 더불어 기후변화와 같은 다양한 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 이후 부산, 마산, 포항, 울산, 여수광양만의 도시화와 산업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이로 인해 연안내만해역으로 유입되는 생활오수 및 산업 폐수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에 따른 연안해역의 오염부하량의 누적 증가로 환경수용능력이 초과되어 연안생태계의 자연 치유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울산만의 해양환경특성은 어떠한가? 울산만은 해안선이 길어 생활하수 및 공업용 폐수에 의한 다양한 오염원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이지만, 외양으로부터 해수순환이 원활하여 특정 오염물질이 빠르게 희석 및 정화될 수 있는 해양환경특성을 지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적 강우의 변동과 해역의 염분구배에 따른 환경특성에 의한 분변성 오염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울산만에서 2013년에서 2015년까지 3년에 걸쳐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해역별 및 계절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 H., Koh, J. S. Khim, D. L. Villeneuve, K. Kannan and J. P. Giesy, "Analysis o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pore water, and water samples from Onsan Bay, Korea; instrumental analysis and in vitro gene expression assay",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vol. 21, no. 9, pp. 1796-1803, 2002. DOI: https://doi.org/10.1002/etc.5620210906 

  2. K. J. Jung, S. U. Shin, "Bacterial flora of East China Sea and Yosu coastal sea areas 1. Horizontal distributions according to number of bacteria. Vibrio spp. and coliform group",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29, pp. 9-16, 1996. 

  3. W. J. Lee, Y. T. Park, M. C. Kim, H. K. Se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coliform group in Suyeong Bay: 1.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coliform group during summer in Suyeong bay", Journal of fish pathology, vol. 4, no. 1, pp. 15-21, 1991. 

  4. W. J. Lee, Y. T. Park, W. B. Kang, W. A. Lim, J. H. Lee,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coliform group in Suyeong Bay : 2 .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coliform group during winter in Suyeong bay", Journal of fish pathology, vol. 4, no. 1, pp. 23-30, 1991. 

  5. M. H. Son, S. H. Baek, H. M. Joo, P. G. Jang, Y. O. Kim,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and water pollution in Gwangyang Bay and Jinhae Bay,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vol. 29, pp. 162-170, 2011. 

  6. S. H. Baek,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oxygen demand and Escherichia coli based on pollutant sources at Gwangyang Bay of South Sea in Korea",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pp. 3279-3285,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5.3279 

  7. S. H. Baek, M. J. Lee, D. Yo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at Nakdong River Mouth and Busan Coastal Area",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vol. 1, no. 1, pp. 1-7, 2016. 

  8. Parsons TR. Maita Y, Lalli CM, A manual of biological and chem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ubl. Pergamon Press, Oxford, pp. 184 1984. 

  9. G. S. Sayler, J. D. Nelson, A. Justice, R. R. Colwell,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of fecal indicator organisms in the Upper Chesapeake Bay", Applied Microbiology, vol. 30, no. 4, pp. 625-638, 1975. 

  10. J. C. Lee, "Variations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wind induced upwelling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8, pp. 149-160, 1983. 

  11. D. K. Lee, J. I. Kwon, S. B. Hahn, "The wind effect on the cold water formation near Gampo-Ulgi coast",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31, no. 3, pp. 359-371, 1998. 

  12. M. J. Lee. D. Kim, Y. O. Kim, M. Sohn, C. H. Moon, S. H. Baek, "Seasonal phytoplankton growth and distribution pattern by environmental factor changes in inner and outer bay of Ul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21, no. 1, pp. 24-35, 2016. 

  13. K. Ogawa, "Some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coliform bacteria in seawater", Journal of the Oceanographical Society of Japan, vol. 30, no. 2, pp. 54-60, 1974. DOI: https://doi.org/10.1007/BF02112893 

  14. H. M. Solo-Gabriele, M. A. Wolfert, T. R. Desmarais, C. J. Palmer, "Sources of Escherichia coli in a coastal subtropical environment",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 66, no. 1, pp. 230-237, 2000. DOI: https://doi.org/10.1128/AEM.66.1.230-237.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