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구언 건설 전.후의 영산강 하구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환경 변화
Change in Taxonomic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fter Construction of Dike in Yeongsan River Estuary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9 no.3, 2011년, pp.212 - 224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연안하구연구센터) ,  윤보배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연안하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남해에 위치한 영산강 하구는 1981년 12월에 하구언이 건설되기 전까지 전형적인 하구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하구언이 건설되면서 수질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이나 동물플랑크톤과 같은 부유생물들의 생물상들도 변화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에 보고된 자료와 최근 채집한 현장조사 자료를 토대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식물플랑크톤 관련 환경인자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구언 건설 직후(1984년)의 환경 자료와 최근 자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담수역에서는 암모늄이 증가하였고, 해수역에서는 표층 용존산소, 아질산염+질산염, 암모늄 농도가 증가하였고 표층 인산염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경우, 담수역에서 하구언 건설 전(1980)보다 최근에 출현한 군집이 다양해졌고, 녹조류의 종수가 감소하였다. 해수역에서는 하구언 건설 직후(1984)보다 최근에 출현한 규조류의 종수가 감소하였고 녹조류나 와편모조류 등의 종수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하구언 건설 전 후에 공통적으로 출현했던 종은 소수로 최근에 새로운 종들이 동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 하구언 건설 전 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직까지 보고된바가 없어,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영산강 하구 생태계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Yeongsan River estuary, located in the south west coast, was a typical estuary before a dike was constructed in December 1981. After the construction, the water quality and plankton communities are expected to change.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ro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하구언이 건설되면서 수질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이나 동물플랑크톤과 같은 부유생물들의 생물상들도 변화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에 보고된 자료와 최근 채집한 현장조사 자료를 토대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식물플랑크톤 관련 환경인자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구언 건설 직후(1984년)의 환경 자료와 최근 자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담수역에서는 암모늄이 증가하였고, 해수역에서는 표층 용존산소, 아질산염+질산염, 암모늄 농도가 증가하였고 표층 인산염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담수역과 해수역에 대한 수질이나 식물플랑크톤과 같은 화학적, 생물학적인 변화에 대한 자료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담수역과 해수역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보고된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확보된 최근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하구언 건설 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종조성, Chlorophyll-a)의 변화와 수질 특히 식물플랑크톤과 관련된 환경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구언 건설 전이나 직후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최근에 조사된 식물플랑크톤 종조성과 관련 환경인자들에 대한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하구언 건설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후 변화로 인한 영향이 고려되지 않았고, 종 동정 전문성, 환경인자들에 대한 측정방법이나 장비 등이 상이하여 측정치(특히 detection limit)가 다를 수 있는 한계도 있으며, 비교를 위한 자료의 양도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정확한 기작을 규명하기에는 제한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영산강 하구의 해수역에 대한 하구언 건설 전의 자료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하구언 건설에 따른 영산강 하구의 해수역 수질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구언 건설 직후인 1984년에 조사된 자료(박 1984)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총 4개 정점(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산강 하구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식물플랑크톤 관련 환경인자들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따라서 기존에 보고된 자료와 최근 채집한 현장조사 자료를 토대로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식물플랑크톤 관련 환경인자들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구언 건설 직후(1984년)의 환경 자료와 최근 자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담수역에서는 암모늄이 증가하였고, 해수역에서는 표층 용존산소, 아질산염+질산염, 암모늄 농도가 증가하였고 표층 인산염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경우, 담수역에서 하구언 건설 전(1980)보다 최근에 출현한 군집이 다양해졌고, 녹조류의 종수가 감소하였다. 해수역에서는 하구언 건설 직후(1984)보다 최근에 출현한 규조류의 종수가 감소하였고 녹조류나 와편모조류 등의 종수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하구언 건설 전 후에 공통적으로 출현했던 종은 소수로 최근에 새로운 종들이 동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 하구언 건설 전 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는 아직까지 보고된바가 없어,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영산강 하구 생태계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플랑크톤은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가? 식물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 먹이망(food web)에서 일차 생산자로서 상위 소비자인 동물플랑크톤과 어업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탄소와 영양염류의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Kemp and Boynton 1981; Boynton et al. 1982; Coffin and Sharp 1987; Sundbaeck et al.
하구는 해양생태계에서 어떤 특성을 갖는 환경인가? 2004; Vargas and Gonzalez 2004). 해양생태계에서도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바다의 해수가 만나 혼합되는 전이수역으로, 물리적으로는 조석, 파랑 및 하천 유량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고, 화학적으로는 육성(陸性)과 해성(海性)이 공존하는 매우 역동적인 환경이다. 특히 하구는 육지로부터 공급받는 영양염으로 인해 매우 생산적인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으며(Ryther 1969), 실제로 단위면적당 유기물 생산량은 옥수수밭의 4~10배에 이르고, 단위면적당 생태적 가치는 US$ 22,832 ha-1 yr-1로 지구 생태계 중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ostanz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주환, 송재준, 오남선. 1998. 낙조우세와 관련된 목포해역의 조류특성 분석. 대한토목공학회. 18:185-193. 

  2. 강주환, 임병선. 1998. 방조제 건설로 인한 목포해역에서의 오염확산양상 변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8:613-622. 

  3. 권기영, 윤석현, 이재성. 2009. 영산강 하구역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해양환경안전학회. 6:149-150. 

  4. 김대호, 이희진. 2011. 목포 인근해역의 담수유입에 따른 해수 환경인자의 변화: 장기자료 분석. 학사학위논문. 목포해양대학교. 목포. 37pp. 

  5. 김용재. 2003. 영산강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Algae. 18:207-215. 

  6. 류일광, 이치영, 김병환, 강영식. 1981. 영산강의 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광주 보건전문대학 논문집. 6:21-32. 

  7. 박경양. 1984. 목포만의 봄철 식물성 플랑크톤에 대하여. Mokpo National College. 1:57-65. 

  8. 박래환, 조양기, 조 철, 선영종, 박경양. 2001. 2000년 여름 영산강 하구의 해수 특성과 순환.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6:218-224. 

  9. 박준건, 김은수, 김경태, 조성록, 송태윤, 유정규, 김성수, 박용철. 2009. 방조제 건설에 따른 새만금 표층 유기탄소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2:75-83. 

  10. 박홍기, 정종문, 박재림, 홍용기. 1999. 낙동강 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산력과 수질 변화와의 관계. 한국환경과학회지. 18:101-106. 

  11.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34권: 식물편(해양식물플랑크톤), 교육부, 472 pp. 

  12. 양성렬, 송환석, 문창호, 권기영, 양한섭. 2001. 낙동강 하구역의 담수유입에 따른 해양환경 및 일차생산력 변화. Algae.16:165-177. 

  13. 정영호. 1968. 한국동식물도감. 제9권: 식물편 (담수조류), 문교부, 573 pp. 

  14. 하 경, 장민호, 정광석, 박재림, 주기재. 2002. pH, 영양염류농도 및 빛이 Microcystis bloom의 초기단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1:705-711. 

  15. 환경부. 2001.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6. Alvarez-Gongora C and JA Herrera-Silveira. 2006.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related to water quality trends in a tropical karstic coastal zone. Mar. Pollut. Bull. 52:48-60. 

  17. APHA-AWWA-WPCF. 1976.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4th Ed. Washington DC. 406, 407, 422, 460, 466 and 543 pp. 

  18. Association of National Estuary Programs (ANEP). 1998. Preserving Our Heritage, Securing Our Future: A Report to the Citizens of the Nation. Washington DC: ANEP. 49 pp. 

  19. Boynton WR, WM Kemp and CW Keefe. 1982. A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ents and other factors influencing estuarine phytoplankton production. pp.69-90. In Estuarine Comparisons (Kennedy V ed.). Academic Press. USA. 

  20. Byun D, XH Wang and PE Holloway. 2004. Tidal characteristic adjustment due to dyke and seawall construction in the Mokpo Coastal Zone.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59:185-196. 

  21. Chan TU, DP Hamilton, BJ Robson, BR Hodges and C Dallimore. 2002. Impacts of hydrological changes on phytoplankton succession in the Swan River. Western Austraila. Estuaries. 25:1406-1415. 

  22. Cho Y, L Park, C Cho, I Lee, K Park and C Oh. 2004. Multilayer structure in the Youngsan Estuary.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61:325-329. 

  23. Choi C. 1988. Limnological studies of Lake Yongsan, Korea: II. Nutrient, plant pigment contents and primary productivity of a newly formed lake in an estuary. Kor. J. Limnol. 21:181-192. 

  24. Choi C and Y Chung. 1985. Limnological studies on Lake Yongsan, Korea: I. General consideration and some physical conditions of a newly formed lake in an estuary. Kor. J. Limnol. 18:15-26. 

  25. Coffin RB and JH Sharp. 1987. Microbial trophodynamics in the Delaware Estuary. Mar. Ecol. Prog. Ser. 41:253-266. 

  26. Coleman JR and B Colman. 1981. Inorganic Carbon Accumulation and Photosynthesis in a Blue-Green Alga as a Function of External pH. Plant Physiol. 67:917-921 

  27.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R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253-260. 

  28. Froneman PW, EA Pakhomov and MG Balarin. 2004.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biomass, production and biogenic carbon flux in the eastern Atlantic sector of the Southern Ocean in late austral summer 1997-1998. Deep-Sea Res. 51:2715-2729. 

  29. Gobler CJ, NJ Buck, ME Sieracki and SA Sanudo-Wilhelmy. 2006. Nitrogen and silicon limit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cross an urban estuary: The East River-Long Island sound system. Estuar. Coast. Shelf Sci. 68:127-138. 

  30. Kang J, S Moon, S Park and K Lee. 2009. Analyzing sea level rise and tide characteristics change driven by coastal construction at Mokpo Coastal Zone in Korea. Ocean Eng. 36:415-425. 

  31. Kemp WM and WR Boynton. 1981.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regulating metabolic rates of an estuarine benthic community. Oecologia. 51:19-27. 

  32. Lassen MF, ME Bramm, K Richardson, F Yusoff and M Shariff. 2004.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and size distribution in the Langat River Estuary. Malaysia. Estuaries. 27:716-727. 

  33. Nayar S, BPL Goh and LM Chou. 2005. Dynamics in the size structure of Skeletonema costatum (Greville) Cleve under conditions of reduced photosynthetically available radiation in a dredged tropical estuary. J. Exp. Mar. Biol. Ecol. 318:163-182. 

  34.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New York. pp. 22-25. 

  35. Rousseau V, S Becquevort, JY Parent, S Gasparini, MH Daro, M Tackx and C Lancelot, 2000. Trophic efficiency of the planktonic food web in a coastal ecosystem dominated by Phaeocystis colonies. J. Sea Res. 43:357-372. 

  36. Ryther JH. 1969. Photosynthesis and fish production in the sea. Science. 166:72-76. 

  37. Semeneh M, F Dehairs, M Elskens, MEM Baumann, EE Kopczynska, C Lancelot and L Goeyens. 1998. Nitrogen uptake regime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Atlantic and Indian sectors of the Southern Ocean. J. Marine Syst. Amsterdam. The Netherlands 17:159-177. 

  38. Sin Y, RL Wetzel and IC Anderson. 2000. Seasonal variations of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 in the York River estuary. Virginia (USA). J. Plankton Res. 22:1945-1960. 

  39. Sin Y, B Hyun, QD Bach, S Yang and C Park. 2011. Phytoplankton size-taxonomic composition in a temperate estuary influenced by monsoon. Estuar. Coast. (Submitted). 

  40. Sourinia A. 1978. Phytoplankton manual. Monograph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6. UNESCO Paris. 

  41. Sundbaeck K, B Joensseon, P Nilsson and I Lindstroem. 1990. Impact of accumulating drifting macroalgae on a shallowwater sediment system: An experimental study. Mar. Ecol. Prog. Ser. 58:261-274. 

  42. Totti C, M Cangini, C Ferrari, R Kraus, M Pompei, A Pugnetti, T Romagnoli, S Vanucci and G Socal. 2005. Phytoplankton size-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in relation to mucilage occurrence in the northern Adriatic Sea. Sci. Total Environ. 353:204-217. 

  43. Vargas CA and HE Gonzalez. 2004.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arbon cycling in a coastal upwelling system. I. Bacteria, microprotozoans and phytoplankton in the diet of copepods and appendicularians. Aquat. Microb. Ecol. 34:151-1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