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5, 2011년, pp.709 - 719  

김경민 (면온초등학교) ,  차희영 (한국교원대학교) ,  구슬애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강원도 지역의 P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과학영재 학생 6명과 B와 M초등학교의 일반아동 6명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학생들에게 부여되는 분류 활동 과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물자료 과제 3가지와 사진자료 과제 3가지로 총 6가지였으며,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 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 측정, 분류 활동 결과 분석 및 분류 기준 수 비교, 분류 능력 지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류 과제 종류에 관계없이 초등과학영재가 일반아동에 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이 더 짧게 걸렸다. 분류 활동 결과 분석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비교 관찰을 실시하였으나 생성된 분류 기준 수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가 더 많은 기준 수를 산출하였고, 분류 능력 지수 또한 초등과학영재의 경우가 더 높았으나 학년의 발달과 유의미한 관계는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shown in classification activitie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six gifted students in an institute for the gifted for science annexed to 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초등과학영재와 초등학교 일반학생들이 주어진 분류 활동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 걸린 시간, 분류 활동 결과 분석을 통한 분류 기준 수 및 분류 기준 특징 비교 그리고 분류 능력 지수 측정을 통해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들 사이의 분류 능력의 차이 여부를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 하였다. 단, 본 연구에서 초등과학영재란 지역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영재 교육원에 선발된 학생들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사이의 차이점을 탐구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기초탐구능력의 하나인 분류 능력 파악을 통해 과학 영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류는 사물을 비슷한 군끼리 모으는 것으로 유기체가 자신의 주변 환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어떤 대상이나 사물을 유목화 하는 활동으로 인지발달에 초보적인 요소이며(Inhelder & Piaget, 1964), 자연현상이나 사건, 사물을 어떤 기준에 의해 일정한 질서 체계를 세워서 정리하는 과정을 뜻하는 것으로 탐구 과정 요소 중 중요한 탐구능력에 해당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 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강원도 지역의 P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과학영재 학생 6명과 B와 M초등학교의 일반아동 6명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이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배경은? 지식 기반 사회가 되면서 세계 많은 나라들은 자국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 시키는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갖춘 유능한 인재를 육성하는데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 발맞춰 국가 경쟁력 강화라는 국가적인 측면과 교육기회의 형평성 제고라는 개인적인 측면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영재교육은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이봉우 등, 2008; 조은부와 백성혜, 2006; 조현준 등, 2008). 특히, 2000년 1월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었고, 2002년 4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 및 세부 추진 계획이 발표되면서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교 및 영재 학급의 형태를 거치면서 영재교육이 확대되어 실시되고 있다(최선영, 2008).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대상자 중 수학∙과학 관련 영재 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한국교육개발원의 자료에 의하면 영재교육이 수학과 과학 분야에 치우쳐져 있어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대상자 중 수학∙과학 관련 영재 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2005년을 기준으로 했을 때 82%인 것으로 파악되었다(김태서, 2007). 국내 영재교육의 변천사를 보면 특히 과학영재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며, 1998년 전국 8개 대학에 현재의 과학영재교육원이 설치 운영됨으로써 과학영재교육이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확대를 이끌어 왔다고 한다(강경희, 2010).
분류 활동 과제를 수행하면서 나타난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에 걸린 시간, 분류 기준 수 및 분류 기준 비교, 분류 능력 지수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첫째, 분류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사용하는 시간은 초등과학영재가 일반아동에 비해 짧았다. 제시된 분류 과제 형태에 따라 차이가 없이 초등과학영재가 분류 과제 수행에 있어 짧은 시간을 사용했는데, 이는 초등과학영재가 분류 과제의 속성 파악 및 분류 과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분류 기준을 더 빨리 세워 분류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분류 활동 결과 분석을 통해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위계적이고 비교 관찰을 하지만 분류 기준 수 생성에 있어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경우 일반아동에 비해 많은 기준 수를 생성하였으므로 초등과학영재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상세 관찰을 통한 분류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 연구 결과와는 달리 학생들의 해당 학년이 분류 기준 수 생성 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셋째, 분류 능력 지수에 있어서도 초등과학영재가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분류 과제에서 높은 분류 능력지수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1. 서울:금성출판사. 

  3. 권용주, 이준기, 이일선 (2007). 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중등교육연구, 55(3), 21-43. 

  4. 권치순 (2005). 초등과학영재교육의 방향과 과제. 초등과학교육, 24(2), 192-201. 

  5.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 탐색. 수탁연구 CR 2004-40, 한국교육개발원. 

  6. 김상영, 송남희 (2007). 식물 이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지도와 그들이 사용하는 식물 분류 기준. 초등과학교육, 26(1), 41-48. 

  7. 김영신 (2006). 초등학교 과학영재아와 일반 학생의 관찰방법과 행동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32-438. 

  8. 김은진 (2006). 과학문제 풀이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과학영재들의 사고특성 탐색. 초등과학교육, 25(2), 179-190. 

  9. 김태서 (2007). 한국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 1970-2006.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나동진, 김진철 (2004). 삼원지능, 사고양식, 학업 성취의 관계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구조적 차이. 교육심리연구, 18(1), 115-130. 

  11.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 (2010).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포화용액 개념에 대한 비유 만들기 과정의 유형과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29(2), 219-232. 

  12.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13.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 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08-718. 

  14. 소금현, 김정민, 심규철 (2009). 과학 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 양식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2), 119-124. 

  15.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6. 안영균 (1997). 초등학생들의 분류 능력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예성옥 (1999). 초등학생들의 분류 수행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9.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 (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20.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21. 이정경, 하민수, 차희영 (2008). 분류 과제 제시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잎 분류 행동 차이. 초등과학교육, 27(3), 287-295. 

  22. 정지숙, 신애경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비교.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57-162. 

  23. 조선희, 이건호, 김희백 (2007).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123-143. 

  24. 조은부, 백성혜 (2006).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25. 조현준, 양일호, 이효녕, 송윤미 (2008).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 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95-505. 

  26. 주정은, 차희영 (2007). 관찰에 의한 분류하기 탐구능력 준거 개발. 초등과학교육, 26(4), 407-417. 

  27. 진석언, 고혜진 (2004). Sternberg의 사고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비교. 특수교육연구, 11(2), 157-177. 

  28. 최선영 (2008).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영재 학급에 대한 효과성 조사. 초등과학교육, 27(4), 437-445. 

  29. 최현동 (2008). 초등학생과 대학생이 과학 관련 과제에서 사용한 분류 전략의 미시발생적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최현동, 양일호, 권치순 (2005). 초등학생 분류능력 발달의 경향성. 초등과학교육, 24(3), 281-291. 

  31. 한기순, 배미란 (2004).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18(2), 49-68. 

  32.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33. 한기순, 양태연 (2009). C영재교육원을 통해 살펴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137-155. 

  34. Borland, J. H. (1997). The Construct of Giftednes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3&4), 6-20. 

  35. Inhelder, B., & Piaget, J. (1964). The early growth of logic in the child: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London: Routledge. 

  36. Lowery, L. F., & Allen, L. R. (1969). Visual resemblance sorting abilities among first grade pupi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6, 248-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