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Neutralization Titration Technolog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6, 2011년, pp.864 - 875  

이종백 (전남대학교) ,  박가영 (전남대학교) ,  이상권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중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 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873 화적정 방법에 따른 산 염기 및 중화반응 개념의 이해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세 개의 집단은 각각 지시 약, pH미터, MBL을 이용하여 중화적정 실험을 하도록 하였다. 각 집단별로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하기 전과 후에 산 염기 및 중화반응 개념 검사를 하여 그 향상 정도를 알아본 후 고등학생들이 산 염기 및 중화반응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실험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세 집단 모두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마친 후 사후검사에서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MBL을 이용한 집단의 향상도가 가장 높았고 pH미터를 이용한 집단의 향상도가 가장 낮았다. 적극적인 동기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소극적인 학생들보다 사전검사 및 사후 검사 점수는 높았지만 평균 점수 차이를 볼 때 소극적인 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향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학습 동기를 갖는 학생들은 개념 이해에 있어서 실험 방법에 의존하지 않지만 소극적인 학생들은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MBL을 사용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수준에 따른 개념 이해 정도에서는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산 염기 관련 개념 이해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하기 전과 후의 개념 이해 향상 정도는 과도기를 포함한 구체적 조작기 학생들이 가장 큰 폭으로 상향변화 하였다. 각 집단별 인지수준과 학습동기에 따른 개념 이해를 비교해보면 적정 방법에 따라 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학습자의 인지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라 적절한 실험 방법을 선택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base related concepts using three different titration technologies. The test population was composed of 209 students from three classes in the 10th grade. The different titration experiments using indicator, 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H미터를 이용한 집단은 pH미터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pH값을 기록한 후 가해준 염산에 따른 pH값을 그래프로 직접 그리고 해석하도록 하였다. MBL을 이용한 집단은 컴퓨터에서 실시간으로 pH값이 읽혀지고 염산에따른 pH값이 그래프로 얻어지면 그 그래프를 보고 해석하는 활동을 하였다.
  • 이를 위해 지시약, pH미터, MBL을 이용한 서로 다른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 학생들의 산∙염기 및 중화반응 관련 개념 이해 정도에 어떠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와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학습 동기가 각각의 집단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 우리나라 학생들에 대한 연구를 보면, 유은희 등(2008)은 MBL을 활용한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 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MBL을 사용한 집단이 전기 전도도를 측정한 전통 집단에 비해 실험 수행 과정 중 관찰 및 설명에 대한 대화빈도가 4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수행과 분석 및 평가 과정에서는 2배 이상 심층적 대화빈도수가 크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 연구는 소수의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MBL과 전기 전도도 측정 등 2가지 실험 과정 중의 상호작용에 대한 자료를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산∙염기 관련 실험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시약을 사용하는 실험과, pH미터를 사용하는 실험, 그리고 MBL을 사용하는 실험이 학생들의 개념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인 방법으로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하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 또한 인지 수준과 학습 동기 유형을 고려하여 목적추출 방식으로 모둠을 선택하여 실험 과정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Nakhleh & Krajcik, 1993). 이 연구는 소수의 미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념도 분석을 한 것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에 대한 연구를 보면, 유은희 등(2008)은 MBL을 활용한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 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MBL을 사용한 집단이 전기 전도도를 측정한 전통 집단에 비해 실험 수행 과정 중 관찰 및 설명에 대한 대화빈도가 4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수행과 분석 및 평가 과정에서는 2배 이상 심층적 대화빈도수가 크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0학년 산과 염기의 반응 단원에서 중화반응을 학습할 때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라 학생들의 산∙염기 및 중화반응 관련 개념의 이해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인지 수준과 학습 동기 수준 별로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과정 중의 '물질' 단원의 ‘산과 염기의 반응’ 중 ‘중화반응’ 소단원에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에 대한 과학 개념 이해에 어떠한 실험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실험 수행과정에서 학생들은 실험 초기의 완만한 pH 변화와 중화점 근처의 급격한 pH 변화에 대한 의견 교환이 많이 이루어졌다. 특히 초기에 염산을 계속 가해주어도 pH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하면서 실험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심지어 pH미터가 고장이 나지 않았는가라고 생각하는 학생도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염기 개념의 획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많은 학생들이 산∙염기 개념의 획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고등학교 과정의 산∙염기 관련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지수준이 고등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비하여 높기 때문이다(문홍무와 최병순, 1987; 박종윤 등, 1993). 즉, 원자∙분자∙이온 등 물질의 입자성을 이해하는 수준은 형식적 조작기 초기 수준이며, 산과 염기의 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수준은 형식적 조작기 후기 수준이어야 가능하다.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에서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의 산∙염기 관련 단원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에서 고등학교 1학년 과정의 산∙염기 관련 단원은 산∙염기 개념을 현상 중심의 거시적 관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등학교 5학년 과정과 원자와 분자의 세계인 미시적인 관점으로 학습하도록 구성 되어있는 고등학교 화학 II 과정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산∙염기라는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은 현상 중심의 거시적인 관점에 의한 개념이기 때문에, 학습과정에서 원자 또는 분자 수준의 미시적 개념으로의 연계가 쉽지 않다(강순희와 조성아, 1999).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중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 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873 화적정 방법에 따른 산 염기 및 중화반응 개념의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세 개의 집단은 각각 지시 약, pH미터, MBL을 이용하여 중화적정 실험을 하도록 하였다. 각 집단별로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하기 전과 후에 산 염기 및 중화반응 개념 검사를 하여 그 향상 정도를 알아본 후 고등학생들이 산 염기 및 중화반응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실험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세 집단 모두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마친 후 사후검사에서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MBL을 이용한 집단의 향상도가 가장 높았고 pH미터를 이용한 집단의 향상도가 가장 낮았다. 적극적인 동기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소극적인 학생들보다 사전검사 및 사후 검사 점수는 높았지만 평균 점수 차이를 볼 때 소극적인 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향상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학습 동기를 갖는 학생들은 개념 이해에 있어서 실험 방법에 의존하지 않지만 소극적인 학생들은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MBL을 사용할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수준에 따른 개념 이해 정도에서는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산 염기 관련 개념 이해 정도가 높았다. 그리고 중화적정 실험 수업을 하기 전과 후의 개념 이해 향상 정도는 과도기를 포함한 구체적 조작기 학생들이 가장 큰 폭으로 상향변화 하였다. 각 집단별 인지수준과 학습동기에 따른 개념 이해를 비교해보면 적정 방법에 따라 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학습자의 인지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라 적절한 실험 방법을 선택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개념 이해의 어려움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순희, 조성아(1999).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염기 이해 조사. 대한화학회지, 43(6), 707-719. 

  2. 구양삼, 박금홍,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2007). 토론을 강조한 MBL실험 수업에서 리더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대한화학회지, 50(6), 494- 505. 

  3. 구혜원(1993). 과학과 수업에 적용한 MBL실험 방식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권소현, 최병순(2002).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양식과 인지 수준이 화학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32-140. 

  5. 남정희, 김성희, 강순희, 박종윤, 최병순(2002).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10-121. 

  6. 문홍무, 최병순(1987). 고등학생의 지적 발달 수준과 화학 내용이 요구하는 조작 수준과의 관계 연구. 화학교육, 14(2), 116-127. 

  7. 박금홍, 구양삼,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 고석범 (2007).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MBL실험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59-63. 

  8. 박금홍, 구양삼, 최병순, 신애경, 이국행, 고석범 (2008),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331-339. 

  9. 박상용, 박재근, 여상인(2006). 과학실험 수업에서 MBL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5(4), 454-464. 

  10. 박종윤, 강순희, 김선영, 김성희, 김인주, 이자현 (1993).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 사고력 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 비교연구(제1보). 대한화학회지, 37(4), 285-296. 

  11. 백성혜, 김혜경, 채우기, 권균(1999). 학습 동기에 따른 학습자의 개념 변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91-99. 

  12. 신애경(2006). MBL 실험 수업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영민, 김현경, 최병순(2010). 학습자의 인지수준 및 학습 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30(5), 533-543. 

  14. 유은희, 임희영, 강성주, 최병순(2008). MBL을 활용한 산-염기 적정 실험에서의 학생 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67-74. 

  15.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16. 최미화(2002). 'Thinking Science'활동이 중학 생의 인지 가속에 미치는 효과 및 인지 수준과 동기 유형에 따른 'Thinking Science' 문제 해결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홍현수(2001). 변인통제에 관한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동기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Adey, P., & Shayer, M.(1994). Really raising standards.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19. Anderman, E. M. & Young, A. J.(1994).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11-831. 

  20. David, W. R., Keith, B. L., & Campbell, J. M.(2004). Role of the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display in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new understandings in thermal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65-185. 

  21. Lapp, D. A., & Cyrus, V. F.(2000). Using data-collection devices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Mathematics Teacher, 93, 504- 511. 

  22. Linn, M. C., & Songer, N. B.(1991). Teaching thermodynamics to middle school students: What are appropriate cognitive deman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0), 885-918. 

  23. Nakhleh, M. B., & Krajcik, J. S.(1993). A protoco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chnology on students'actions, verbal commentary, and thought processes during the performance of acid base titr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149-1168. 

  24. Nakhleh, M. B., & Krajcik, J. S.(1994). Influence on levels of information as presented by different technologie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 base, and pH concep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 1077-1096. 

  25.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 J.(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 

  26. Settlage, J. Jr.(1995). Children' s conceptions of light in the context of a technology-based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5), 535-5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