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자와 초등과학영재의 탐구에서 나타난 귀추적 추론 분석
An Analysis of Abductive Reasoning on the Inquiry of Scientists and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 in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6, 2011년, pp.901 - 919  

정선희 (한국교원대학) ,  최현동 (서울대방초등학교) ,  양일호 (한국교원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와 초등과학영재의 탐구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귀추적 추론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를 위한 피험자는 과학자 8명과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과학영재 8명이었다. 연구 결과, 과학자와 과학영재의 탐구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은 가설생성, 실험설계, 결과해석 3단계에서 나타났다. 각 단계의 귀추적 추론은 복합적 귀추, 유추적 귀추, 관찰-기반 귀추, 논리-기반 귀추, 선택적 귀추 5가지 유형을 나타냈다. 그리고 과학영재의 귀추적 추론의 하위 추론 과정은 과학자와 몇 가지 다른 특징을 보였다. 첫째, 과학자가 변인속성탐색 이후에 방법표상이나 설명자표상이 나타난데 비해, 과학영재는 방법표상 후에 변인속성탐색이 나타났다. 둘째, 과학자는 논리-기반 귀추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고, 과학영재는 관찰-기반 귀추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셋째, 과학자는 가설생성, 실험설계, 결과 해석 단계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귀추적 추론이 나타난 반면, 과학영재는 실험설계 위주로 추론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bductive reasoning on the inquiry of scientists and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 in scienc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eight scientists and eight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 in science studying in the Academy of Gifted Child Education in Scienc...

주제어

참고문헌 (65)

  1.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2000). 예비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29-42. 

  2. 권용주, 심해숙, 정진수, 박국태(2003).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4), 250-257. 

  3.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2002). 과학영재의 창의성, 환경, 그리고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3(3), 91-108. 

  4. 김무길(2010).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교육철학회, 48, 1-22. 

  5. 남철우, 송판섭, 한광래(1997). 초등학교 자연과 물질영역 보조실험의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1), 25-37. 

  6. 박경희, 권용주, 김수용, 이길재(2006). 뇌기능의 공동작용에서 나타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뇌파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15-424. 

  7. 박민정, 전동렬(2008). 과학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법으로써 교사 추천제 분석: 학생의 과학적 태도, 탐구력,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11-119. 

  8. 박순화, 고경태, 정진수, 권용주(2005). 생물학 탐구에서 학생들이 생성한 가설검증방법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30-238. 

  9. 박종원(1996). 학생의 선개념과 탐구기능이 전기 실험 결과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27-238. 

  10. 박종원(2001). 학생의 과학적 설명가설의 생성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609-621. 

  11. 박준호(2005). 퍼스의 가추와 가설의 방법. 범한철학, 37, 65-85. 

  12.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22-131. 

  13. 송진웅, 조숙경 역(1995). 과학적 발견의 패턴. 민음사. pp. 117-149. (원전: Hanson, N. R. (1958). Patterns of discovery. Cambridge: Cambridg University Press) 

  14. 양태연,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2003).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15. 양일호, 권용주, 김영신, 장명덕, 정진우, 박국태 (2002). 학생들의 사전 지식이 밀도과제의 과학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14-335. 

  16. 양일호, 허명, 오창호, 황신영, 정진수, 권용주 (2006). Charles Darwin의 자서전에 나타난 사고 과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53-71. 

  17. 연희원(1988). 퍼스의 상정 논법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21, 177-213. 

  18. 오준영, 김상수, 강용희(2008). 귀추 추리 전략을 통한 과학영재를 위한 창의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786-795. 

  19. 오필석, 김찬종(2005).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610-623. 

  20. 윤혜경, 박승재(1999). 확장적 과학 탐구 활동에서 중학생의 인지적 참여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84-695. 

  21. 이봉재(1992). 과학적 실재론과 설명의 문제. 철학연구, 31(0), 184-203. 

  22.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징.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23. 이혜정, 양일호, 권용주(2008). 생물학자의 지식 생성 과정에서 나타난 귀추적 사고.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2), 189-202. 

  24. 조석희(2000). 영재교육 중장기 종합발전방안. 교육개발, 124, 138-147. 

  25. 정용재, 송진웅(2006). 퍼스의 귀추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과학교육적 함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26(6), 703-722. 

  26. 조인래(2001).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유추. 철학연구회, 54(1), 375-404. 

  27. 조현준, 정선희, 양일호(2008). 과학자의 과학적 탐구과정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 분석틀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9(7), 586-601. 

  28. 조현준(2009). 천문학자의 연구 과정과 추론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9. 정상모(1997). 과학적 발견의 질문(대화)법적 논리. 대한철학회지, 421-446. 

  30. 정진수, 원희정, 권용주(2005). 과학적 가설의 생성력 향상을 위한 삼원귀추모형의 적용. 한구과학교육학회지, 25, 595-602. 

  31. 황희숙, 오민주, 윤소정(2006).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사고양식의 관계 비교. 열린교육연구, 14(3), 149-172. 

  32. 홍미영(2002).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의 탐구 및 본성 영역에서의 국제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36-344. 

  33. 황성원, 박승재(2001). 전기와 자기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제 유형에 따른 탐구 수행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1(2), 255-263. 

  34. Baral, C. (2000). Abductive reasoning through filt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120, 1-28. 

  35. Blake, A. (2004). Helping young children to see what is relevant and why: supporting cognitive change in earth science using ana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5), 1855-1873. 

  36. Blanchette, I., & Dunbar, K. (2000). How analogies are generated: The roles of structural and superficial similarity. Memory & Cognition, 29, 730-735. 

  37. Chin, C. (2003). Success with investigations success with investigations. The Science Teacher, 70(2), 34-40. 

  38. Chinn, C. A., & Brewer, W. F. (1993).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Knowledge Acquisiton: A theoretical framework and implications for science inst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1), 1-49. 

  39. Chinn, C. A., & Brewer, W. F. (1996). Mental Models in Data Interpretation. Philosophy of Science, 63, 211-219. 

  40. Fischer, H. R. (2001).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making. Foundations of Science, special issue on "The Impact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Science", edited by A. Regler, 6(4), 361-383. 

  41. Gorman, M. E., Tweney, R. D., Gooding, D. C., Kincannon, A. P. (2004).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hink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2. Gott, R., & Mashiter, J. (1991). Practical Work in Science-A task-based approach? In B. E. Woolrough(ed). Practical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43. Harman, G. (1965). The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Philosophical Review, 64, 88-95. 

  44. Hempel. C. G., & Openheim, P. (1948). Studies in the Logic of Explanation. Philosophy of Science, 15(2), 135-175. 

  45. Hoffmann, M. (1999). Problems with Peirce' s concept of Abduction. Foundations of Science, 4, 271-305. 

  46. Klahr, D., & Dunbar, K. (1988). Dual Search space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48. 

  47. Kuhn, D. (1993). Science as Argument :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Thinking. Science Education, 77(3), 319-337. 

  48. Kuhn, D., Black, J., Keselman, A., & Kaplan, D. (2000).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s to support Inquiry Learning. Congnition and Instruction, 18(4), 495-523. 

  49.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CA, USA, p. 624. 

  50. Leake, D. B. (1995). Abduction, Experience, and Goals: A Model of Everyday Abductive Explanation, The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rtificial Intelligence, 1-25. 

  51. Lipton, P. (1991).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Philosophical issues in science. 1-108. 

  52. Magnani, L. (2001). Abduction, Reason, and Science. Kluwer Academic. pp. 15-38, 71-77. 

  53. Magnani, L. (2007). Abduction and chance discovery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based and Intelligent Engineering Systems, 11, 273-279. 

  54. Minnarmeier, G. (2002). Peirce-Suit of Truth : Why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and Abduction Are Not the same and How This Relates to Current Debates in Philosophy of science and Epistemology. Jahannes Grutenberg University. pp. 1-29. 

  55. Minnarmeier, G. (2004). Peirce-Suit of truth: Why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and abduction ought no to be confused. Erkenntnis, 60, 75-105. 

  56. Nersessian, N. J. (1992). How do scientists think? Capturing the dynamics of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In Giere, R. N. (Ed.), Cognitive Models of Science.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5-22. 

  57. Park, J. (2006). Modelling Analysis of Students'Processes of Generating Scientific Explanatory Hypothe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5), 469-489. 

  58. Reiff, R., Harwood, W. S., & Phillipson, T. (2002). A scientific method based upon research scientists'conception of scientific inquiry. Paper presented at the AETS, Charlotte, NC. 

  59. Roth, W. (1994). Experimenting in a constructivist high school physics labora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97-223. 

  60. Russ, R. S., Scherr, R. E., Hammer, D., & Mikeska, J. (2008). Recognizing Mechanistic Reasoning in Student Scientific Inquiry: A Framework for Discourse Analysis Developed From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92(3), 499-525. 

  61. Thagard, P. (1988). Computational Philosophy of Science. The MIT Press. pp. 52-64. 

  62. van Someren, M. W., Barnard, Y. F., & Sandberg, J. A. (1994). The Think Aloud Method : A practical guide to modelling cognitive processes. Academic Press, London, pp. 1-12. 

  63. Yang, I. H. (2003). A Study on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in Solving Pendulum Task.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4), 430-441. 

  64. Yang, I. H., Oh, C. H., & Cho. H. J. (2007).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inquiry process model based on scientists'practical work.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 724-742. 

  65. Zimmerman, C. (2000).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Developmental Review, 20, 99-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