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기회발굴시스템의 기능 및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Function and Economic Effect of Technology Opportunity Development System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4 no.spc, 2011년, pp.1096 - 1127  

이우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김강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고병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TOD 시스템이 가져오는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 신규시장창출, 연구기획비용절감, 사업화 성공률 증대효과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시스템 개발이 가져오는 효율성 제고라는 측면을 강조하여 패러미터들을 도출하고 시뮬레이션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나리오별로 (1) TOD 시스템 적용비율이 해당부문 R&D 기획과제의 1.4%라고 가정한 경우 R&D 기여율을 적용한 경제적 파급효과 편익의 총합은 2011년 가격기준으로 921.3억원으로 도출되며 연구개발 투입비용(2012-2017년까지 6년간 30억원이 투자되며 2011년 현재가치로는 149.9억원이 투입)을 감안하면 B/C ratio는 6.15으로 도출된다. 시나리오 (2) TOD 시스템 적용비율이 1.9%라고 가정한 경우 경제적 편익의 총합은 1,250.3억원, B/C ratio는 8.34, 시나리오 (3) TOD 시스템 적용비율이 0.9%라고 가정한 경우 경제적 편익은 592.2억원, B/C ratio는 3.95가 도출된다. 본 연구는 기술기회 탐색에 대한 새로운 시스템 개발이 가지는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사전적 타당성을 점검하였고, 시스템 관점에서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평가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사례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focus on estimating the economic effects of TOD system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new market creation, R&D planning cost reduction and increase of R&D projects' commercialization success rates. The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simulation and scenario analysis with assump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맞추어서 시스템화되고, 수요자의 니즈에 부합되는 기술기회발굴 체제를 정립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가 확대되고 있는 TOD 시스템의 개념 및 기능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러한 TOD 시스템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기획 분야에 도입되었을 때에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서 사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추정하는 것이 주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TOD 시스템이라고 하는 일종의 기술인텔리전스 관련 시스템이 가져올 수 있는 연구개발투자의 편익을 산출하는 분야에 대하여 기존에 행정적 편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개발기획의 효과성을 높임으로 가져올 수 있는 연구개발투자의 궁극적인 부가가치창출 효과에 대하여 새로운 경제적 평가 방법론을 모색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구개발투자 기획의 효율성과 연구개발투자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TOD 시스템 개발이 가져오는 경제적 효과에 대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이러한 연구개발투자의 경로와 파급효과 규모를 산출하고자 한다.
  • 대기업에서의 연구기획에 투입되는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우리나라 조사자료가 없는 상황이지만 해외의 문건에서 이들에 대한 패러미터를 도출하고자 한다.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개발단계별 R&D 투입비용에 대한 조사에서는 초기 스크리닝, 기초시장평가, 기초기술평가 단계 등 13단계의 R&D 기획활동 가운데 3단계가 정보분석활동과 연관있는 기술기획 활동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이들 단계에 투입되는 연구개발비용의 비율은 10.
  • 이러한 관점에서 기술기획에서 보다 빨리, 보다 정확하고, 보다 파급효과가 높으며, 성공가능성이 높은 기술기회를 포착하도록 하는 초기 단계의 탐색은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탑재한 TOD 시스템은 이러한 기술기회의 포착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주기적으로 이러한 기술기회 탐색을 정례화할 수 있으면서 기술기회탐색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하나의 목표라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기회발굴을 위한 TOD 시스템 연구개발투자가 가져오는 경제적 효과에 대하여 경제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맞추어서 시스템화되고, 수요자의 니즈에 부합되는 기술기회발굴 체제를 정립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가 확대되고 있는 TOD 시스템의 개념 및 기능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러한 TOD 시스템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기획 분야에 도입되었을 때에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서 사전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추정하는 것이 주 목적이라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TOD 시스템이라고 하는 일종의 기술인텔리전스 관련 시스템이 가져올 수 있는 연구개발투자의 편익을 산출하는 분야에 대하여 기존에 행정적 편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연구개발기획의 효과성을 높임으로 가져올 수 있는 연구개발투자의 궁극적인 부가가치창출 효과에 대하여 새로운 경제적 평가 방법론을 모색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구개발투자 기획의 효율성과 연구개발투자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TOD 시스템 개발이 가져오는 경제적 효과에 대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이러한 연구개발투자의 경로와 파급효과 규모를 산출하고자 한다.
  • 해당 연구에서 분석한 ‘국가환경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은 이를 통해 환경부 내의 30개 환경정보시스템을 포함하여 시스템을 ITA관점에서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관련 기관의 기존 환경정보시스템과의 상호 연계성을 제고하며, 대국민 환경행정서비스를 논스톱, 원스톱,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선진화된 환경정보서비스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가설 설정

  • 4%, 2) 1.9%, 3) 0.9%의 3가지 비율로서 전체 연구책임자의 연구기획시에 TOD 시스템을 활용할 비율을 가정하여 산출한다. 위의 비율은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전체에 대한 가정이며 위에서 적용된 정보분석을 활용하는 비율, 정보분석에 있어서 시스템을 활용한 비율들을 감안해 주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해야 하는 비율들이다.
  • 발간물마다 다운로드에 있어서 연구자의 중복 다운로드가 있을 수 있으나 1건의 다운로드당 해당 연구소에서 관련 연구 기획 담당자가 1번 다운로드하여 1건의 다운로드당 한 개의 연구책임자가 해당된다고 가정하였다. TOD 시스템을 대기업, 중소기업, 공공부문에서 어느 정도 활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TOD 시스템을 각각의 부문에 있어서 연간 연구개발비용의 기획부문의 정보분석활동에서의 시스템 활용비용 만큼 활용한다고 가정할 때 위의 GTB 다운로드 건수가 TOD 시스템을 적용하는 기업이나 연구소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1,043개의 연구책임자가 TOD 시스템을 향후 활용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 캐나다에서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구기획 강화를 통해 R&D 성공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는데 캐나다 CIC(Canadian International Council)에서는 연구기획 강화를 통해 연구개발과제의 상업화 성공가능성을 250% 제고하고, 동시에 시간을 25% 단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라고 KISTI(2006)에서 인용하고 있다. 따라서 TOD 시스템 도입에 따른 연구기획과정상의 효율성 증대와 비용절감 효과를 시간단축효과인 25%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전체적인 연구기획비용이 25%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따라서 기술기획과 관련이 있는 연구개발투입비용의 비율에 관한 패러미터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경우에는 전체 연구개발비의 2%, 대기업 연구개발비의 10.6%, 중소기업 연구개발비의 10.6%가 정보분석활동과 관련이 있는 초기 3단계의 연구기획활동과 연관이 있다고 가정한다.
  • TOD 시스템을 대기업, 중소기업, 공공부문에서 어느 정도 활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TOD 시스템을 각각의 부문에 있어서 연간 연구개발비용의 기획부문의 정보분석활동에서의 시스템 활용비용 만큼 활용한다고 가정할 때 위의 GTB 다운로드 건수가 TOD 시스템을 적용하는 기업이나 연구소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평균 1,043개의 연구책임자가 TOD 시스템을 향후 활용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나리오는 GTB가 단순한 해외기술동향에 대한 분석정보컨텐츠라는 점, 이에 반해 TOD 시스템의 경우 기술기회와 기술맵 등 종합적인 정보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용도에 있어서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 다운로드건수 상위 25%의 평균 다운로드 건수는 1,569건, 10%는 2,138건, 상위 5%는 2,820건, 상위 1%는 5,974건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다. 발간물마다 다운로드에 있어서 연구자의 중복 다운로드가 있을 수 있으나 1건의 다운로드당 해당 연구소에서 관련 연구 기획 담당자가 1번 다운로드하여 1건의 다운로드당 한 개의 연구책임자가 해당된다고 가정하였다. TOD 시스템을 대기업, 중소기업, 공공부문에서 어느 정도 활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TOD 시스템을 각각의 부문에 있어서 연간 연구개발비용의 기획부문의 정보분석활동에서의 시스템 활용비용 만큼 활용한다고 가정할 때 위의 GTB 다운로드 건수가 TOD 시스템을 적용하는 기업이나 연구소라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TOD 기술기회발굴 시스템이 적용되는 산업분야가 제조업 전반에 걸쳐있다는 점에서 제조업의 R&D수익률을 추정한 최근 연구인 배용호 외(2008)의 연구에 기반하여 R&D 투자의 연간수익률을 33.1%로 가정한다.
  • 2% 상승할 것으로 가정한다. 추가적인 사업화 성공률 증대 기업들의 비율들 가운데서도 실제 기술/시장분석 실패요인이 해결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사업화 과정에는 다른 변수들로 인하여 사업화가 실패할 수 있어서 이들 추가적인 사업화 성공기업들도 산업기술개발사업의 평균적인 사업화 성공률을 다시 따른다고 가정하여 적용한다.
  • 해당 3개 단계의 연구기획활동들 가운데 시스템을 활용한 정보분석활동의 비율에 대해서 Porter는 정보분석활동이 기술기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분야별로 30-90%에 달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기술예측, 기술 모니터링, 경쟁기술정보, 기술예보, 기술로드맵 등 TOD 시스템과 연관있는 분야들에서의 평균적인 정보분석활동의 비율은 56%인 것으로 나타나며 3단계 기획단계 가운데 정보분석활동의 비율은 56%인 것으로 가정한다(KISTI, 2006).
  • 1%로 가정한다. 해당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술수명주기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의 기술수명주기가 5-6년인 것을 감안하여 6년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사회적 할인율인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술개발을 정확하게 파악해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리기 위해 강조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기술개발의 잠재적인 기회와 위험요소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리기 위해 기술 추세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 예측, 기술 평가 등을 자동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기술 인텔리전스1)의 중요성은 날로 강조되고 있다(Lichtenthaler, 2007). 기술 인텔리전스는 급진적 기술혁신에 있어 실패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인이지만, Ashton et al.
기술 인텔리전스 활동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무엇인가? 기술기회발굴(Technology Opportunity Development : TOD) 활동은 이처럼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기술 인텔리전스 활동의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볼 수 있다. Lichtenthaler(2004) 역시 기술인텔리전스 활동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기술특성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회창출의 정도를 규명하는 것이라 지적하고 있다.
TOD 활동의 전제인 기술 인텔리전스 활동이란 어떠한 개념을 내포하고있나? TOD 활동은 기술 인텔리전스 활동을 전제로 한다. 기술인텔리전스는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ess intelligence), 경쟁적 인텔리전스(Competitive intelligence) 등과 동등하고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는 한편(Savioz et al., 2003), Mortara et al.(2009)의 연구에서는 기술 인텔리전스의 하부요소로서의(좁은 의미의) 기술인텔리전스, 경쟁적 인텔리전스, 그리고 시장 인텔리전스(Market intelligence)를 상정하고 있다. 의사 결정자는 이러한 넓은 의미의 기술 인텔리전스 활동의 결과를 활용하여 사업개발 및 기술개발 관련 의사결정을 수행하며, 기술의 기회를 인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