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이 노인여성의 신체조성과 체력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elderly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2, 2011년, pp.805 - 812  

강선희 (공주대학교 의무기록 정보학과) ,  한건수 (충남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로 실시되는 12주간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하여 노인 여성들의 신체조성 및 기능적 체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들은 U경로당에 정기적으로 출입하는 70세 이상 노인 여성 중에 실험의 취지를 알고 자발적 참여의사를 가진 24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4명을 무선할당 방법을 통해 두 개의 운동집단인 고강도 저항성 운동 집단 (High intensity resistance group, n=8), 저강도 저항성 운동 집단(Low intensity resistance group, n=8) 그리고 비교군 (Control group, n=8)으로 나누었다. 운동집단은 12주간의 고강도 및 저강도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군은 12주간 어떠한 운동에도 참가하지 못하도록 제한하였다. 연구결과, 12주간 실시된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은 근력과 민첩성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은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평형성 및 심폐능력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종합해보면 정기적인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은 노인 여성들의 체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운동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over the past years, but most of the population has developed chronic diseases and handicaps due to aging.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but it is unclear whether body compo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정기적인 저항성 운동 참가는 노인여성들의 신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정기적인 저항성 운동 참가는 노인 여성들의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따라서,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오래살 수 있느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하나의 방법이 규칙적이고 정기적인 신체활동 및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강도 저항성 운동을 통해 노화로 현저하게 감소하는 근력과 심폐능력을 개선시키고 낙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민첩성과 평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심혈관질환 등 각종 성인병의 근원인 비만 예방을 위한 이상적인 신체조성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노인들이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계획되었다.
  • 하지만 국내에서는 고강도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들의 신체 기능 및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로 실시되는 12주간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하여 노인 여성들의 신체조성 및 기능적 체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적인 저항성 운동 참가는 노인여성들의 신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정기적인 저항성 운동 참가는 노인 여성들의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여성들에게 고강도로 실시되는 12주간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수행하게 하는 이번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적인 저항성 운동 참가는 노인여성들의 신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둘째, 정기적인 저항성 운동 참가는 노인 여성들의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8%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1].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들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무엇보다도 건강한 삶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노인들은 과거에 비해 장수하고 있지만 노화 및 만성질환으로 인해 겪는 신체적 장애는 노인들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
노인들의 적극적인 신체활동은 어떤 것을 야기시키는가? 노인들의 건강을 위해 노인 스스로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야한다[3]. 노인들의 적극적인 신체활동은 체력을 향상시키고[4] 각종 질병의 위험 수준을 낮추며[5] 최종적으로 수명을 연장시킨다고 하였다[6,7]. 이렇듯 노년기의 신체활동은 건강한 삶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사회적, 환경적, 그리고 경제적 제한 요소들로 인해 대부분의 노인들이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통계청, "2006 고령화 통계자료", 2006. 

  2. Kramarow, E., Lentzner, H., Rooks, R., Weeks, J., and Saydah, S, "Health and aging chartbook : Health, United State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999. 

  3. Daley, M. J, "Exercise, mobility and aging", Sport Medicine, Vol. 29, No. 1, pp. 1-12, 2000. 

  4. Keysor, J. J, "Have we oversold the benefits of late-life exercise?",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Vol. 56, pp. M412-M423, 2001. 

  5. Prohaska, T., Belansky, E., Belza, B., Buchner, D.,Marshall, V., McTigue, K., Satariano, W., and Wilcox, Sl, "Physical activity, public health, and aging: Critical issue and research prioritie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 61, pp. S267-S273, 2006. 

  6. Gregg, E. W., Cauley, J. A., Stone, K., Thompson, T. J., Bauer, D. C., Cmmings, S. R., and Ensrud, K. E, "Relationship of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nd mortality among older wome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89, pp. 2379-2386. 2003. 

  7. Gregg, E. W., Cauley, J. A., Stone, K., Thompson, T. J., Bauer, D. C., Cmmings, S. R., and Ensrud, K. E, "Relationship of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nd mortality among older wome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89, pp. 2379-2386. 2003. 

  8.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Health, United States, 2006 with chartbooks on trends in the health of Americans", 2006. 

  9. Jones, D. A., Ainsworth, B. E., Croft, J. B., Macera, C. A., Lloyd, E. E., and Yusuf, H. R, "Moderate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Who is meeting the public health recommendations? A national cross-sectional study", Archives of Family Medicine, Vol. 7, pp. 285-289, 1998. 

  10. Fiatarone, M. A., Marks, E. C., Meredith, C. N., Lipsitz, L. A., and Evans, W. J, "High-intensity strength training in nonagenarian: Effects on skeletal muscle ".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63, pp. 3029-3034, 1990. 

  11. Jenkins, K. R, "Obesity's effect on the onset of functional impairment among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Vol. 44, No. 2, pp.206-216, 2004. 

  12. 김창규, 이운용, 배윤정, "한국노인의 체력요인별 평가 기준치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4호. pp. 453-466, 2000. 

  13. Jessup, J. V., Horne, C., Vishen, R. K., and Wheeler, D, "Effects of exercise on bone density, balance, and self-efficacy in older women",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Vol. 4, No. 3, pp. 171-180, 2003. 

  14. 이인학, 김미란, 민경은, "등산이 60대 노인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0권, 제1 호, pp.67-74, 1998. 

  15. 한윤수, 이선장, "8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농촌 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제 16권, 제4호, pp. 313-318, 2008. 

  16. 옥정석, 박우영, "노인들의 운동습관이 감각조절 및 운동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9권, 제1호, pp. 49-58, 2010. 

  17. 오상덕, "노인들의 장기간 유산소 운동 참여가 면역물 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4권, 제1호, pp. 77-85, 2005. 

  18. 이석준. "16주간의 저항운동이 노인의 체력 및 평형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제177권, 제3호, pp. 519-528, 2006. 

  19. Latham, N. K, "Systematic review of the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n older adults", The Journal of Gerontology, Vol. 59A, No. 1, pp. M48-M61, 2004. 

  20. Fiararone, M. A., O'Neill, E. F., Ryan, N. D., Clements, K. M., Solares, G. R., Nelson, M. E., Roberts, S. B., Kehayias, J. J., Lipsitz, L. A., and Evans, W. J, "Exercise training and nutritional supplementation for physical frailty in very elderly peopl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30, No. 25, pp. 1769-1775. 1994. 

  21. Rikli, R. E., and Jones, C.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ctional fitness test for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 7, pp. 129-161, 1999. 

  22. Berg, K. O., Wood-Dauphinee, S. L., Williams, J. I., and Maki, B,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83, pp. S7-S11, 1992. 

  23. Kuramoto, A. K., and Payne, V. G, "Predicting muscular strength in women: A preliminary study",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 Sport, Vol. 66, pp. 168-172, 1995. 

  24. Hughes, T. R., Mao, M., Jones, A. R., Burchard, J., Marton, M. J., Shannon, K. W., Lefkowitz, S. M., Ziman, M., Schelter, J. M., Meyer, M. R., Kobayashi, S., Davis, C., Dai, H., He, Y. D., Stephaniants, S. B., Cavet, G., Walker, W. L., West, A., Coffey, E., Shoemaker, D. D., Stoughton, R., Blanchard, A. P., Friend, S. H., and Linsley, P. S, "Expression profiling using microarrays fabricated by an ink-jet oligonucleotide synthesizer", Nature Biotechnology, Vol. 19, No. 4, pp. 342-347, 2001. 

  25. Joseph, L. J., Davey, S. L., Evans, W. J., and Campbell, W. W, "Differential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and lipoprotein-lipid profile of older men and women", Metabolism, Vol. 48, No. 11, pp. 1474-1480, 1999. 

  26. Vincent, K. R., Braith, R. W., Feldman, R. A., Magyari, P. M., Culter, R. B., Persin, S. A., Lennon, S. L., Gabr, A. H., and Lowenthal, D. T, "Resistance exercise and physical performance in adults aged 60 to 83",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Vol. 50, pp. 1100-1107, 2002. 

  27. DiBrezzo, R., Shadden, B. B., Raybon, B. H., and Powers, M, "Exercise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 13, pp. 198-209, 1999. 

  28. Weiss, A., Suzuki, t., Bean, J., and Fielding, R. A,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 Vol. 79, No. 4, pp. 369-376, 2000. 

  29. Binder, E. F., Schechtman, K. B., Ehsani, A. A., Steger-May, K., Brown, M., Sinacore, D. R., Yarasheski, K. E., and Holloszy, J. O,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50, pp. 1921-1928, 2002. 

  30. Martins, R. A., Verissimo, M. T., Coelho e Silva, M. J., Cumming, S. P., and Teixeira, A. M, "Effects of aerobic and strength-based training on metabolic health indicators in older adults", Lipids in Health and Disease, Vol. 9, pp. 76-81, 2010. 

  31. Binder, E. F., Yarasheski, K. E., Steger-May, K., Sinacore, D. R., Brown, M., Schechtman, K. B., and Holloszy, J. O, "Effects of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in frail older adults: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re Journal of Gerontology, Vol. 60A, No. 11, pp. M1425-M1431, 2005. 

  32. Nichols, J. F., Omizo, D. K., Peterson, K. K., and Nelson, K. P, "Efficacy of heavy-resistance training for active women over sixty: Muscular strength, body composition, and program adherenc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41, pp. 205-210, 1999. 

  33. Hunter, G. R., Bryan, D. R., Wetzstein, C. J., Zuckerman, P. A., and Bamman, M. M, "Resistance training an intra-abdominal adipose tissue in older men and women",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34, No. 6, pp. 1023-102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