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공에 따른 해부학 가상강의의 자기평가요인, 가상강의실 활용도,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비교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Factor, Satisfaction, Utilization Frequ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Anatomical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 2011년, pp.281 - 287  

김광환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  김지희 (강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이영일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박정현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해부학교실)

초록

해부학 교육에 있어 가상강의 방식을 활용하는 것은 학문적 특성에 부합되는 교육방식이다. 본 연구는 해부학 교육의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서, 가상강의의 도입 및 확대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자체개발한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를 바탕으로 2007-2009년 3년 동안 간호학과 및 스포츠과학부 학생들에게 가상강의를 실시하였다. 강의 종료후, 수강학생 중 총 231명을 대상으로 가상강의실 게시판 및 컨텐츠 활용 빈도, 개별 설문조사, 학업성취도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평가요인, 가상강의실 활용도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전공의 구분 없이 모두 만족도, 난이도, 흥미도, 전공연계성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가상강의실 이용의 편의성 및 과제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로그인 횟수와 게시판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았다. 학업성취도는 학과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가상강의실의 로그인 횟수와의 상관관계(r=0.246, p<0.01, 간호학과; r=0.234, p<0.05 스포츠과학부)는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자기평가요인은 간호학과의 경우 난이도(r=0.218, p<0.01)였으며, 스포츠과학부는 만족도, 난이도, 흥미도 등(r=0.499, p<0.05)이었다. 따라서 해부학 가상강의는 해부학 강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공 분야의 학생들의 교육 수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부족한 해부학 전공 강의요원들의 교육 부담을 경감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지속적인 컨텐츠 개발과 운영 효율성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atomical education, cyber class has been studied as a strong strategy coincided with academic characterestic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factors, use of cyber classroo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ealth allied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과목을 수강한 2개 학과 231명을 대상으로 가상강의실 게시판 및 컨텐츠 활용 빈도, 개별 설문조사, 학업성취도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평가요인, 가상강의실 활용도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부학 교육의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서, 가상강의의 도입 및 확대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가상강의에 대한 학생참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강의기간 동안 가상강의실 로그인 횟수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가상강의에 대한 자기평가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해부학 최종 성적을 확보하였다.
  • 해부학 과목이 전공필수로 포함되어 있는 강원대학교 2개 학과(간호학과, 스포츠과학부) 전공자들을 위한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를 개발하고 정규교육과정에 도입한 후 2007-2009년 동안 강의 종료 후 학생들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가상강의실 활용 정도, 학업 성취도를 바탕으로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부학 전공 교수 부족으로 인한 교육의 질적 저하를 막고, 학부 전공자들에 대한 교육 효과를 극대화함과 아울러 교원들의 강의부담 경감과 연구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 가상강의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부학에서 중요한 것은? 해부학 교육에 있어 가상강의 방식을 활용하는 것은 학문적 특성에 부합되는 교육방식이다. 해부학은 맨눈으로 관찰되는 장기에서부터 현미경에 나타나는 미세구조에 이르기까지 3차원적 인체구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인식하여 최근에는 해부학 교육을 위하여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혹은 고화질의 이미지 자료들이 개발되고 있다[8, 9].
가상강의의 장점은? 가상강의는 온라인 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나 접근가능하고, 컨텐츠 개발에 있어 첨단 기술과 풍부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학습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학습방식이다. 이와 같은 새로운 학습방식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는 학교뿐만 아니라 기업체들도 가상강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적극 활용하는 계기가 되었다[1,2].
첨단 학습 자료과 강상강의 방식의 접목으로 해부학의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해부학의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이와 같은 첨단 학습 자료와 가상강의 방식의 교육과 조화롭게 접목한다면 학생들 스스로 충분한 자율학습 혹은 심화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우수한 강의 컨텐츠와 최신 학습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고, 학습자가 가상강의를 통한 자기 주도형 학습방식으로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인식 전환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상수, 강정찬, 이인자, 황주연, 이유나 : 기관내 무료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1권, 4호, pp. 229-254, 2005. 

  2. 오인경 : Blended Learning의 실시 현황 분석: 국내 현황 및 외국과의 비교. 기업교육연구, 제6권, 1호, pp. 41-62, 2004. 

  3. 노승무 : 인터넷을 이용한 대학원 강의. 한국의학교육, 제12권, 1호, pp. 35-43, 2000. 

  4. 노승무 : 의학교육에서 가상강의의 효과. 한국의학교육, 제14권, 1호, pp. 61-71, 2002. 

  5. 신좌섭, 임민식, 김석화 : 온라인 의학연수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견해와 학습효과. 대한의료정보학회지, 제10권, 1호, pp. 79-90, 2004. 

  6. Autti T, Autti H, Vehmas T, Laitalainen V, Kivisaari L : E-learning is a well-accepted tool in supplementary training among medical doctors: an experience of obligatory radiation protection training in healthcare. Acta Radiol 48(5), pp. 508-513, 2007. 

  7. 김석화, 신좌섭 : 국내 의과대학의 e-learning 운영 실태. 한국의학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권, pp. 41-52, 2006. 

  8. Drake RL : Anatomy education in a changing medical curriculum. Anat Rec (New Anat) 253, pp. 28-31, 1998. 

  9. Bacro T, Gilbertson B, Coultas J : Web-delivery of anatomy video clips using CD-ROM. Anat Rec 281(2), pp. 78-82, 2002. 

  10. Paalman MH : New frontier in anatomy education. Anat Rec 261, pp. 47, 2000. 

  11. Nieder GL, Nagy F : Analysis of medical students' use of web-based resources for a gross anatomy and embryology course. Clin Anat 15(6), pp. 409-418, 2002. 

  12. 김지희, 문태영, 이영미, 박경한, 김대중, 한장희, 김 찬웅, 박정현 : 건강-보건-의료 관련 전공자를 위한 기초의학 통합강의의 적용. 한국의학교육, 제19권, 4호, pp. 295-304, 2007. 

  13. 박진서, 정민석 : 해부학 강의 동영상을 녹화하고 편집하고 퍼뜨리기. 대한해부학회지, 제39권, 1호, pp. 17-25, 2006. 

  14. 김하균, 박철형, 배수원, 송동효, 조용석 :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관계품질, 그리고 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9권, 6호, pp. 3029-3046, 2007. 

  15. 박정현, 이영일 : 의과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조직학 및 신경해부학 가상강의 (cyber lecture)의 적용 및 효과분석. 대한체질인류학회, 제21권, 3호, pp. 255-265, 2008. 

  16. Schifter CC : Faculty motivators and inhibitors for participation in distanc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2), pp. 43-46, 2000. 

  17. Sajeva M : E-learning: Web-based education. Curr Opin Anethaesiol 19, pp. 645-649, 2006. 

  18. Kim S, Lee SJ, Choi CJ, Hur YR.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kills of pre-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8(2), pp. 171-182, 2006. 

  19. Aziz MA, McKenzie JC, Wilson JS, Cowie RJ, Ayeni SA, Dunn BK : The human cadaver in the age of biomedical informatics. Anat Rec 269(1), pp. 20-32, 2002. 

  20. Kim S, Brinkely JF, Rosse C : Profile of online anatomy information resources: design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Clin Anat 16, pp. 55-71, 2003. 

  21. Neuhauser C : Learning style and effectiveness of online and face-to-face instruc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6(2), pp. 99-114, 2002. 

  22. 이인숙 :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8권, 2호, pp. 51-67, 2002. 

  23. 나일주, 한안나 :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의 e-learning 인식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8권, 2 호, pp. 115-134, 2002. 

  24. Pereira JA, Pleguezuelos E, Meri A, Molina-Ros A, Molina-Tomas MC, Masdeu C : Effectiveness of using blended learning strate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human anatomy. Med Educ 41, pp. 189-195,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