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의 연하장애 유무와 양상
Presence and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in stroke patien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gi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 2011년, pp.294 - 300  

신중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재활센터) ,  감경윤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FIRST연구사업단, 고령자라이프리디자인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에서 연하장애의 유무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P 재활의학병원을 내원한 뇌졸중 환자들 중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11명의 환자(남자 4명, 여자 7명)들을 최종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조사,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 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neuro- 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뇌졸중 환자들 중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환자들은 모두 연하장애를 동반하였다. 동반되는 연하장애의 양상으로는 구강기의 문제들과 인두기의 삼킴반사 지연이 있으며 인지적 특성에 있어서는 NCSE 항목 중 구성력, 기억력, 유사성이 다른 항목들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와 NCSE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남력과 판단력이 삼킴반사 지연과 언어이해가 구강 내 식괴의 잔여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이 연하장애를 가질확률이 높다. 따라서 연하장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작업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뇌졸중 환자들에게 조기에 연하장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sence of dysphagia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symptoms in cerebrovascular accident(CVA) patients without awareness of dysphagia.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given to CVA patients who had visited P rehabilitation medical center in Busan. El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있어 연하장애의 유무와 양상을 분석하고 인지적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연하장애 환자에 대한 조기치료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한 조기 평가와 치료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어떤 병인가? 뇌졸중은 뇌의 주요영역의 어려움과 관련된 징후와 증상들과 함께 혈관조직의 원인으로 인한 급성 신경학적 장애이다[1].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4년 동안 뇌졸중은 우리나라 인구의 사망원인에서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은 뇌혈관질환에서 특정 질환 중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뇌졸중은 뇌병변 부위에 따라 어떤 장애를 수반하는가?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4년 동안 뇌졸중은 우리나라 인구의 사망원인에서 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뇌졸중은 뇌혈관질환에서 특정 질환 중 사망원인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 뇌졸중은 뇌 병변의 부위에 따라 운동장애, 연하장애, 감각과 인식장애, 행동적 문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장애를 수반한다[3].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에서 연하장애의 유무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하기 위해 대상은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연하장애에 대한 병식이 없는 뇌졸중 환자들에서 연하장애의 유무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P 재활의학병원을 내원한 뇌졸중 환자들 중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병식이 없다고 응답한 11명의 환자(남자 4명, 여자 7명)들을 최종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 조사,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 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neuro- 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Geneva: the Organization, 1980.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6. 

  3. Miyai, I., Blau A. D., Reding, M. J., & Volpe, T. B. "Patients with stroke confined to basal ganglia have diminished response to rehabilitation efforts", Neurology, vol 48, pp. 95-101, 1997. 

  4. Smithard, D. G., O'Neill, P. A., England, R. E., Park, C. L., Wyatt, R., & Martin D. F, "The natural history of dysphagia following a stroke", Dysphagia, vol 12, 188-193, 1997. 

  5. Barer, D. H, "The natural history and functional consequences of dysphagia after hemispheric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 52, pp. 236-241, 1989. 

  6. Daniels, S. K., Brailey K., Priestly D. H., Herrington L. R., Weisberg L. A., & Foundas A. L, "Aspiratio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vol 79, pp. 14-19, 1998. 

  7. Davis, J. P., Wong, A. A., Schluter, P. J., Henderson, R. D., O'Sullivan, J. D., & Read, S. J, "Impact of premorbid undernutrition on outcome in stroke patients", Stroke, vol 35, pp. 1930-1940, 2004. 

  8. Horner, J., & Massey, E. W, "Silent aspiration following stroke", Neurology, vol 38, pp. 317-319, 1988. 

  9. Boczko, F., & Feightner, K, "Dysphagia in the Older Adult The Role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vol 23 No 3, pp. 220-227, 2007. 

  10. Leopold, N. A., & Kagel, M. A, "Prepharyngeal dysphagia in Parkinson's disease", Dysphagia, vol 11, pp. 14-22, 1996. 

  11. Carnaby, G., Hankey, G. J., & Pizzi J, "Behavioural intervention for dysphagia in 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cet Neurol, vol 5, pp. 31-37, 2006. 

  12. 김수경,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 치료:사례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2호, pp. 135-142, 2002. 

  13. Ownsworth, T. & Clare, L. "The association between awareness deficits and rehabilitation outcome following acquired brain injury",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 26, No 6, pp. 783-795, 2006. 

  14. Prigatano, G. P., & Schacter, D. L. Awareness of deficit after brain injury: Clinical and theoretical issu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15. Hartman-Maier, A., Soroker, N., Ring, H., & Katz, N, "Awareness of deficits in stroke rehabilitation", J Rehabil Med, vol 34, pp. 158-164, 2002. 

  16. Ekstam, L., Uppgard, B., Kottorp, A., & Tham, K,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disa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during the first year after a strok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1, pp. 503-511, 2007. 

  17. Logemann, J. A., Kahrilas, P. J., Cheng, J., Pauloski, B. R., Gibbons, P. J., & Rademaker, A. W, "Closure mechanisms of laryngeal vestibule during swallow", Am J Physiol, vol 262, pp. 338-344, 1992. 

  18. Parker, C., Power, M., Hamdy, S., Bowen, A., Tyrrell, P., & Thompson, D. G, "Awareness of Dysphagia by Patients Following Stroke Predicts Swallowing Performance", Dysphagia, vol 19, pp. 28-35, 2004. 

  19. Logemann, J. A. Manual for the videofluoroscopic study swallowing (2nd ed). Austin, TX: PRO-ED. 1993 

  20. Logemann, J. A.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wallowing Disorders (2nd ed). SanDiego:College Hill Press. 1998. 

  21. Han, T. R., Paik, N. J., & Park, J. W, "Quantifying Swallowing Function After Stroke: A Functional Dysphagia Scale Based on Videofluoroscopic Studies", Arch Phys Med Rehabil, vol 82, No 5, pp. 677-682, 2001. 

  22. Kim, J. H., Lee, K. J., & Kim, S. J, "Electrical Stimulation on Suprahyoid Muscles of the Brain Injury Patients with Dysphagia", Korean J Stroke, vol 9, pp. 134-141, 2007. 

  23. Kiernan, R. J., Mueller, J., Langston, J. W., & Van Dyke, C,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 brief but differentiated approach to cognitive assessment", Ann Intern Med, vol 107, pp. 481-485, 1987. 

  24. McGlynn, S., & Schacter, D, "Unawareness of deficits in neuropsychological syndromes", J Clin Exp Neuropsychol, vol 11, pp. 143-205, 1989. 

  25. Tatemichi, T. K., Desmond, D. W., Stern, Y., Paik, M., Sano, M., & Bagiella, E, "Cognitive impairment after stroke: frequency, patterns, and relationship to functional abilitie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vol 57, pp. 202-207, 1994. 

  26. Mary, E. O., Sally, D. H., Marianne, R. F., Michael, D. W., Joseph J. R., & Scott W. S,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Accuracy of the "Screen-Metric" Approach in a Clinical Samp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53, No7, pp. 733-737, 1997. 

  27. 정원미, 최혜숙, 박금주, "뇌손상 환자의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 소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7권 1호, pp. 1-16, 1999. 

  28. 김창윤, 이광원, 박인호,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의 임상적용을 위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2권 6호, pp. 1329-1341, 1994. 

  29. 차정진, 이가영, "뇌손상 환자에 대한 한국판 Modified Mini-Mental State(3MS) Examination".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2호, pp. 1-13, 2002. 

  30. 정복희, 김정기,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에 대한 전기자극의 치료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1권 1호, pp. 23-29, 2007. 

  31. 정복희, "뇌졸중 환자에서 전기 자극 치료가 연하 기능 회복에 미치는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5권 1호, pp. 25-3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