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역세권의 TOD환경과 대중교통이용수요 관계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TOD Design Factors in Seoul subway adjacent area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3 no.4 = no.50, 2011년, pp.211 - 220  

문영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이 활발해지며, 역세권의 환경 변화를 통하여 국내의 대중교통 이용 증진을 시키기 위해서는 TOD 통합계획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역세권 유형과 이용수요에 관한 실증분석이 전제되어야 향후 계획수립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TOD의 대표적 요소인 Density, Diversity, Accessibility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 요인분석을 토대로 7개 영향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actor 1(Diversity/토지이용복합도 (LUM)), Factor 2(Density/개발밀도수준), Factor 3(Accessibility/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4(Design/가로설계수준), Factor 5(Gree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Design/지하철시설규모),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유형화되었다. (2) 요인-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역세권 승하차 인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Factor 1(Diversity : 토지이용복합도(LUM) 요인), Factor 3(Accessibility : 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2(Density : 개발밀도수준), Factor 5(Desig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지하철시설규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세권의 승하차 인원에 부정적(-) 영향은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하철과 버스의 배차간격이 증가할 경우 이용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has recently been active, which presents that TOD planning elements should be comprehensive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enhance domestic transit ridership by changing environments in rail station areas an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type of rail st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OD 계획 요소를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대표적인 문헌연구를 검토하였다. 국외의 대표연구인 Ewing & Cervero(2001)는 TOD와 관련된 50개 실증 문헌 고찰을 통해 설정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내의 지하철 역세권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TOD 계획특성인 Density(개발특성 : 연상면적, Open Space 면적, 순개발밀도 등), Diversity(주거, 상업, 업무 등에 대한 토지이용 복합도(LUM)), Accessibility(접근성 :버스, 철도, 도로 등), Design(가로설계 : 도로, 교차로수 등), Green(녹색교통 연계시설 : 보행, 자전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역세권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세권으로부터 반경 500m로 대별하여 밀도(Density), 토지이용 다양성(Diversity : LandUse Mix(LUM)), 대중교통 접근성(Accessibility) 등 물리적 환경을 각각 추출한 후에 요인분석(탐색적, 확인적)을 통하여 TOD 통합계획요소에 대한 잠재변수 특성을 해석하고, 도출된 잠재변수와 대중교통이용수요(승하차인원)를 활용한 인과관계 분석(회귀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역세권 TOD의 물리적 계획요소 특성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이 역세권의 승하차인원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지를 요인-회귀분석을 통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역세권 승하차인원과 주요 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모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독립변수가 많을 경우 선형회귀 분석의 변수조합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주는 단계별변수투입(Stepwise)6)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모형 개발시 단계별변수투입(Stepwise)방식을 활용하였다.
  • 셋째, 최근 Space Syntax(공간구문론)를 활용하여 역세권 연계교통수단이며, 대표적인 녹색교통수단인 보행 및 자전거에 대한 접근성과 규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내의 지하철 역세권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TOD 계획특성인 Density(개발특성 : 연상면적, Open Space 면적, 순개발밀도 등), Diversity(주거, 상업, 업무 등에 대한 토지이용 복합도(LUM)), Accessibility(접근성 :버스, 철도, 도로 등), Design(가로설계 : 도로, 교차로수 등), Green(녹색교통 연계시설 : 보행, 자전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역세권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세권으로부터 반경 500m로 대별하여 밀도(Density), 토지이용 다양성(Diversity : LandUse Mix(LUM)), 대중교통 접근성(Accessibility) 등 물리적 환경을 각각 추출한 후에 요인분석(탐색적, 확인적)을 통하여 TOD 통합계획요소에 대한 잠재변수 특성을 해석하고, 도출된 잠재변수와 대중교통이용수요(승하차인원)를 활용한 인과관계 분석(회귀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OD의 대표적 요소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TOD의 대표적 요소인 Density, Diversity, Accessibility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 요인분석을 토대로 7개 영향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actor 1(Diversity/토지이용복합도 (LUM)), Factor 2(Density/개발밀도수준), Factor 3(Accessibility/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4(Design/가로설계수준), Factor 5(Gree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Design/지하철시설규모),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유형화되었다.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TOD의 대표적 요소인 Density, Diversity, Accessibility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 요인분석을 토대로 7개 영향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actor 1(Diversity/토지이용복합도 (LUM)), Factor 2(Density/개발밀도수준), Factor 3(Accessibility/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4(Design/가로설계수준), Factor 5(Gree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Design/지하철시설규모),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유형화되었다. (2) 요인-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역세권 승하차 인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Factor 1(Diversity : 토지이용복합도(LUM) 요인), Factor 3(Accessibility : 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2(Density : 개발밀도수준), Factor 5(Desig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지하철시설규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세권의 승하차 인원에 부정적(-) 영향은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하철과 버스의 배차간격이 증가할 경우 이용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1980년 강병기에 의해 주장된 도시의 공간적 확산과 난개발을 억제할수 있는 정책방안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1980년 초반 강병기는 2000년 초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시의 1,000만 인구를 수용하면서 도시의 공간적 확산과 난개발을 억제할수 있는 정책방안으로써 역세권 위주의 도시개발 및 교통체계의 구축을 주창하였다(강병기, 1993). 이후 철도역세권 개발(Rail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RTOD)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주로 역세권 유형 분류 및 토지가격 변화 등 도시 계획적 측면에 치중되었다고 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건설교통부: http//:www.moct.go.kr/ 

  2. 법제처: http://www.moleg.go.kr/ 

  3. 서울시청: http://www.seoul.go.kr/ 

  4. 서울시 GIS, http://gis/seoul.go.kr/?SSid560_05 

  5. 대중교통정보 네이버(NAVER), www.naver.com 

  6. 김은정, 박양규, 박중재(2001), 원도우용 SPSS통계분석 10, 21세기사 

  7. 박동진.김재준.이승일, 2007. "서울시 대중교통중심의 개발을 위한 역세권 개발밀도와 이용자수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200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서울특별시: 서울시립대학교. 

  8. 박성해, 2011. "Fuzzy ANP를 이용한 TOD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성형곤.김태현, 2005. "서울시 역세권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23(8): 19-29. 

  10. 성형곤.권영종, 2006. "고용입지변화에 따른 주거입지 및 통근통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강남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 41-58. 

  11. 성현곤.노정현.김태현.박지형, 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 59-75. 

  12. 성현곤.박지형.김동준, 2007.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효과분석 및 유도기법 적용방안, 연구총서 2007-3: 한국교통연구원. 

  13. 신상영.황기연.조용학, 2005. "서울시 뉴타운 사업이 교통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도시연구, 6(4): 55-70. 

  14. 오영택.김태호.박제진.노정현, 2009.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대한토목학회지 논문, 29(4): 467-472. 

  15. 이수일, 이승재, 손혁준, 김태호, 2010. "역세권 보행자 만족지수(PSI)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1(4): 51-66. 

  16. 이승일.이창효, 2004. "직장접근도시를 통한 수도권 지하철 역세권의 통근이용 잠재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5(4): 13-28. 

  17. 임희지(2005) 고핵다밀화도시 서울의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역 중심 개발유도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5호, pp. 93-104. 

  18. 정희윤.김선웅, 2002. 서울시 장거리 및 교차통근의 실태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 정희윤, 2006. 시가지 재정비와 신도시 개발의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 한국도시설계학회, 2008. 도심지 내 인프라와 연계한 밀도 조정 및 활용방안, 대한주택공사. 

  21. 황기연.조용학, 2005. "도심고밀개발 전략의 교통영향분석", 국토계획, 40(3): 91-105. 

  22. 황기연.신상영.강준모, 2006. "교통혼잡을 고려한 서울 도심부 개발가능 밀도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1): 49-58. 

  23. 황기연.신상영.조용학.손기민, 2008.(1) "TOD형 개발 촉진을 위한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대한토목학회지 논문, 28(1): 1-10. 

  24. 황기연.조용학, 2008.(7) "TOD형 도시재생사업의 교통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논문, 28(4): 469-476. 

  25. 홍진현, 고밀.혼합 토지이용이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6. Calthorpe, P.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3 

  27. Cervero, R. "Land Use mixing and suburban mobility" , Transportation Quarterly 42(3), 1988. 

  28. Cervero, R. "Mixed land-uses and commuting; Evidence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Tramspn Res A, 30(5), 1996. 

  29. Cervero, et al,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 Experiences, Challenges, and Prospects, TCRP, 2004. 

  30. Du Vall. and Matthew, E., 2007.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hree Case Studies", A Research Paper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Graduate School of Cornell University, Ithaca. Ithaca: Cornell University. 

  31. Edward J. O'Donnell and Theodore A. Patterson, 2010.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Identification of Optimal Characteristics In Delaware,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Delaware. 

  32. Hiller, B. and Hanson, J(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Hyungun Sung & Ju-Taek Oh(2011). "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a high-density city: Identifying its association with transit ridership in Seoul, Korea," Cities, Vol.28:pp.70-82. 

  34. Hyungun Sung, Ji-hyung Park, & Dong-Jun Kim(2007). "Impact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s in Korea," Research Report No.2007-03. 

  35. Hyungun Sung & Sang-ho Choo(2010). "The effects of Compact-City Development at the Living Area of Neighborhood Level on Modal Split and Self-Sufficiency,"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Vol.45(1):pp.315-325. 

  36. Renne, J., J. Wells, and E. Bloustein., 2005. Research Results Digest 294: Transit-Oriented Development: Developing a Strategy to Measure Succes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37. Renne, J. 2009. Evaluat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Using a Sustainability Framework: Lessons from Perth's Network City in Planning Sustainable Communities: Diversity of Approaches and Implementation Challenges. University of Calgary. 

  38. William J. DeCoursey and Lorene Athey., Transit-Oriented Design: Illustrations of TOD Characteristics,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the Delawar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39. Zhang, M(2004). "The role of land use in travel mode Choice: Evidence from Boston and Hong Ko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