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농법에 따른 논 잡초발생 차이와 벼 수량에 끼치는 영향
Weed Occurrence and Rice Yield as Affected by Environment Friendly Farm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v.31 no.3, 2011년, pp.279 - 288  

조광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상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안설화 (중국 절강성농업과학원) ,  전재철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친환경 벼 재배를 위한 효과적인 잡초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호남 및 충남지역에 위치한 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있는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잡초 발생 양상, 관리 실태 및 쌀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친환경 농업지역의 잡초방제 관리실태는 왕우렁이농법> 오리농법> 쌀겨농법> 자라농법 순으로 감소하였다. 친환경 농법별우점 초종은 왕우렁이농법에서 피, 여뀌바늘, 물달개비, 벗풀, 사마귀풀이, 오리농법에서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자귀풀, 미국가막사리가, 쌀겨농법에서 피, 물달개비, 여뀌바늘, 여뀌, 올방개 등이었다. 친환경 농법별 쌀 수량은 제초제 처리 농가($5.2\;MT\;ha^{-1}$)와 비교하여 오리농법 93%, 왕우렁이농법 91%, 쌀겨농법 92%, 자라농법 78%이었다. 쌀 품위 중 완전립율, 사미, 착색립, 동할미, 피해립 등은 관행재배보다 낮았으며, 단백질, 아밀로스, 지방산은 관행재배와 유사하였다. 친환경 농업지구 관리 문제점은 논토양 정지 불균일, 배수관리 소홀, 냉수재배지 등 지형적 불리한 조건으로 잡초가 다발하거나 병해충 발생 및 도복 등으로 인하여 수량이 관행재배 대비 약 32~79%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논에서 친환경 농법으로 재배를 할 경우 지형적으로 불리한 지역에서 친환경 농법은 배제되어야 하며 균평작업을 통하여 토양 표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uggest the weed management technique for environment friendly rice cultivation, we investigated occurrence patterns of weeds, the actual condition of weed management, and rice yield at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complex located in Honam and Chungnam regions. The practical performa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1. Environment friendly rice farming areas and the soil textures employed for this study.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호남지역에 위치한 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적용하고 있는 다양한 친환경 농법에 따른 잡초발생 양상과 이러한 조건 하에서의 벼 수량성을 검토하여 친환경 벼 재배를 위한 효과적인 잡초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친환경 벼 재배를 위한 효과적인 잡초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호남 및 충남지역에 위치한 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있는 농가포장을 대상으로 잡초 발생 양상, 관리 실태 및 쌀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친환경 농업지역의 잡초방제 관리실태는 왕우렁이농법> 오리농법> 쌀겨농법> 자라농법 순으로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되게된 배경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농업은 그동안 식량증산에 초점이 맞추어짐으로서 화학비료와 농약을 과다 사용하거나, 농업 환경에서 축산분뇨 등의 과다발생으로 생태계의 파괴와 수질오염 및 농산물의 농약잔류 문제 등이 유발되는 수준에 이르러 지속 가능한 농업생산이 위협을 받게 되었다(Han 등 2000; Han 등 2002).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농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하여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보와 환경보전 및 농산물의 안전성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으로 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되었다.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고자 정부에서 조성한 것은?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농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하여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보와 환경보전 및 농산물의 안전성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으로 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고자 정부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2,824억원을 투입하여 879개소의 친환경농업지구를 조성하였다(농림수산식품부 2007). 정부 발표에 따르면 친환경농업 실천 기반 구축 및 확산에 기여한 결과 친환경농산물의 생산비중이 전체농산물 생산량 대비 2010년 현재 약 12.
친환경농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친환경농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적지선정과 그 선정된 환경 내에서 가장 적절한 농법의 적용 및 이를 통한 적절한 작물 및 관리체계를 채택하여 최적의 농법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지력증진을 위한 적절한 토양 비옥도 관리, 병해충 및 잡초방제 기술의 적용 그리고 조성된 시스템의 유지를 통한 효율적 수행이 이루어져야 성공적인 친환경 농업을 달성할 수 있다(최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X. H., S. B. Lee., I. B. Lim., S. Kim., M. Y. Choi and J. D Kim. 2007. Herbicidal activities of agricultural by-products and native plants on the growth of rice and paddy weeds. Korean J. Weed Sci. 27(3):248-256. 

  2. Choi, H. O., S. B. Ahn and S. N. Kim, 1973. Survey of the distribution and amount of weeds emerged in paddy fiel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J. Agri. Exper. 15(Crop):69-75. 

  3. Han, M. S., K. K. Kang, S. G. Kim, J. H. Kim, M. H. Koh and H. M. Park. 2000. Evaluation of biodiversity in the rice paddy. pp. 128-137. 

  4. Han, M. S., J. D. Shin M. H. Y. E. Na, N. M. Lee, H. M. Park and S. G. Kim. 2002 Change of invertebrate density in the rice paddies fertilizer managements in demonstration villages sustainable agriculture. Korean J. Environ. Agri. 21(2):96-101. 

  5. Kang, Y. S., J. I. Kim and J. H. Park. 1995. Influence of rice-duck farming system on yield and quality of rice. Kor. J. Crop Sci. 40(4):437-443. 

  6. Kim, D. I., S. K. Kim., K. J. choi., B. Y. Kang., J. D. Park., J. J. Kim., D. R. Choi and H. M. Park. 2007. Occurrence and damage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 Ampullariidae) in Jeonnam province of south Korea. Kor. J. Appl. Entomol. 46(1):109-115. 

  7. Kim, J. K., S. B. Lee, K. B. Lee, D. B. Lee and J. D. Kim, 2001. Effect of applied amount and time of rice bran on the rice growth condition. Korean J. Environ. Agri. 20(1):15-19. 

  8. Kim, S. C., S. K. Lee and D. S. Kim. 1982. Competition between transplanted lowland rice and weeds as affected by plant spacing and rice cultivar having different eco-geographic race. Korean J. Weed Sci. 2(1):1-6. 

  9. Ku, Y. C., K. Y. Seong, D. Y. Song, S. B. Lee and I. B. Hur. 2000. Herbicidal phytotoxity of rice cultivars highly adapted in water seeding. Treat. of Crop Res. 1:445-448. 

  10. Ku, Y. C., I. B. Lim, S. D. Kim, S. C. Kim and J. O. Guh. 2001. Current status and research direction of weed science in Korea; weed management strategy for sustainable agriculture. Korean J. Weed Sci. 21(2):191-198. 

  11. Lim, I. B., J. K. Kang and S. Kim. 2005. Weed precision survey in crop fields of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96-165. 

  1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The safety of pesticides and crop protection. Sangroksa. pp. 1-7. 

  13. Pyon, J. Y., J. O. Ku and Y. C. Ku, 1997. Environment-friendly cultural and mechanical practices for weed management. Korean J. Weed Sci. 17(1):124-134.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Standard of research and analysis for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838 p.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5. Weed precision survey in crop fields of Korea. RDA. pp. 96-254. 

  16. 권용웅, 정태진. 1980. 작부체계를 달리해온 인접경지들의 잡초종자 괴립상태 및 잡초발생 잠재력. 서울대학교 농업연구 5(1):169-178. 

  17. 농림수산식품부. 2011. 2011년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265 p. 

  18. 농림수산식품부. 2007. 친환경 정책- 친환경농업조성사업. 

  19. 농촌진흥청. 2008. 2007 지역별 농산물 소득자료. pp. 158-263. 

  20. 최두회, 이용환, 김승환, 이상민, 이윤정. 2002. 학술심포지움- 한국유기농업학회 친환경농자재의 관리방안.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pp. 89-1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